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캔들 플라워
김선우 지음 / 예담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촛불이 일렁인다. 마음의 고요와 평안을 불러오는 불빛이 반짝인다. 미세한 공기의 흐름을 따라 몸을 움직이며 춤을 춘다. 촛불들이 모여서 이룬 불 밭은 화려하지 않은 은은한 붉은 꽃의 집단 서식지 같다. 그 꽃은 사람들을 모으고 마음을 움직이게 하며 어떤 이에겐 커다란 두려움이기도 하다.
촛불시위를 처음 접한 것은 붉은 악마들이 거리에 넘쳐나는 2002년의 여름이었다. 여전히 덥고 습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모였고 대형스크린이나 티브이를 놓고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을 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명의 꽃다운 생명이 미국의 장갑차바퀴에 깔려서 소리 없이 죽음을 맞았고, 내 땅 우리나라에서 외국군대에게 밟혀 죽었어도 끽소리 못하고 서린 한을 풀지 못한 채 구천을 떠돌고 있었다.
뒤늦게 인터넷이 아니었더라면 일부의 열성적인 이들 외에는 알지도 못한 채 조용히 묻혀버렸을 사건이었다. 11월 20일 미군의 무죄판결이 국민의 분노를 부추겼고 월드컵을 가슴에 안고 있던 붉은 악마에서 진화한 ‘앙마’가 촛불시위를 제안했고 수 시간 만에 촛불은 응원의 그 광장으로 모여들었다. 수만의 촛불은 점점 커져서 수십만으로 확산되었고 미군의 오만방자함을 꾸짖고 소리 없이 스러진 두 영혼을 위로하는 모임은 시민의 힘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2004년 3월 12일 야당 국회의원들(민주당, 한나라만, 자민련)의 입맛에 맞지 않고 우습지도 않은 주제로 대통령의 자리에 앉아 있는 대통령을 탄핵했다. 탄핵안이 가결되자 촛불은 다시 일어났다. 국민의 손으로 뽑은 대통령을 타당하지 못한 이유로 제멋대로 탄핵하는 국회의원들을 비판하는 불길이었다. 결국 헌재는 불가 결정을 내리고 자연이 사태의 국면은 해소가 되었다.
그리고 몇 년이지나 정권이 바뀌고 국민이 뽑은 대통령이 민의를 외면했던 그때. 또다시 학생을 주축으로 한 촛불들이 올랐고 이번엔 유모차를 끌고 나온 아줌마들과 예비군복의 아저씨들도 대거 참여했다. 분위기는 자연스러웠고 화기애애했다. 마치 축제 같은 그때. 두려워서 벌벌 떨던 이들은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약한 여자를 폭행했고, 마치 왜구라도 광화문으로 밀고 오는 것처럼 컨테이너로 그 넓은 도로를 완전히 막아 성을 쌓았고, 선동세력이던 좌파 정치세력이 소극적 참여로 일관할 수밖에 없는 묘한 분위기가 있었다.
‘2008년 촛불‘이 바로 소설의 배경이다. FTA에 의거한 쇠고기 수입협상이 타결됨으로서 우리 국민은 광우병소에게서 자유롭지 못한 처지가 되어버렸다. 마치 ’먹으라면 먹을 것이지 웬 말이 많아‘의 태도를 가진 협상 주체들은 정작 자신들은 원산지를 꼼꼼히 따지며 웬만하면 비싸고 좋은 특등급 한우만을 먹는 다는 사실을 입 밖에 낼 수 없었다. 광우병을 두려워하는 국민들에게 미국산 소의 품질 우수성을 홍보하는가 하면 검역주권을 가지고 있어서 광우병소를 완벽하게 차단할 것이라는 되도 않는 이야기를 힘주어 하기도 했다.
작가는 현실의 어두움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소설의 플롯을 짠다. 좀 서투르지만(개인적으로는 시인이 더 ‘어울리는 옷’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물들은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고 서로 이어지는 끈에서 흐르는 어떤 느낌은 적당히 읽는 흥미를 돋우기도 한다.
인상적인 것은 주인공 지오다. 한때 한국과 연을 가지고 있던 할머니와 엄마에게 홀로 자란 아이는 15살이 되던 해 기념으로 여행을 혼자 떠나겠다고 한다. 꾸준히 설득한 끝에 한국으로의 여행을 허락 받았고 인터넷을 통해 미리알게 된 한국인 친구 희영을 만난다. 그녀를 통해 연우, 수아. 그리고 고등학생 둘. 사과. 떠돌이 개와 그의 원래 주인인 숙자씨(할머니)
공항도착에서 출발하는 소설은 이미 촛불정국으로 돌입한 한국이 시간적 배경이다.
당시, 난 어디 있었나. 진안 산골에서 집짓느라고 정신없었다. 진안 읍내에서 촛불행사를 한다고 했으나 피곤한 몸을 이끌고 나가기엔 체력적 한계가 있었고 몇몇 정치인들이 참여한다는 이야기에 나가고 싶은 마음이 싹 사라져버렸다.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하나.
1년 만에 연인을 만난 동수와 희영은 촛불을 아래로 모텔에서 사랑을 나눈다. 사랑을 나누고 창으로 내려다보이는 촛불들을 미안해 하다가, 초 두개, 아니 하나 켜서 모텔에서 촛불을 든다. 사람들이 올려다보고 “우리 몫까지 사랑하세요” 하는 대목은 슬며시 웃음짓게 만든다. 현장의 상황이었다면, 다소 진지하게 시위하는 이들이라면 거부감이 들겠지만 이것이 지금 문화이고 앞으로의 시위방법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사랑을 전면에 내세운 촛불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