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쓰는 물건의 색다른 활용법

같은 물건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쓰일 수 있다.

늘 반복되어 굳어진 습관 대신 색다른 물건의 쓰임새를 찾아보면 생활이 재미있어진다.

 의외의 실용성과 편리함은 덤!

한 번 더 생각하는 사람을 위한 생활 속의 ‘아하!’ 포인트 찾기

 

빗으로 못을 박는다


원래는?
당연히 머리 빗을 때 사용하는 것이 기본.

일자 모양의 빗의 경우

주로 생머리를 손질할 때 쓰이는 것이 보통.

이렇게도!
이제 못 박는 일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자.

귀찮아 하는 남편을 졸라 못을 박아 달라 할 필요도 없다.

빗 하나만 있으면 손 다칠 위험 없이 쉽게 못을 박을 수 있다.

빗살 사이에 못을 끼우고,

못 대신 빗을 잡고 망치로 두드릴 것.


집게가 머니 클립겸 열쇠고리로




원래는?
종이를 모아서 집어 둘 때 사용.

영수증을 모을 때도 집게 하나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도!
급하게 잠깐 외출해야 할 일이 있을 때

굳이 열쇠 꾸러미나 지갑을 챙겨 가기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럴 때는 집게 안쪽에 돈을 끼우고

고리 부분에는 열쇠를 걸어 간단하게 준비해 보자.

돈도 열쇠도 잃어버릴 위험이 없다.


빨래집게의 또다른 이용


 
 



원래는?
빨랫줄에 빨래를 널 때 빨랫감이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도구. 세탁물에 1~2개 정도 꽂아 둔다.

이렇게도!
여름철 많이 입는 슬리브리스 톱이나 원피스의 경우

옷걸이에 널어 말리기가 난감할 때가 많다.

끈이 얇으면 얇을수록 옷걸이를 타고 미끄러지는 것이 보통.

이럴 때는 옷걸이에 옷을 걸고

어깨 부분의 끈을 빨래집게로 꽂아 둔다.


 

 

 

나무집게로 코드 엉킴 막기




원래는?
장식용으로도 자주 쓰이는 나무집게.

물건을 고정할 때, 종이를 붙일 때 등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이렇게도!
전선이 긴 제품의 엉킴을 막을 때,

진공 청소기 코드가 서로 엉키거나 말려드는

불상사를 막을 때 집게를 사용한다.

여러 가닥의 전선을 모아서 정리할 때도

집게를 사용할 수 있겠다.

 



 


 

강판을 이용한 조명



원래는?
야채나 과일을 갈 때 사용.

사각 강판의 경우 치즈 그레이터라는 이름으로 판매.

치즈를 가는 데 사용한다.

이렇게도!
사각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강판은 모던하고 깔끔한

느낌 때문에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손색 없다.

알전구를 강판 속으로 늘어뜨려서 식탁 조명으로

활용해 본다. 알전구 대신 촛불을 넣어 두어도

낭만적인 식탁을 만드는 데 손색 없겠다.

 

 



채반으로 새싹 채소를 키운다



원래는?
과일과 야채를 씻어 물기가 빠지도록 담아 두는 도구이다.

 알록달록 과일을 가득 담아 주방에 두면

소품의 역할까지 톡톡히 한다.

이렇게도!
물이 잘 빠지고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 있는 채반은

채소를 재배할 때 수경 재배의 도구로 사용하면 좋다.

특히 요즘 유행하는 새싹 채소를 키울 때 딱 좋은 도구.

거즈나 솜, 난석 등을 깔고 물을 충분히 부어 적신 뒤

새싹 채소를 심는다.




액자가 트레이로 변신



원래는?
마음에 드는 사진이나 그림을 담아 벽에 걸어 두는 도구.

프레임에 따라, 안에 끼우는 작품의 내용에 따라 전혀

다른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이렇게도!
음료나 차, 간단한 칵테일 등을

서빙하는 트레이 대용으로 액자를 활용한다.

처음에는 약간 생뚱맞은 발상이 아닐까 조심스럽지만

의외로 독특한 소품이 된다.

가족들의 사진을 끼운 액자에 다과를 올려

                                                   가족들의 저녁 시간을 즐겁게 이끌어 보자.

 

 




주스병을 촛대로 활용한다




원래는?
주스가 담겨져 있는 병.

먹고 나면 재활용 쓰레기가 되어 버려지는 것이 보통.

활용할 경우 주로 씻어 말려 양념통 등으로 쓰인다.

이렇게도!
모양이 예쁜 주스병은 그대로 쓰레기통에 버리기 아깝다.

집에 평범한 모양의 양초가 있다면

끝 부분을 조금 녹여서 주스병 바닥에 붙여 보자.

그냥 촛대에 얹는 것보다 안전하고,

색다른 정크 스타일의 인테리어 소품이 탄생한다.  


 

 

 

 

자료출처1:리빙센스

 

자료출처2: 싸이월드 결신모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단 2006-03-13 05: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것두 복사한다음 붙여넣어서 안뜰지두 몰겠네요..이런거 퍼 올라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아시면 가르쳐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바퀴를 달아주는 것만으로, 손잡이를 달아 부착하는 것만으로 완성!

 

 

집안에 있는 식물들, 햇볕을 듬뿍 받게 하고 싶은데,,, 나무발판에 바퀴를 달고, 양 옆에 손잡이를 달아 한꺼번에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는 트레이 하나 만들어보자. 특히 바퀴는 360도 회전 타입을 선택 하는 것이 포인트.

  재료 바퀴 4개, 손잡이 2개, 나무발판 1개, 나사못 16개, 손잡이 전용 고정 나사못 4개
      만들기 1. 나사못을 넣을 위치에 송곳으로 가볍게 구멍을 뚫는다. (손잡이 부분과 바퀴 부분 )
2. 손잡이를 나사못으로 고정시킨다.
3. 바퀴 4개를 밑에서부터 나사못으로 고정시킨다.
         
 

열쇠 등 걸어두어야 하는 도구와 신문 등 넣어두어야 하는 물건들을 깔끔하게 나누어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랙, 코르크판으로 메모판까지 만들어 붙였으므로 현관 입구에 놓고 사용하기에 적격.

  재료 나무발판 1개, 철제 고리 1개, 코르크판 1장, 나무판, 접착제
      만들기

1. 나무발판을 흰색으로 페인팅한다.
2. 받침 다리의 맨 위쪽에 철제 고리를 부착한다.
3. 발판의 두번째와 세번째 받침 다리의 사이즈에 맞도록 코르크판을 잘라 접착제로 부착한다.
4. 작은 나무판을 맨 아래쪽 지지대와 같은 길이로 잘라 접착제로 붙이고, 큰 나무판을 그 위에 붙여 신문꽂이를 만든다.

         
 

방수가 잘 된다는 나무발판의 장점을 살려 습기 많은 공간인 욕실에 활용하는 건 어떨까. 발판 하나를 잘라 직각으로 고정시키니 근사한 선반 하나가 완성되었다. 선반에 타월을 올려두고, 목욕 용품은 머리부분이 동그란 못에 걸어 수납할 수 있다.

  재료 나무발판 1개, 나사못 5개, 고리용 압정형 못 5개
      만들기

1. 8개짜리 패널을 5:3의 비율로 나눠 톱으로 자른다.
2. 5칸짜리 발판의 세번째와 네번째 패널 사이에 3칸짜리 발판을 직각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뒷면에 미리 송곳으로 살짝 구멍을 뚫어두었다가 나사못을 돌려 박는다.
3. 고리용 압정형 못을 맨 아래쪽에 박는다.

         
 

4개의 토분을 다리로 해서 나무 발판을 높여준다. 위엔 간단한 메모 도구나 전화를 올려두고, 바닥과 발판 사이의 공간에는 전화번호 책이나 가계부 등을 쑥 넣어두기에 좋다. 이때 화분은 높이가 낮고 입구가 넓은 것을 선택해 안정감을 준다.

  재료 나무발판 1개, 토분 4개, 흰색 아크릴 물감
      만들기 1. 토분에 흰색 아크릴 물감을 이용해 워싱기법으로 색칠한다.
2. 사방에 1의 화분을 받침으로 놓고 그 위에 나무발판을 올린다.
         
 

예쁜 표지의 책이나 잡지, 여기저기 너저분하게 놓여진 신문 등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랙. 큰 사이즈의 나무발판을 뒤집어서 손잡이를 부착해 만들었다, 공간과 어우러지는 디스플레이 효과까지 만족시킨다.

  재료 나무발판 1개, 손잡이(긴 것과 짧은 것) 각 1개, 빨간색 아크릴 물감
      만들기

1. 나무발판에 빨간색 아크릴 물감을 칠한다.
2. 위쪽에 짧은 손잡이를 부착하고, 아래쪽에 긴 손잡이를 부착한다.

 

 

자료출처 : ♥ GripiS's Art of Life ♡

 

자료출처2: 싸이월드 결신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