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교환
1
돈을 벌기 위해 시간을 들이듯, 말을 벌기 위해 마음을 들이붓는다. 하지만 그렇게 벌어들인 말을 녹이고 태워 원하는 건 결국 다시 마음을 덥히는 일. 이렇듯 마음을 엮어 말을 빚고, 그 말을 건네 다른 말을 받고, 받은 말을 풀어 다시 마음을 뜨개질하는 복잡한 방식이 우리의 회계원리라면, 그냥 처음부터 대차대조표를 접어 차변과 대변을 맞붙이면 어떨까. 마음과 마음을 맞대어 윤곽을 맞추고, 다르면 다른 대로, 닮았으면 닮은 대로, 그저 퍼내도 퍼내도 마르지 않는 이 마음이니 필요한 만큼 가져가라 한껏 열어두면 나쁠까.
자주 말에 취하지만 가끔은 말이 버겁다.
2
저녁에는 집에 들어와서 서재에 들어갑니다. 들어가기 전에 나는 종일 입고 있던 진흙과 먼지가 묻은 옷을 벗고 궁정에서 입는 옷을 차려입습니다. 그렇게 적절히 단장한 뒤 선조들의 궁정에 들어가면 그들이 나를 반깁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나만의, 그 때문에 내가 태어난 음식을 먹습니다. 나는 그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으며 그들의 행적에 대해서 궁금한 것이 있으면 캐묻습니다. 그들은 친절하게 답변합니다. 네 시간 동안 거의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모든 근심과 가난의 두려움을 잊습니다. 죽음도 더는 두렵지 않습니다. 나 자신을 완전히 선조들에게 맡깁니다.
_ 김경희, 『마키아벨리』, 133-134쪽
syo가 마키아벨리 입문서/개론서를 싸그리 다 읽은 것은 아니니까 전부라고는 말하지 못하겠고, 7할 정도라고 말하면 넘치지 않겠군, 하여간 읽었다 하면 튀어나오는 대목이다. 이제 저 대목을 만나지 못하면 소머리국밥집에 가서 눌린 돼지머리를 먹고 나오는 기분 비슷하게 될 지경입니다.
3
어제 늦은 밤, 얼마 후면 일을 시작한다고 생각했더니 아득해졌다. 사람들 다 짊어지고 사는 무게인데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정도는 대기압인데도, 한 번도 얹어보지 못한 뭔가를 어깨에 얹는다는 상상은 벌써 무겁다. 해가 아직 동쪽에 있는 하늘을 이고 일터에 가서, 때론 해 없는 밤을 걸어 집으로 돌아오겠지. 마음은 낮에 이미 다 썼고, 텅 빈 그릇이 되어 침대 위에서 덜그럭거리게 될 거야. 책상위에 읽을 책들은 자기들끼리 모여 탑을 쌓고, 그 아래 깔린 부담감이나 죄책감이 비명을 질러도 이틀에 한 번은 귀를 막겠지. 나는 이제 사랑할 체력이 남지 않았으니 사랑 니가 나를 좀 해줬으면 좋겠다, 듣자니 너는 되게 강하다던데- 뭐 이런 생각이나 할지도 모르겠다. 생각 놈이 성큼성큼 잘도 저기까지 미치니, 미치겠다 무섭다 외롭다 징징대고 싶다 안기고 싶다 안기고 싶다 우와 안기고 싶다 정말이다 이렇게 되고 말았다.
꼬맹이가 사는 방에 밤은 늘 길기만 하다.

"정말이에요?" 그녀가 묻자 그가 도리어 "네?" 하고 되물었다. "별도 태어나고 죽는다면서요." "아 그거, 텔레비전에서 봤어요. 그러니까 저기 저 별들한테도 마지막이란 게 있단 거예요. 내일이면 꼴까닥하는 별일지도 모른다는 거죠. 그러면 우리가 마지막으로 저 별을 본 사람들이고요. 운이 좋네요." "운이 좋다고요?" "좋죠, 좋다고 생각해요, 까짓것."
한강을 지나는 다리 조명이 소등시간에 맞춰 꺼졌고 그녀는 정말 내일이면 사라질지도 모르는 어떤 세계에 대해 생각했다. 그건 그녀의 시야를 가리던 옥수수밭으로부터 멀지 않은 세계, 아주 낯익고 피해 갈 수 없는 어떤 치명적인 상처를 지닌 세계였다. 꺼져가는 세계였고 죽어가는 세계였다.
_ 김금희, 「우리가 어느 별에서」
일과 공부는 병행 끝에 합일되어야 한다.
일은 공부의 실현이자 새로운 일의 훈련이며 공부는 일의 피와 살과 뼈이자 새로운 공부의 예언이 된다. 공부는 일의 조건이 아니라 일이고 일은 공부의 결과가 아니라 공부다.
고독을 이기고 싶으면 공부하라, 그러나 고독을 이기고 세상과의 전쟁에서 이기고 싶다면, 공부하면서 일하고 일하는 것이 공부가 되게 자신을 세팅하라.
_ 이응준, 『작가는 어떻게 생각을 시작하는가』
4
쿤데라의 『농담』을 오랜만에 읽었다. 처음 읽는 줄 알았다. 시간이 흘러 나도 변하긴 변했나보다.
리뷰를 쓸 것.
- 읽은 -



+ 농담 / 밀란 쿤데라 : 372 ~ 532
+ 어느 칠레 선생님의 물리학 산책 / 안드레스 곰베로프 : 131 ~ 264
+ 노예국가 / 힐레어 벨록 : 99 ~ 186
- 읽는 -





- IFRS 회계원리 / 최창규 외 : ~ 188
- 작가는 어떻게 생각을 시작하는가 / 이응준 : ~ 133
- 강의 / 신영복 : 133 ~ 250
- 아리스토텔레스 / 조대호 : ~ 117
- 장회익의 자연철학 강의 / 장회익 : 77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