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짓기 좋아하는 할머니 I LOVE 그림책
캐드린 브라운 그림, 신시아 라일런트 글,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엔 그림이 참 맘에 들었다. 수채화 그린 시골 풍경이며 할머니의 예쁜 방, 붓자국 하나하나가 꽃이 되고 들판이 되는 게 신기해서 자꾸 자꾸 보게 돼고, 볼수록 기분 좋은 그림이었다. 게다가 폼나는 차를 몰고 카우보이 부츠를 신은 멋쟁이 할머니가 얼마나 멋져 보이던지~ 한 번 서점에서 이 책을 보고 제목을 잊어버려서 오랫동안 책 제목을 찾아 헤맬 때, 그 모습만 떠올랐더랬다. "캐딜락 몰고 부츠 신은 할머니 나오는 그림책이 있는데... 제목이 뭐였더라.. 뭐였더라..." 

몇 번 더 책을 봤을 땐, 잃는 게 두려워 시도하기도 꺼려하는 사람이 떠올랐다.

친구들이 모두 먼저 죽어서, 이제는 자신의 집이며 차며 침대 같이 자기보다 절대 먼저 죽지 않을 것들에 이름을 붙여 친구로 삼은 할머니는, 날마다 찾아오는 주인 없는 강아지를 예뻐하면서도 새 식구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잃는 게 두려워서. 그러다 강아지가 보이지 않고서야 자신이 얼마나 강아지를 좋아했는지 알게 되고, 강아지를 새 식구로 받아들일 용기를 내게 된다. 그리고 강아지에게 '러키'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행복하게 지내게 된다.

나는 가족관계가 좀 힘들어서 결혼을 두려워했다. 드라마나 다큐에 나오는, 서로 아껴주고 힘이 되는 가족의 모습을 부러워하고 꿈꾸면서도, 한편으론 '가족은 힘든 존재야!' 하는 생각이 커서 내 가족을 만든다는 게 무척 두려웠다.(지금은 행복한 내 가족을 꾸리고 있다^^)

한 번의 상처 때문에 뭔가를 하기 두려워하는 아이나 어른에게 부드럽게 건넬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체리를 먹을까?
페트릭 띠아르 지음, 이선혜 옮김, 바로 그림 / 그린북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서평단 도서입니다>

쟝 아저씨는 정원사입니다. 어린 나무를 정성껏 가꾸고 가꾸던 어느 날, 나무에 빨갛고 동그란 것이 열렸어요. 바로 체리였어요. 아저씨는 체리를 또 정성껏 보살피면서 먹고 싶은 마음을 꾹 참고 다 자라면 먹으려고 했죠. 그런데 까마귀 두 마리가 날아와 체리를 바라보며 "까악 까악" 울었어요. 이를 듣고 쟝 아저씨는 까마귀들이 체리를 먹고 싶어한다고 생각합니다. 

쟝 아저씨는 체리나무의 체리를 지키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허수아비를 세우고, 그 다음엔 총을 들고 지키고, 그 다음엔 체리나무 주위에 온통 철조망을 치는가 하면, 커다란 로봇까지 만들어봅니다. 이렇게 애지중지 지킨 체리를 예쁜 접시에 올려놓고 당당히 먹으려는 순간...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요?

여기, 마지막 장면을 넘기기 전에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하고 질문을 던져 보는 것이 책을 더 재밌게 읽는 방법 같아요. 아이들의 톡톡 튀는 반응이 기대되는군요^^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길수록 점점 더 괴이한 방법으로 체리를 지키려는 아저씨의 모습이 안쓰럽게 느껴졌습니다. 정원 울타리에서 "까악!" 하고 울었을 뿐인 까마귀들로부터 체리를 지키기 위해서 혼자 너무 애쓰는 것 같았어요. 정말로 까마귀들은 체리를 먹으려 했던 걸까요? 아님 아저씨가 넘겨짚은 생각일 뿐일까요? 아저씨는 까마귀를 왜 그리 적으로 대했을까요? 까마귀들과 체리를 나눠 먹을 수는 없었을까요?

처음 읽을 땐 스토리가 너무 단순하지 않나 싶었는데, 책을 읽고 이런 얘기들을 나눠 보면 여러 가지 얘기를 끄집어낼 수 있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이든 어른이든 이런 걱정을 하는 이들과 읽어보면 어떨까 싶어요. 누군가 조금만 섭섭하게 대해도 그 사람이 날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낯선 이들에게 겁이 많은 사람, 또 자기 물건(장난감)을 너무 아껴서 다른 아이가 절대 못 가지고 놀게 하는 아이나 맛있는 걸 혼자서만 먹으려는 아이와 읽어봐도 여러 가지 얘기를 하면서 '문제 되는 행동'에 대한 얘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를리외르 아저씨 쪽빛그림책 2
이세 히데코 지음, 김정화 옮김, 백순덕 감수 / 청어람미디어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일 오전에 서점에 갔다. 한적해서 좋다. 메모해 간 읽어볼 책들을 찾아 서가와 매대 위를 훑었다. 그런데 막상 보니 다들 흥미가 일지 않는다. 노벨상을 받았다는 소설도, 근사할 것 같은 청소년 소설도 내키지 않는다. 기운이 빠진다. 이럴 땐 그림책이 최고야! 어린이책 코너로 향했다.

매대에 놓여 있는 책들을 훑어보는데, 유명한 책들만 깔려 있다. 뭔가 새로 나온 건 없나... 그러다 새 책이 들어왔다. 근데 제목도 생소하고 표지 분위기가 스럴러 같다. 그렇게 지나쳤다가 볼 게 없어서 결국 펼쳐든 책이 <나의 를리외르 아저씨>였다.

아, 이 책 정말!

아끼는 식물 도감이 낱장으로 떨어지자, 서점에도 가봤지만 '나의' 식물도감이 소중하다며 수소문해서 를리외르 아저씨를 찾아온 소녀. 헌 책을 다시 말끔하게 제본해서 새로운 책으로 만들어주는 를리외르 아저씨의 공방에서 자신의 책이 뜯어졌다가 다시 옷을 입는 과정을 즐겁게 구경한다. 그리고 다음날 책을 찾으러 왔을 때, 자신이 가장 소중히 여기는 아카시아 나무 그림이 표지가 된 새 책이~

식물 책을 너무 너무 좋아하는 아이, 책을 정성스럽게 고쳐주는 아저씨 두 사람의 모습이 참 이쁘다. 수채화 풍의 그림이 부드럽고 촉촉하다. 두 사람이 우연히 마주칠지도 모른다는 설렘을 갖게 하는 구성이 재밌어서 한 번 보고 또 한 번 보면서 재밌는 상상을 하게 된다. 나에게 소중한 만남은 어떤 것이 있나 떠올려 보기도 하고, 뭔가를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새겨 보게도 된다.

그리고...

내 기억에 가장 따스하고 행복한 시간으로 남아 있는 때가 떠올라서 이 책을 사게 됐다. 대학 때 휴학한 동안 학교 도서관에서 아르바이트를 했었다. 책을 좋아한 나는 그 아르바이트를 무척 좋아했다. 오전에 어제 반납된 책들을 서가에 모두 꽂고서 10시 반쯤 한쪽 창가에 앉아서 뜯어진 책들을 수리하곤 했는데, 가을 겨울에 햇살 따스한 창가 앞에 앉아 뜯어지고 찢어진 책들에 정성스럽게 테이프도 붙이고 본드도 발라 말끔히 책을 고치는 시간이 참 좋았다. 마치 아픈 책들을 고쳐주는 의사가 된 기분이었다. 다시 그 일을 하라면 또 행복한 마음으로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겁쟁이 빌리 비룡소의 그림동화 166
앤서니 브라운 지음, 김경미 옮김 / 비룡소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빌리의 걱정은 별로 와닿지 않는다. 방 안에 모자가 가득 찰까 봐, 큰 새가 날아와 자기를 물어갈까 봐 걱정하는 아이가 있을까? 있다고? 그럼 그럴 수도 있겠네요^^; 내가 하는 걱정들, 놀러가기로 했는데 비오면 어쩌나, 단체 여행 갔는데 늦잠 자면 어쩌나, 배탈 나면 어쩌나 이런 걱정과 다를 바 없나?^^

걱정 많은 아이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빌리의 엄마, 아빠는 걱정 말라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다독이지만 빌리는 걱정을 내려놓지 못한다. 이때 할머니의 말씀,

"참 재밌는 상상이로구나. 그건 네가 바보 같아서 그런 게 아니란다. 나도 너만 했을 때는 너처럼 걱정을 많이 했단다."

아이의 걱정을 바보 같다고 비난하거나 다그치지 않고, 재밌는 상상이라고 말해주다니! 그리고 나도 너처럼 걱정을 많이 했다고 공감해 주는 할머니. 와, 할머니 짱이다^^ 이렇게 할머니가 아이의 문제를 공감해 주고 그 문제를 해결할 방법으로 '걱정 인형'을 알려준 장면이 아주 인상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돼 삼총사 웅진 세계그림책 116
나카야마 치나츠 지음, 하세가와 요시후미 그림, 장지현 옮김 / 웅진주니어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안돼 삼총사, 제목만 보고도 흥미로웠다. 게다가 안 돼가 집을 나갔다니 ㅋㅋㅋ 도대체 무슨 내용일까 무척 궁금한 마음으로 책을 읽었는데, 결론은 재밌다 재밌어 재밌당께^^

나도 나중에 아이를 키우게 되면, 안 돼 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까? 정말 아이들은 그 말을 많이 듣는 것 같다. 아이가 위험해질까 봐, 버릇 나빠질까 봐 어른들은 안 돼, 하지 마, 하지 마 한다. 친구랑 싸우는 일 같은 정말로 나쁜 일에 대해 안 돼 안 된다 안된당께 하고 목소리를 높이는 안 돼 삼총사가 참 멋지다, 짝짝짝^^

좀 촌스러운 듯한 그림도 정감 있고, 발상 자체가 무척 흥미로운 책이다. 게다가 교훈적이고!!^^

이 책을 읽고 부모와 아이들의 반응이 얼마나 다를지 무지 궁금하다. 아이들은 우리 엄마도 그래요, 맨날 안 된대욧 볼멘소리를 하고, 부모들은 니가 맨날 말썽을 부리니까 그렇지 하며 목청을 높이지 않을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