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에> 1907~1908년경
캔버스 유채 22×83cm 개인 소장

달콤함, 퇴폐로 가는 길 - 다나에 -

참으로 고혹적인 아름다움이다. 여인의 풍만함은 터질 듯 화면을 장악했다. 그녀의 반쯤 벌어진 입술 사이로 신음이 새나온다.

달콤하지만 뭔가 퇴폐적인 분위기가 물씬거리는 그림. 죄악의 냄새가 있고 절망적인 죽음의 그림자마저 엷게 드리워져 있다. 농밀한 에로티시즘을 담은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 의 이 그림 '다나에'를 보고 있으면 우리는 어느 새 몽환의 세계에 빠져들게 된다.

여인의 누드를 가장 완벽하게 표현해 낸 거장

인체 표현, 그 중에서도 다양한 연령층의 여인누드를 서양미술사 안에서 가장 완벽하게 표현해 낸 작가로 알려지고 있는 클림트는 유겐트스틸 운동을 주도했던 오스트리아의 거장이었다. (유겐트스틸 운동이란 독일어 문화권에서 아르누보 양식을 호칭한 것으로서 아르누보의 특징인 식물을 모티브로 하는 화려한 장식효과를 보다 극적으로 연출하는 점이 색다르다.)

그는 여인을 사랑하고, 여체에 탐닉했던 자신의 성 의식을 그림으로 남기고 있다. 한편 에로티시즘을 바탕으로 시대정신의 나락과 자본의 발흥에 따른 인간(여성으로 대치되어)의 상품화를 죽음이라는 세기말적 분위기에 녹여 표현한 작품을 상당수 보여준다. '다나에'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에로틱한 분위기는 여체를 묘사해내는 독특한 작가의 개성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클림트는 여성의 작은 심리변화를 절제된 표정으로 여인의 나신에 숨겨 둠으로서 보는 이로 하여금 그 분위기를 즐기도록 배려한다.

여성의 심리변화까지 화폭에 담아

이 작품에서도 그의 이런 팬서비스(?)는 예외 없이 드러난다. 살포시 감은 눈과 대조를 이룬 벌어진 입술. 무엇을 살짝 감아쥐는 듯한 긴장된 손의 표정 등은 분명 한 여인의 심리묘사와 연관된 구체적 표현이다. 몸을 크게 오므리고 흐벅진 여인의 허벅지 를 화면 중앙으로 배치한 클림트의 의도는 섹시한 분위기의 연출과 함께 이 여인의 포즈를 태아의 그것과 유사하게 보임으로써 상반된 두 가치의 합일과 원초적 모습을 담아두려 했다.

다나에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제우스에게 겁탈 당한 여인. 그녀를 작가는 화려한 장식에 둘러 쌓이게 하고 뽀얀 나신을 그 속에 묻어 겁탈 당한 여인의 슬픔과 원초적인 아름다움을 극적으로 병치시키고 있다. 이는 당시 인문학이 관심을 기울인 인간 내면세계에 대한 관점- 본능적 충동(이드)에 의존하는 새로운 인간상에 대해 보내는 이 작가의 지지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