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고 보니, 그다지 긍정적으로 그려지지 않은 베르토와 내가 애초에 어떻게 친해졌는지 궁금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간단히 말하면 내가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믿은 덕분이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그렇듯 완벽한 친구란 있을 수 없고, 저마다 가지고 있는 다양한 단점들을이유로 사람들을 내친다면 그들이 가져다줄 기쁨과 행복 역시누릴 수 없게 된다.. - P117

젬마는 테세우스의 배 이야기를 꺼냈다.
"상상해 봐요. 어느 날 테세우스가 전 세계룰 항해하는 여정을 시작했어요."
"좋아요. 내가 이 이야기를 알아야 하는 것은 알겠어요. 하지만 테세우스가 누구죠?"

"지구의 고대 영웅이에요. 아주 옛날 옛적 이야기예요. 디아스포라가 일어나기 3000년 전 이야기죠."
"흠, 그런데 전 세계를 항해했다고요?"
"맞아요. 테세우스는 나무로 만든 배를 타고 전 세계를 항해했어요. 그동안 배 여기저기가 망가지고 뜯어져 배를 고쳐야했어요. 몇 년이 지나 집으로 돌아왔을 때 원래 선체를 구성했던 목재는 모두 교체되고 없었어요. 이 경우에 테세우스의 배는 출발할 때와 같은 배일까요? 아닐까요?"
"멍청한 질문이네요. 당연히 같은 배죠."
"좋아요. 만약 배가 폭풍을 만나 산산조각이 나서 다시 항해를 시작하기 전에 완전히 새로운 배를 지어야 하면요? 그래도 여전히 같은 배인가요?"
"아니요. 그건 완전히 다른 경우죠. 배 전체를 다시 지었다면 테세우스 2호가 되겠죠. 후속작인 셈이니까." - P1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어릿광대가 아닙니다. 우리는 원형 경기장에 있는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경기장을 둘러싼 권력자처럼 즐기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책략적인 사물들의 희극을 즐기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언어의 희극을 즐기는 것입니다. - P26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을 통해서도 말할 수 없습니다.  - P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처한 경제 이야기 1 : 기본 편 - 경제와 친해지는 준비 운동 난처한 경제 이야기 1
송병건 지음, 매드푸딩 그림 / 사회평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더 나은 경제를 상상한 사람들 >

인간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학이 탄생했다. 경제학자들은 자신이 속한 시대의 문제를 고민하고 때로는 해결하며 경제학을 발전시켜왔다.

●애덤 스미스와고전학파
• 애덤 스미스 : 경제에도 자연적인 규칙이 있을 거라 여기고 보이지않는 손‘ 주장,
•고전학파 : 데이비드 리카도(자유무역 옹호), 토머스 맬서스(인구론>, 존 스튜어트 밀(자유주의 설파) 등

●마르크스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누적된 사회문제. 열악한 노동 환경과 빈곤등 노동자들의 분노를 대변, 참고 공산당 선언』
•잉여가치론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해 자본주의를 지속.

●신고전학파
•효용가치설 소비자의 효용 중시. → 한계효용 정립
•앨프리드 마셜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구현

●케인스
•대공황 때 공급과잉 발생 시장이 저절로 균형을 잡는다는 신고전학파 비판 → 시장이 균형을 찾기를 기다리지 말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주장

●신자유주의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가 침체하는데 물가는 상승. 케인스 이론으로설명 불가능한 상황. → 정부는 경제에 함부로 개입해선 안 되고 시장원리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신자유주의 학파 등장.
(밀턴 프리드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반론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신자유주의에 대한 의문 제기. 소득과 부의 분배 문제에 주목.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자본주의 자체가 소득 불평등을 심화. 재분배 정책이 필요) - P3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무중력 세계에서 세속적 자아가 고통을 통해 시들어 가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맷티는 기꺼이 자신을 내주었다. 자신이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모든 것을 위해 자기 자신을 거래했다. 그리고 자유를 느꼈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겪는 고통에 자부심을 가지렴. 그 고통이 너를 다른사람보다 더 강하게 만들어 준단다." - P35

자미슨은 할머니가 키라를 가르침으로써 임무를 다했다고느낀 것 같다고 엄숙하게 말했다. 자신이 할 일을 모두 끝냈다고 생각할 때 영혼이 떠나기 시작한다며, 죽음은 그런 식으로찾아온다는 이야기였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