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시대 - 생존을 위한 통찰과 해법
기디언 래치먼 지음, 안세민 옮김 / 아카이브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미국의 금융 위기가 세계 경제에 타격을 준 것은 사실이다. 촘촘히 그물망처럼 얽힌 경제적 이익이 도를 지나쳤을지도 모를 일이다. 의존도가 심해졌다고 할까? 물론 미국은 거대한 자본을 가진 국가이며, 신자유주의를 마음껏 받아들이고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익에만 눈이 멀어 마구자비 경영을 해온 그들의 탓도 클 것이다.  

어쨌든, 이 책은 여러 나라의 역사를 차례대로 설명하고 있지만, 결국 하나의 점에 종착하게 된다. 미국.   

미국이 금융 위기로 허우적 거렸던 지난 2008년 이후로, 세계는 불안의 시대로 돌입했다는 것. 미국이 주춤하고 흔들리며 위기는 시작되었고, 그 위기를 타파할 수 있는 것도 미국이 될 것이라는 이상한 논리는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을 불편하게 했다.  

대공황이 일어난 지 80년이 지났다. 강하고 성공적이며, 자신감 넘치는 미국의 모습이 안정과 번영을 약속하는 세계를 위한 최선의 희망이다. - 374p 

결국, 이 한 마디를 하고 싶어서, 그 많은 이야기를 했던 것인지. 허무함. 자국의 이익을 위해 전쟁을 일으켜 많은 이들을 죽음으로 몰아간 것도 미국이고, 심각한 기후 변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도 미국이다. 나라간의 긴장 상태를 부추기는 것도 미국인데, 무분별한 운영으로 경제 위기를 불러온 것도 미국임을 아는데. 결국 세계를 위한 최선의 희망이 미국이 될 것이라는 논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미국 군대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힘을 발휘하는 유일한 세력으로 남아 있다. 미국이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경제 위기의 여파로 대외적으로 관련되는 데 훨씬 더 신중해지더라도 이러한 진공 상태로 들어올, 통합적으로 움직이는 세력은 없을 것이다. - 322p 

이것은 자랑스러움일까? 불안의 시대를 불러온 것은, 누구였던가? 하지만, 뻔뻔하게 이 사실을 '유일한 세력'이라는 말로 미화하고 있다. 이것은 꼭 위협처럼 느껴진다. 나를 따르지 않으면, 나의 힘으로 너희들을 찍어 누르리라. 미국이 이기지 않으면, 결국 세계는 지고 있다는 이상한 논리로 가득하다. 이 책을 읽는 동안에 설득당하고, 세뇌당하는 듯한 느낌만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