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의 눈물 - 서경식의 독서 편력과 영혼의 성장기
서경식 지음, 이목 옮김 / 돌베개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년(少年). 해를 적게 산, 나이가 적은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소년들은 알지 못하는 세계를 경험하고 그 세계에서 자신을 만들어 나간다. 작은 것에 상처받기도 하지만, 뜻밖에 꿋꿋하고 씩씩하게 기특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소년은 아직 아무것도 완성되지 않았고, 완성되기 위하여 끊임없이 경험한다.

이국땅에서 자란, 특별한 신분(?)을 가진 소년은 많은 아픔을 경험한다. 그것은 내면으로 눌러 담는 아픔이 되기도 하고, 외면으로 표출하는 상처가 되기도 한다. 서경식 그의 소년 시절 반 이상은 책과 함께 했다. 일본에서 자라고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쓴 그였기에 일본 문학이 그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책을 좋아했고, 어머니는 책 읽는 그를 좋아했다. 어머니는 일본어를 읽고 쓸 줄 모르셨고, 그것은 그에게 안타까움이기도 하지만 모른척하고 싶은 애잔함이 되기도 한다. 운동을 잘할 줄 몰랐던 그는 책이 탈출구가 되고, 마음의 평화를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

그의 외로움과 고뇌는 어릴 때부터도 깊었나 보다. 그가 읽은 책들과 그가 인상깊게 생각하는 구절에서 그의 마음 켜켜이 쌓인 고뇌와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 초등학생이었던 그는, 이런 구절에 마음을 주었다.

도토리를 주우며 마냥 기뻐하던 아내마저도 지금은 없다. 아내의 무덤가엔 이끼 꽃이 몇 번이나 피고 또 졌다. 산에는 도토리가 떨어져 뒹굴고, 직박구리 울음소리에 낙엽이 떨어진다.

데리다 도라히코 수필집에 <도토리>라는 글의 한 부분인데 초등학생이 이런 글귀에 마음을 주었다니, 그가 너무 성숙했거나 그를 둘러싼 상황들이 글쓴이의 마음과 동화되기 쉬운 상태였던 것 같다.

그의 책에서는 책 이야기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집안 형편, 형들과의 관계, 어린 시절의 에피소드 등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야기하나를 읽고 나면, 그가 글을 쓰는 스타일이 언제 굳어졌는지 글에서 뿜어져 나오는 느낌이 왜 고독하고 쓸쓸한지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을 자신 안에 가두기 좋아했고, 아이들이 그렇듯 별것 아닌 일로 싸우는 상황도 예사로 보지 않고 많은 생각을 했다. 그런 것들이 쌓여 지금의 그를 만들었겠지만, 소년의 눈물이 천진 해야 할진데 너무 깊고 넓은 생각 때문에 아이답지 않은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어쩐지 유년시절에 그의 많은 생각이 짠하고 안쓰럽기까지 하다.

그는 작은형을 참 많이 따랐다. 그것은 작은형이 책을 좋아해서였고, 작은형은 그에게 또 다른 아버지 같았기 때문이다. 부모님은 바쁘고, 형제들은 서로를 돌봐야 했는데 작은형은 그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주고 격려했고, 보호했다. 작은형은 그에게 절대적인 의지였고, 지혜롭고 박식한 형이었다. 어쩌면 그 이상이었는지도 모른다. 

중학생이 되어 그는 시를 읽기 시작한다. 그가 읽었던 시들을 소개해주고 있는데, 그 시 속에는 '디아스포라'인 그의 애환을 느낄 수 있다. 식민지였고, 전쟁을 치렀던 조국의 역사적 사건들이 그가 성장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친 만큼 그에게 와 닿는 시들은 그와 관련된 시들이었다.

 
1937년 난징으로 떠난 군인 아저씨
당신을 거기서 무엇을 하셨나요......

(.....중략)

1958년 여름
난징으로 떠난 군인들은 선량한 아버지가 되어
내일을 계산하며
검은 다리를 타고 건너간다
누구도 그들을 알아보지 않는다
그들도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다

- <검은 다리>, 이시카와 이츠코


 

일본의 조선 지배와 아시아 침략에 대해 일본의 책임과 자성을 요구하는 이 시가 어린 그의 마음을 흔든다. 그의 상처를 시인이 쓰다듬은 것이다. 그는 이미 아주 어릴 때부터 자신이 조국에서도 환영받지 못하고 일본에서도 국민으로 인정해주지 않는 현실이 아팠나 보다.

그에게 읽기란, 책을 읽고, 글을 읽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었나 보다. 그가 읽었던 책과 이야기들이 그를 말해주고 있다. 인간이 걸아 가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그,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희망'이라는 그는, 소년 시절 무던히 희망을 찾고 있었나 보다.

그는 책 속에서 희망을 찾았고, 책 속에서 물음에 대한 답을 얻었다. 그는 많은 눈물을 흘렸지만, 곁에는 책이 있었고 형제가 있었고 가족이 있었다. '디아스포라'라는 트라우마는 그를 따라다니지만, 그것이 그의 정체성이기에 숨기려 하지 않는다. 받아들인다.

그가 싸우는 것들, 그가 고민하는 것들은 그가 쓴 책 곳곳에 흔적처럼 남아있다. 언제 그가 명쾌한 답을 얻을 수 있을까? 어쩌면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 아무런 확신도 할 수 없지만, 그는 계속 쓰고 읽고 이야기하며 천천히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아직도 그는 소년의 눈물을 흘리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