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 - 한홍구의 한국 현대사 이야기 한홍구의 현대사 특강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여름에 사서 책장에 꽂아 놓고, 일년이 지나 이 책을 들었다. 그리고, 한홍구 선생님이 얼마나 혜안을 가지고 역사를 바라보고 있는지 피부로 느꼈다. 성남호화청사부터 이 토건족들의 행태와 기형적인 진화까지. 뉴라이트는 왜 건국절을 외치는지, 갑자기 왜 간첩이 나타나게 된 건지, 공기업의 민영화와 경찰 폭력, 사교육, 촛불 등 그가 전하는 현대사 강의는 폭도 넓고 기본부터 시작한다. 

이 책을 읽고 있자니, 학교에서 가르치는 현대사는 얼마나 단편적인 것들인지, 왜 우리는 역사를 알기 위해서 학교 밖의 다른 책을 찾아 봐야 하는지. 그것도 왜 제대로 읽지 못하고 시간에 쫓겨 살아가는지 한숨만 나온다.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단편적인 사건에 동요하고 휘말리고 거짓에 속고 그 안에서 변하는 또 다른 역사는 우리를 슬프게 한다.

KTX 비정규직 투쟁을 하는 한 투쟁자가 '박종철 상'을 타고도 '박종철'이 누구냐고 되묻는 시대, 학교가 학원이 되고 학원에서 단편적인 지식만 얻는 시대, 토건국가를 고집하는 정치인과 권력자들, 공포 정치의 부활로 말도 안 되는 일들이 일어나는 사회.
우리는 왜 깊숙한 진실은 알려하지 않고, 호떡집에 불난듯 단편적인 이익에만 집착하는 걸까? 라는 의문. 결국, 내 아이도 제대로 된 눈을 갖지 못하고 돈과 권력을 얻기 위해 살다가 끝나는 것은 아닐까 두려움. 역사를 제대로 알면 미래가 보이는데도, 역사는 알려 하지 않고 이익만 좇기 바쁜 걸까? 자꾸 의문이 든다. 그리고 가슴이 아프다.

2008년부터 목에 핏대를 세우고 강의를 하신 한홍구 선생님. 이렇게 계속 내버려 두면 큰일난다고 주구장창 말씀하셨는데, 2010년 우리 사회는 어떤가? 한홍구 선생님이 우려했던 일들이 걱정했던 일들이 뻥뻥 터지고 있지 않은가. 

   
  촛불은 원래 어디를 비추어야 됩니까? 형광등 밑은 촛불을 비출 필요가 없죠. 촛불이 있어야 할 곳은 가장 어두운 곳입니다. 과연 5월부터 7월까지 피어 올랐던 촛불이 그런 역할을 했나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어두운 곳, 가장 필요한 곳을 촛불이 찾아갈 수 있을까요? 우리가 찾아가지 못할 때 어떻게 될 것 같습니까?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만 그곳을 찾아내지 못했을 때 저는 파시즘이 올 가능성이 정말 크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좀더 절실하게, 좀더 절박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지금 이명박 정권 4년, 거기다가 다음에 또 이상한 사람이 정권을 잡아버리면 제 50대는 다 날아갑니다. 저는 그렇게 살고 싶지 않습니다. - 389p
 
   

이 처절한 외침에 나는 고개를 떨궜다. 좀더 절실하게, 좀더 절박하게 촛불이 꺼진 후 우리는 그렇게 살아온 것일까? 6월 지방선거에서 작은 불씨를 발견했지만, 그것으로 다 된 게 아니다. 우리는 언제나 시행착오를 거쳐왔고, 잘못된 판단으로 어떤 것을 잃어 보기도 했다. 역사가 그것을 말해주고, 역사가 미래를 보여준다. 그들이 빼앗기지 않으려는 권력과 돈. 그것은 그들을 더 절박하게 한다. 권력과 돈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는 죽기 살기로 덤비는 그들에게 우린 어떤 대항을 해야 할까?

오늘 보도된 '강용석 발언 파문' 은 그들이 가진 정신 세계의 현주소라고 생각한다. 발언이 일파만파 퍼지고 문제가 되자 한나라당은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가. 진위 여부를 따지고 그를 문책하기 전에 벌써 한나라당에서 쫓아내겠다고 난리다. 아마 7월 재보궐 선거에 영향을 미칠까 두려워 그를 내치려는 것이겠지. 자 이렇게 면피하면, 그 자리는 또 누가 채울까? 비슷한 사람들이 또 한자리를 차지하고 어디선가 그런 어이없는 발언을 하고 있지 않을까?

반복되는 이러한 상황에 우리가 진정 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봐야 할 때다. 한국 현대사가 얼마나 어이없이 흘러가고 있는지,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잃은, 피를 흘린 사람들의 정신을 다시 되새겨봐야 하는 게 아닌지. 그리고,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선, 진실을 제대로 들여다 보는 힘을 키워야 하는 게 아닌지 생각이 든다.

우리의 아이들에게 다른 세상을 선물해주고 싶다. 자신의 자아가 형성되고 세상에 관심을 갖게 될 때쯤 이 책이 먼 옛날 전설처럼 느껴질 수 있도록. 토건국가의 오명도 지우고, 돈과 권력이면 다 되는 세상이었다는 것도 지우고 싶다. 추잡한 욕망국가였다는 것 또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