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1
한 손에 책을, 다른 손에는 사랑을 들고서 뚜벅뚜벅 살다 가는 것이 이번 생에 내가 해야 하는, 그나마 할 수 있는 일임을 선명하게 받아들인 건 고작 몇 해 전이다. 스물부터 읽고 사랑하기 시작했고 일단 시작한 이후는 쉼 없었으니, 살아온 인생의 거지반을 스스로 어떤 놈인지 잘 인식하고 살았던 것 치고는, 총 인생의 거지반을 어떤 놈으로 살아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수용은 꽤 늦은 셈이다.
이제 막 시단에 새로이 등장한 폴 발레리가 스승으로 우러러보던 스테판 말라르메에게 시작詩作의 충고를 구하는 편지를 쓴 적이 있습니다. 말라르메는 어떻게 답장을 썼을까요? "유일한 참된 충고자, 고독이 하는 말을 듣도록"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아름다운 일화입니다. 자신이 하는 말도 듣지 말라는 얘깁니다. 누구의 '부하'도 되어서는 안 되고, 누구의 '명령'도 들어서는 안 됩니다.
_ 사사키 아타루,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2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알아가는 중. 나라고 생각했던 나와, 되고 싶었던 나와, 되기 싫었던 나가 이루는 삼각형의 안쪽 어딘가에 내가 있는 것 같다. 정확히 어디쯤인지는 알 수 없지만. 거기가 어딘지 평생을 더듬어가면서 살겠지만.
"자네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사람이 되기로 선택했는지, 자신이 하는 일의 의미가 무엇인지 잊으면 안 되네. 인류가 겪은 전쟁과 패배와 승리 중에는 군대와 상관없는 것도 있어. 그런 것들은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지. 앞으로 어떻게 할지 결정할 때 이 점을 명심하게.“
_ 존 윌리엄스, 『스토너』
3
아무거나 쓰다 보면 아무것도 쓰지 못할 거라고 오래 생각해왔다. 그 생각은 곧 아무나 사랑하다 보면 아무도 사랑하지 못할 거라는 두려움으로 치환되었다. 마음의 논리가 그런 식인 사람이 있다.
그렇지만 또 아무것도 쓰지 않으면 역시 아무것도 쓰지 못하고, 아무도 사랑하지 않으면 역시 아무도 사랑하지 못할 것 같아서,
그를 안고 있는 동안은 세상 모든 것을 다 가진 것 같았는데.
마치 우주를 안고 있는 것처럼.
_ 박상영, 「우럭 한점 우주의 맛」
4
읽는 것도 사랑하는 것도, 그러니까 사는 것이 이런 모양이어서는 안 된다고 느끼면서도 그저 이런 모양으로 읽고 사랑하고, 사는 것은, 얼핏 아무것도 아닌 일 같지만, 누구나 겪으며 살아가는, 세상에 너무 흔한 일 같지만, 그냥 맛있는 거 먹고 친구들과 수다를 떨고 한숨 푹 자고 나면 먼지처럼 사라지는 작은 불만 같지만, 그 괴리, 이래서는 안 된다는 마음과 그럼에도 이렇게밖에 살아지지 않는 삶 사이의 깎아지른 벼랑은, 거칠게 던져진 녹슨 칼처럼 마음의 밑바닥에 생채기를 낸다. 구멍이 생기고 그 틈새로 감정이 샌다. 그러다 어느 날, 수도꼭지보다 배수구의 직경이 더 커지는 때가 오면 세상 온갖 행복을 가져다 마음에 부어도 그것들은 그대로 흘러나가고, 나는 그냥 하나의 몸통이 된다. 그럴 때 버리고 떠나야 한다.
살려고, 살고 싶어서 그래.
바쁜 일들이 밀려 나 자신을 돌보는 것조차 귀찮고 번거로울 땐, 문 밖에 세워둔 나 자신을 상상한다. 집 안은 밝고 환하다. 하지만 누구도 문을 열어주진 않는다. 집주인인 나 자신도 창밖의 나를 보지 못한다. 낯선 얼굴들이 들어갔다 나온다. 날은 저물고 사위는 어두워지는데 나는 여전히 집 밖을 서성이고, 주저한다. 이제 밤이다. 나는 엄습하는 추위에 옷깃을 여민다. 언제까지 나는 나를 문 밖에 세워둘 것인가?
_ 김다은, 『혼밥생활자의 책장』
--- 읽은 ---


118, 119. 설민석의 삼국지 1, 2
설민석 지음 / 세계사 / 2019
삼국지 1회독을 여기서 하는 것은 나쁘지 않겠다. 그러나 1회독까지. 삼국지를 안 읽는 사람은 있어도 한 번 읽고 마는 사람은 없으니, 내가 삼국지를 읽겠다 싶은 분은 이 책을 소장할 필요까지는 없지 않을까.
120. 인생을 바꾸는 결혼 수업
남인숙 지음 / 해냄 / 2017
이걸 왜 읽고 앉았냐- 하면서 책을 폈는데 의외로 끝까지 읽고 앉았다. 결국은 뻔한 소리 같긴 한데, 세상에 뻔한 소리는 다 어느 정도는 도움이 된다. 도움이 되니까 퍼지고 퍼져서 뻔한 소리가 된 것이 아닐까.
121. 칠레의 밤
로베르토 볼라뇨 지음 / 우석균 옮김 / 열린책들 / 2010
알아야 읽히는 것들이 있어서, 알기 전에는 읽어도 읽은 게 아닌 책들이 있다. 지구 반대편 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쓰인 소설 같은 것들. 그렇지만 그 가운데는 모르고 읽어도 읽을 만하되, 알고 읽어도 미처 다 알아내지 못하는 신기한 책들도 있다. 그런 책을 내놓는 이들에게 세상은 거장의 이름표를 붙이고, 설령 많이 팔리지는 않더라도 그들을 좋아하는 독자들은 끝내 멸종하지 않는다.
122. 남의 마음을 흔드는 건 다 카피다
이원흥 지음 / 좋은습관연구소 / 2020
내가 이런 (좋은) 카피를 썼다. 방황하는 후배에게 내가 이런 (멋진) 말을 해주었다. 이것이 (훌륭한) 나의 루틴이다. 누구누구가 이런 (살짝 부족한) 카피를 내놓았는데 내가 발전시켜서 최종적으로 이러이러한 (더 나은) 카피가 나갔다. 내가 SNS에 올려놓은 (폼 나는) 것 좀 보세요. 특히 SNS 글. 책 전체 분량의 거진 1/6을 작가가 SNS에 올린 글을 퍼와서 채웠다.
남의 마음을 흔드는 것은 다 카피라고 한다. 그래서 이 책은 하나도 카피가 아니었다.
--- 읽는 ---










질풍노도의 30대입니다만 / 김희성, 김밀리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고병권
나를 알기 위해서 쓴다 / 정희진
어른의 어휘력 / 유선경
팔리는 작가가 되겠어, 계속 쓰는 삶을 위해 / 이주윤
김언호의 세계서점기행 / 김언호
새로 쓴 원숭이도 이해하는 마르크스 철학 / 임승수
알기 쉬운 경제학 / 김경진
희망, 살아 있는 자의 의무 / 인디고 연구소, 지그문트 바우만
인생을 바꾸는 건축 업 / 김진애
--- 갖춘 ---

홍차수업 / 문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