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night Tragedies and Long-term Miracles> : 비극은 순간이고 기적은 오래 걸린다.
Good news comes from compounding, which always takes time, but bad news comes from a loss in confidence or catastrophic error that can occur in a blink of an eye.

좋은 일은 작고 점진적인 변화가 쌓여 일어나므로 시간이 걸리지만, 나쁜 일은 갑작스러운 신뢰 상실이나 눈 깜빡할 새에 발생한 치명적 실수 탓에 일어난다. - P217

<Incentives: The Most Powerful Force in the Wold>
When the incentives are crazy, the behavior is crazy.
People can be led ton justified and defended nearly anything.

평범하고 성실한 사람도 인센티브 때문에 비상식적 행동을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정상 궤도를 벗어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과소평가한다. - P3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ild Numbers> 확율과 확실성
‘세상에 문제가 생기는 근본 원인은 바보들은 자신만만하고 똑똑한 이들은 의심이 가득하다는 데에 있다.‘ - 버트런드 러셀( Berrand Russell)

p.100.
인간의 흔한 행동 특성 하나는 불확실하고 확률적인 세상에 살면서도 확실성을 애타게 원한다는 것이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토록 아슬아슬한 세상 : Hanging by Thread>
흔히들 "미래를 알려면 먼저 과거를 보라"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보면 다음을 인정해야 한다. 과거를 보아도 미래는 알 수 없다는 사실 말이다. 세상 모든 일은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혼합되고, 그 결과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운과 우연에 이토록 취약한 세상에서 나는 두 가지를 늘기억하려 애쓴다.
하나는 특정한 사건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토대로 예측해야 한다는 것이다.
....

p43.

오늘의 세상 모습이 어떻든, 무엇이 당연해 보이든, 내일이되면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 작은 우연 때문에 모든 게 달라질 수 있다. 돈과 마찬가지로 사건도 복리 효과를 낸다. 그리고 복리 효과의 가장 주요한 특징은 미약하게 시작된 뭔가가 나중에 얼마나 거대해질 수 있는지를 처음에는 직관적으로 느낄 수가 없다는 사실이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패를 아는 사람일수록 신중해진다. 슬픔을 아는 사람일수록 타인에게 다정해진다. - P13

" 목소리가 작은 사람들은 신중해. 그리고 신중한 사람은 자신들의 적을 속속들이 알고 있어." - 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권위주의를 확산시키려는 중국의 노력>
....
이 ‘디지털 권위주의‘의 사악한 천재성은 얼핏 사람들 대부분이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국가가 이들이 보는 모든 것을 검열하고, 이들이 하는 모든 행동을 추적한다.

 구식 권위주의 체제에서는 적어도 역압이 어디서 오는지는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사람들이 소설미디어 social media를 통해 맞춤형 콘텐츠를 전달하는 보이지 않는 알고리즘에 따라 슬며시 이끌리고 회유당할 수 있다. 

과거에는 독재자가 암살단에게 돈을 대는 것과 경제 성장을 이루게 하는 것 사이에 어려운 선택을 해야 했다. 그러나 오늘날 압제는 감당할 수 있을만큼 비용이 저렴해졌을 뿐 아니라, 제법 수익성 좋은 사업이 될 수도 있다. 엄격한 사회 통제를 뒷받침하는 ‘스마트시티smart-city‘ 기술과 똑같은 기술로 인프라를 개선하고, 질병을 진단하며, 기차를 정시에 운행하는 데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러한 기술은 독재자의 꿈이다.
 미 국방부전략담당 차관 콜린 칼Colin Kahl은 
"독재자들은 중국의 이념을 좋아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중국의 방법론 만큼은 갖기를 원한다"라고 말한다.
 이런 수요가 있다는 것을 간파한 중국 기업들은 이미 2020년현재 80개 이상의 국가에 감시 시스템을 판매해 운영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이 국내외에서 위협이 증가한다고 느끼게 되면 중국은 디지털 권위주의를 더 멀리, 더 널리 수출할 것이라고 예상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많은 나라가 이미 중국의 디지털 권위주의를 원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를 원치 않는 나라들에게 강요할 강력한수단을 갖고 있다.  - P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