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아노 교사
재니스 Y. K. 리 지음, 김안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두 여자가 한 남자를 사랑한다. 두 개의 시간 속에서.
홍콩. 1941년부터 시작된 사랑이야기가 있고, 1952년부터 시작된 사랑이야기가 있다.
윌을 사랑한 여자 트루디와 윌을 사랑한 여자 클레어. 둘은 전혀 다른 성격, 전혀 다른 시간 속에서 살았다. 그 가운데는 윌이 놓여 있다. 그리고, 전쟁이 놓여 있다.
클레어는 얼떨결에 결혼한 남편을 따라 홍콩에 온다. 홍콩은 낯선 나라, 낯선 사람들이 가득하고 클레어는 상류층 아이의 피아노 교사가 된다. 클레어는 새로운 세계를 만나게 된다. 이질적인 세상. 사람이 사람을 노예 부리듯 하는 세상, 돈이 많은 사람들은 바깥세상에 관심이 없어 보이고, 사교계에 참여할 수 있어야 자신의 삶이 격상될 것 같은 세상이다. 윌은 피아노 교사로 있던 집의 운전사. 불현듯, 다가온 그가 싫지 않다. 점점 끌리는 클레어. 감정을 누르지 못한다. 그에 대해 알고 싶다. 사람들은 클레어를 이용해 윌이 살았던 다른 세계의 이야기를 전한다.
자유분방한 여자 트루디.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고, 혼혈아이다. 그녀는 그 점을 이용해 많은 사람에게 환심을 얻는다. 그녀가 사랑한 윌. 윌에게만은 언제나 관대하며 모든 것을 줄 수 있다. 전쟁이 터지고도 윌과 함께 있고 싶은 마음에 영국으로 떠나지 않고 홍콩에 남는다. 윌이 수용소에 갇혔을 때는 물심양면으로 윌을 돕는다. 그녀는 끝까지 그에 대한 사랑을 지키고 싶어 한다. 하지만, 윌은 조금씩 조금씩 거부하기 시작한다. 트루디는 그런 윌 때문에 슬프다.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은 그를 위한 것인데 그는 자꾸 뒤로 물러난다. 결국, 트루디는 이용을 당한 채 일본 장교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그러한 상처를 안은 채 윌은 클레어를 만난다.
시간의 교차 지점에 윌이 있다. 두 여자의 사랑 중심에도 윌이 있으며, 사건들 사이에 윌이 있다. 살아남은 자의 이야기와 경험은 누구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다. 전쟁, 전쟁이 많은 것을 앗아갔다. 사람들은 생존과 사투하며, 인간의 바닥을 드러낸다. 살아남기 위한 욕망, 배신, 죽음. 전쟁의 아픔은 사랑마저도 흔들리게 한다. 윌은 살아남았기 때문에 상처를 받았다. 하지만, 상처를 들키고 싶어 하지 않는다.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인 듯 무심하게 살아가는 윌. 그가 봐온 것, 들은 것, 느낀 것들은 그의 정신을, 마음의 여유를 가로막고 있다.
클레어가 모든 것을 알았을 때, 그녀도 많은 상처를 입게 된다. 그리고 혼자 일어설 힘을 얻는다. 남편에게 기대지 않고, 윌에게 바쳤던 사랑을 거두고 그녀 자체로 살아가야지 생각한다. 윌은 윌대로 희미한 기억 속에 갇힌 트루디의 환영을 만난다.
사랑하고도 사랑한다고 말하지 못한 그 순간이 그들에게는 안타깝다. 무엇이든 변명이 될 수 있을 테지만. 트루디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해주길 끝까지 바랐다. 하지만, 윌은 전쟁이라는 상황과 책임감에 밀려 그게 진실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윤리적, 도덕적이라는 말로 트루디를 죽음으로 내몰게 된 것이다. 그것을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클레어의 맹목적인 사랑이 그의 눈을 뜨게 해 준 것일까?
전쟁과 전쟁 후, 단순히 10년 전, 10년 후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차이가 있다. 전쟁 속에서 사라진 사람들과 살아남은 사람들 사이에도 사연과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다. 피아노 교사 클레어가 나타나면서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와 죽은 자의 이야기들이 낱낱이 밝혀진다. 그들이 묻어둔 이야기들은 그들에게도 큰 상처였던 것이다. 상류층에 숨겨진 뻔뻔한 뒷이야기들은 사랑이야기를 풀어내는 소재로 작용한다.
두 개의 시간, 두 개의 사랑이야기는 전쟁의 아픔과 인간의 내면, 고민을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