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ing is so important 


- can leave a message to someone who is not with you

- can leave a record to future generations


(요즘에 쓰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과는 좀 많이 다르긴 한데, 여기서의 writing은 문자로 '기록하는 것' 이라고 봐야 할듯)



meso-potamia (meso: middle, between / potamia : potamus (river)의 복수형)


mesopotamia의 의미가 'between two rivers' 라고 했으나 two의 의미는 없는 것 같고

between rivers, 혹은 between the rivers 라고 해야 정확할 듯.

(물론 그 비옥한 땅 주변에는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두 강이 있지만)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은 현재 이라크 영토 내에 있는데 

미국이 이라크 전쟁 (2차) 때, 또 이후 IS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유적과 유물들을 파괴하였다고 하여 

(<밤의 도서관>에는 책도 많이 유실되었다고 나오는데, 뭐 당연하겠지)

마음이 좋지 않다. 무식한 것들... 



메소포타미아에 인류가 정착한 것이 7000 yr BC(E) 

수메르와 이집트에서 상형 문자를 쓰기 시작한 것이 3200 yr BC(E)

Upper and lower Egyptian Kingdom의 통일이 3000 yr BC(E)


나중에 이 연대들을 모아서 글을 하나 써볼까 한다. 

 


BC: Before Christ

BCE: Before the Common/Current/Christian Era 


앞에 붙는 숫자는 어차피 똑같은데 current로 통일해서 BCE로만 표기했으면 하는 바램.

common은 또 뭐람.. 작명센스가 기득권-서양백인남자-의 그것 같다. 




* 이 책에는 안 나올 것 같긴 한데 방사성 탄소를 이용하여 측정한 연대의 경우 BP (Before Present)를 사용한다. 이 경우 기준이 되는 present는 1950년이다. 그러니까 7000 yr BC는 8950 yr BP와 같은 것. 1940년대 후반부터 핵실험을 시작하면서 대기중 방사성 탄소(14C)의 비율에 교란이 일어났기 때문에 1950년을 기준점으로 정했다. 산업혁명 무렵부터 화석 연료의 사용에 의한 대기중 탄소 동위원소 (주로 12C, 13C) 의 비율 역시 교란되었으나 14C의 경우 핵실험에 비하면 그 영향이 급격하거나 크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교란된 방사성 탄소 비율을 보정하기 위해 나무의 나이테를 사용하는데, 산업혁명 무렵부터 성장하여 1950년 이후까지 살아남은 나이테가 비교적 고른 (온대 지방의) 나무가 그렇게 많지도 않을 것이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끼 2023-09-08 10:5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건조수하님!! 북플오랜만에 들어와서 건조수하님 글먼저 보네요 ㅎㅎㅎ 건조…… 말린수하님..(아냐)

건수하 2023-09-08 11:19   좋아요 2 | URL
말린... 마른까지는 생각했는데 그건 생각 못했네요 ㅋㅋㅋ
우끼님 왜 오랫만에 오셨어요. 반가워요!

독서괭 2023-09-08 11:29   좋아요 2 | URL
말린수하님 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09-08 13:03   좋아요 2 | URL
건수하가 입에 더 잘 붙는 거 같기도 하고 ㅋㅋㅋ 건어물 느낌..

독서괭 2023-09-08 11: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저도 오늘 챕터3 읽었어요. 이따 올릴 예정.
연대 보면서 오 이거.. 자꾸 나오면 헷갈리겠는데? 했는데 역시 목록수하님이 정리할 예정이라니 기다리면 되겠군요 ㅋㅋㅋㅋ BP라는 게 있는지 몰랐네요. 신기방기!

건수하 2023-09-08 11:38   좋아요 1 | URL
저는 오늘 챕터4 근데 갑자기 길어졌어요…

거리의화가 2023-09-08 11: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앗! 닉네임을 바꾸셨군요^^; 연대 개념 정리해주신다니 감사할 따름^^
저도 오늘 ch3 읽었는데 지금 책이 없어 이따 올려야겠네요!ㅎㅎ

건수하 2023-09-08 15:26   좋아요 0 | URL
닉네임 조금 더 수정했습니다 ㅋㅋㅋ

하루 한 챕터 양이 적당하다 하고 있었는데 챕터 4부터는 양이 좀 많네요 ^^
아직까진 아주 재밌게 읽고 있습니다~

단발머리 2023-09-08 18:1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아!! 마지막 문단 너무 멋진데.... 저 사실 다 이해 못 ㅠㅠㅠㅠㅠ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건수하 2023-09-08 16:39   좋아요 0 | URL
혹시 BP 연대를 보시면 AD BC 변환만 아시면 될 것 같은데 제가 너무 구구절절 적었군요 ㅎ 저도 모르게 아는 게 나오니 반가워서?! 단발머리님이 원하시면 정리를 해보겠지만….

단발머리 2023-09-08 18:14   좋아요 1 | URL
아아아아…. 아니에요 ㅋㅋㅋㅋㅋ 제가 곱씹어서 찬찬히 읽어볼 테야요!!

건수하 2023-09-08 18:17   좋아요 0 | URL
다시 보니 뭔가 많이 생략된 것 같습니다 (….)

단발머리 2023-09-08 18:19   좋아요 1 | URL
그걸 모르는 사이보그단발머리 😳😳😳

건수하 2023-09-08 20:24   좋아요 0 | URL
https://ko.m.wikipedia.org/wiki/방사성_탄소_연대_측정

여기에 그 내용이 좀 나오는데… 🙄

책읽는나무 2023-09-09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챕터3 읽고 다시 읽으러 와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