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오늘 고흐의 구두를 신는다 - 그림과 나누는 스물한 편의 인생 이야기
이명옥 지음 / 21세기북스 / 2009년 7월
평점 :
그림 읽는 CEO 이후 이명옥 작가의 최근작, <나는 오늘 고흐의 구두를 신는다>.
그림에 대한 많은 책이 나오지만, 알기 쉽고 와 닿게 설명해주는 책은 그리 많지 않다.
이명옥 작가의 그림 칼럼들은 주제별로 잘 분류하고, 작가의 생각을 설명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희망, 재생, 가난, 떠남, 인생, 행복, 추억, 눈물, 아름다움, 고독, 사랑, 폭력, 모델, 죽음, 용서, 침묵, 명상, 전쟁, 관음, 불안, 늙음. 21가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명화를 설명하는 것도 인상깊지만, 주제에 따라 한국 화가들의 작품과 작품 설명도 인상 깊다. 화가들의 작품과 인생을 설명하며 교훈적인 메시지를 남기는 것도.
가난한 사람들을 그렸던 밀레, 그의 시대에는 그의 그림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정부의 숨기고 싶은 치부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사회의 불안을 조장하는 불온한 그림이라는 보수파의 비난과 반대로 진보진영은 찬사를 보낸다. 그림이 사회에 미치는 파급 효과, 그것은 화가들이 가진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가난도 아름답게 미화하는 그림만 좋아했던 당시의 모순을 깨는 용기있는 시도였다.
개인적으로 르누아르 풍의 그림은 좋아하진 않지만, 행복이란 주제에 담은 르누아르의 생각과 그림은 공감할 만 하다. 내가 그림을 그리며 즐겁고 행복하지 않다면, 그림을 그릴 이유가 없다는 르누아르. 스승이 오직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그림을 그린다는 냉담한 말에 르누아르는 자신 있게 말한다.
"선생님도 그림을 그리는 것이 즐겁지 않다면 그림을 그릴 필요가 없다는 점을 잘 알고 계시잖아요."라고. 그래서 그는 아름답고 착한 그림만 그렸나 보다. 자신의 기쁨과 즐거움을 위해서. 그렇다면 그는 행복한 사람. 그의 그림을 보고 행복해 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그림을 그리고 있는 자신이 행복하다면 그게 최고의 행복이 아닐까? 그래서였는지 그는 노년에 병이 들어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도 아름답고 고운 그림을 그려낼 수 있었던 것 같다.
폭력적인 김성룡의 그림 <목단꽃>은 보기만 해도 섬뜩했다.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그림. 화가들은 원초적인 감정의 메시지를 아주 간결하고 충격적이며 인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다. 생각한 것을 표현하고, 보는 이에게 그 감정을 선명하게 전달한다면 우리는 깨닫게 된다. 잊고 있었던 본성을. '폭력'이란 주제로 그림을 설명한 작가는 사회적 현상과 철학자들의 이론을 빗대는 것도 잊지 않는다.
데즈먼드 모리스는 인간의 폭력적인 성향을 동물행동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흥미로운 가설을 발표했다. 그는 도시인들에게서 나타나는 비인간적이며, 반사회적인 행동이 '동물원'에 갇힌 동물들의 행동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예를 들면 야생에서의 동물은 생존을 위해 본능과 감각을 최대한 활용한다. 어디에 가면 먹이를 찾을 수 있는지, 몸에 병이 나면 어떤 식물을 먹어야 하는지 본능적으로 알기에 스스로 구하고 치유한다. 그러나 동물원에 갇힌 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고, 병을 치유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자연 상태와는 다른 밀집된 공간에서 그들의 본능은 억압되고, 그 결과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래서 놀랍게도 야생의 돌물이 하지 않는 자해행위를 하기도 한다.
인간은 도시인들이 휴일이면 야외로 나가고 싶어하는 것과 자연 풍경에 위안을 얻고, 여행을 떠나는 것은 인간 동물원에서 벗어나 야생의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원초적인 갈망이라고 말한다. 그림은 사회적 현상도 적나라하게 반영한다. 김성룡의 다른 그림인 폭력적인 소녀를 나타내는 그림과 <소년>이라는 그림도 현대에 비인간적인 문화에 갇힌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어 씁쓸하다.
이명옥 작가는 본적이 있고, 다른 책에서 설명했을 법한 그림도 자신만의 해석으로 풀어낸다. 생각하게 하는 설명.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과 행동을 분류해 풀어낸 그림 설명법. 쉬우면서도 생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는 건 의미 있는 일이다.
다른 사람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작은 부분에서 아름다움을 찾아낼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행복한가.
-카미유 피사로
작가가 글쓰기 방법에 모토로 삼는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처 발견하지 못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