과시 행동에 관여하는 그 부위는 바로 전뇌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이다.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들이 공유하고 있고 그 기원이 오랜 옛날 포유류 및 파충류 조상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부위이다. 영장류가 아닌 포유류와 파충류의 관습적 행동이나 과시 행동도 이 부위가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파충류에 기원을 둔 이 영역에 손상을 입으면 관습적 행위 이외의 다른 자동적 행동들, 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같은 행동에도 장애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은 성과 지배라는 두 기능이 동일한 신체 기관계와 관련되어 있지만 한편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음경을 드러내는 과시 행동은 집단의 지배 서열에서 가장 효과적인 사회적 신호로 여겨진다. 이 행위는 일종의 의식과 같은 것이 되어 ‘내가 주인이다.’라는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는 성적 활동에 뿌리를 두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지금은 생식 활동에서 분리되어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음경을 드러내는 행동은 성적 행동에서 유도된 의식이지만 생식 목적이 아닌 사회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간의 이타적 행동이 변연계에서 시작되었다고 믿을 만한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실제로 몇몇 드문 예외(주로 사회성 곤충들의 사례)를 제외하고 자신의 새끼를 보살피는 데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는 생물은 포유류와 조류뿐이다. 그것은 오랜 적응 기간을 통해 대량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 포유류와 영장류의 뇌의 이점을 십분 활용한 진화적 발달이다. 사랑을 처음 발견한 동물은 아마도 포유류인 듯하다.9)

개는 우리가 신에게 느끼는 종교적 도취감을 사람에게 느끼는 것은 아닐까? 우리와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동물들이 느끼는 강렬하거나 미묘한 감정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러한 사례들을 살펴볼 때 성교와 같이 복잡한 포유류의 활동에는 삼위일체의 뇌의 세 가지 요소 ? R 복합체, 변연계, 신피질 ? 가 동시에 관여하는 것이 틀림없는 듯하다.(우리는 이미 R 복합체와 변연계가 성적 행동에 작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해 왔다. 신피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에 대한 증거는 내적 성찰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심지어 물고기도 전뇌에 손상을 입으면 스스로 주도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나 조심성 등이 사라지게 된다.

신피질의 추상 기능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인간의 상징적 언어 활동, 특히 읽기와 쓰기와 수학이다. 이러한 활동은 측두엽, 두정엽, 전두엽, 그리고 아마도 후두엽의 협동을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든 상징 언어가 신피질의 산물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피질의 흔적도 찾아볼 수 없는 벌이 정교한 춤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벌이 춤을 통해 먹을 것이 위치한 곳의 방향과 거리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은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 카를 폰 프리슈(Karl von Frisch)가 처음 발견했다. 벌의 춤은 사실상 과장된 몸짓 언어, 벌이 먹이를 발견했을 때 실제로 보여 주는 활동을 모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으로 치자면 냉장고 쪽으로 발걸음을 옮길 때 하는, 혀로 입술을 핥으며 손으로 배를 두드리거나 문지르는 행동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의 어휘는 지극히 제한되어 있다. 기껏해야 몇십 개의 낱말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인간의 어린이들이 긴 유년기에 하는 학습은 거의 전적으로 신피질의 기능인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