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에게 보여주고 싶은 자신의 모습과 실제 모습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 차이는 남자보다 여자에게 훨씬 더 심한 법

근사하게 꾸민 실리의 속마음을 첫인상으로 꿰뚫어 보자


착하게 보이고 싶어하는 여자는
사랑에 목마르다.
일단 모든 사람의 애정을 확보하고 싶어하는 본능이 그녀를 착한 여자로 보이게 만든다



스스로 자유 분방한 척하는 여성은
자신의 미숙한 성 체험을 숨기려는 것일 뿐이다.
모두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지나치게 오픈된 듯한 인상의 여자들은
의외로 이런 콤플렉스를 숨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


유행에 관심이 없는 여자는
다른 여자와의 승부를 피하려는 것이다.
경쟁사회 속의 승부에 대한 불안심리가 숨어 있는 여성이다.


남성적인 복장과 행동을 하는 여성은
섹시한 여자로 인정을 받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다.
동성애자로 오해하기 이전에 그녀에게 이런 속마움이 숨겨져 있지는 않은지 의심해 볼 것.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도 기뻐하지 않는 여성은
지나치게 자신이 있거나 반대의 경우.
일부러 무신경하려고 애쓰는 중인 것이다.


건실하며 진실한 여성
일수록 그 심층 심리에는 악녀적인 욕망이 있다.
인간의 이중적 심리는 누구에게나 공통적인 것이다.


착실한 여성은
엉터리 같은 남성의 꿈에 약하다.
자신이 꿈꾸어 보지 못한 허황한 꿈에 의외로 쉽게 속는 단점을 지녔다.


좋은 집안에서 자란 여성은
그 좋은 굴레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다.
좋은 굴레인 만큼 금기도 많은 법.


거만해 보이는 여자는
 쓸쓸하다. 자신의 행동이 컨트롤 되지 않는 여성에게서 볼 수 있는 행동이다.



지적인 여자는
자신과는 극단적으로 반대인 조금은 야비스러운 면에 마음이 끌린다.
인간은 원래 일탈욕구가 있는 법이며 행동에 제약이 심한 여성에게 그런 현상은 더 크다.


명랑하고 쾌활해 보이는 여성은
남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우울한 내면이 있다.
일년 열두달 하하호호 하고 사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자료출처1:http://tong.nate.com/01191352461/126784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봄타는 우울증' 참지 말고 말하라!


가족력-사별-열등감 등이 원인

생물학적 시계 이상…봄철 심해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약물로 완치



따뜻한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요즘같은 계절에는 우울증 환자가 크게 늘어난다. 이른바 계절성 우울증이다.

이같은 계절성 우울증은 봄철에 가까울수록 증상이 더욱 심해지며 극단적인 경우 자살에 이르기도 한다.

지난 몇 년간 국내 유명인들이 우울증으로 고통 받다가 스스로 죽음을 택한 것 대부분 이 계절 즈음이다.

우울증, 왜 이 시기에 많이 나타나나?

우울증 가운데 계절성이 뚜렷한 우울증은 전체 우울증의 약 3분의 1 정도로 추산된다.

그 중 가을과 봄에 심해지는 형태가 대부분으로 가을-겨울 우울증과 봄-여름 우울증이 전체 우울증의 약 20~25%가 된다.

이러한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진 않았으나, 뇌 안에 있는 소위 '생물학적 시계'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보는 견해가많다.

생물학적 시계에 이상이 생기면 수면, 일주기, 호르몬 변화 등에 다양한 이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일조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을 앞뒤로 해서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울증은 왜 생기며 어떠한 사람에게 잘 생기는가?

기분을 조절하는 대뇌 속의 신경전달물질(노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이 적절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우울증이 나타나게 된다.

유전학적으로 보면 가족 중 우울증 환자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2~10배 가량 우울증의 발병 위험이 높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과 사별 또는 이별을 겪거나, 성장과정에서 부모와 오랫동안 떨어지는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우울증이 생기기 쉽다.

의존적이고 열등감이 심한 사람, 지나치게 양심적인 사람들에게서도 우울증이 나타난다.

우울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우울증은 기분을 조절하는 뇌의 특정 부위에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상태가 유발되는 것이므로 이를 교정하기 위한 약물치료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우울증은 약물치료로 깨끗하게 치료된다. 최근에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항우울제들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다.

또한 습관성이나 중독성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다.

대개 약물치료를 받으면 1~2개월 내에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지만 재발 방지를 위해선 약물을 9개월 내지 1년 정도 장기간 복용하는 것이좋다.

정신 치료를 통해 우울증을 유발한 핵심적인 심리적 갈등요인을 찾아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울증을효과적으로 극복하는 방법

①말없이 참지 않는다. 정신과 의사나 부모, 친척, 친구, 이웃, 성직자 등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에게 불편한 감정을 털어놓고 도움을구하는 것이 좋다.

②지나치게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는 기분이 나아질 때까지 큰 결정사항이나 중요한 일에 대해 잠시 잊는다.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 잡힌식습관을 갖고 운동을 계속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③가벼운 소설이나 잡지를 읽는다.

④잠이 안 오면 억지로 잠을 청하지 않는다.

⑤오랜 기간 집에 혼자 있는 것을 피한다.

⑥의도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즐거운 생각만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도움말=윤세창 성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교수>



 ◇우울증 진단기준

우울증의 필수증상인 우울한 기분이나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의 상실이 적어도 2주 동안 있어야 하며, 아래의 증상 중에서 4가지 이상이있으면 우울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①체중감소나 증가, 식욕의 감소나 증가

②불면 또는 과다수면

③정신운동성 초조 또는 지체(좌불안석 혹은 축 쳐진 느낌)

④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의욕상실

⑤삶에 대한 무가치감, 지나친 죄책감

⑥사고력, 기억력, 집중력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

⑦죽음에 대한 생각 또는 자살사고나 기도 및 계획

자료출처1:스포츠조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