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에게 보낸 편지 - 어느 사랑의 역사
앙드레 고르 지음, 임희근 옮김 / 학고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은... 뭐랄까? 범접할 수 없는 독자적인 영혼같다는 생각이 든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이성적인 인간을 폭풍같이 변화시키며, 감정적인 제어를 불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사랑은 참으로 어렵다.

학고재 주간 손철주 선생님을 만나서 받은 <D에게 보낸 편지>는 많은 사람이 환상처럼 어렴풋이 느끼는 꿈인, 혹은 이루어질 수 없는 실재일지도 모르는 두 남녀 간의 부럽디 부러운 사랑이야기다. 아니, 길고 긴 한 남자의 연가라고 해야할까?

어쨌든, 이 둘은 너무도 사랑했던 것 같다.

 "세상은 텅 비었고, 나는 더 살지 않으려네.
우리는 둘 다, 한 사람이 죽고 나서 혼자 살아가는 일이 없기를 바라네."

아내가 정신적인 협력자이며, 삶의 동반자라면.
아니 나의 배우자가 그런 위치에서 나의 든든한 버팀목이 된다면 삶은 참으로 풍요로울 것이다.
운명처럼 만나, 죽는 순간까지 일체가 되어 살 수 있다면, 사는 내내 행복이겠지. 앙드레 고르는 도라를 만나 그랬던 것 같다. 앙드레 고르는 자신의 길을 찾는 것은 그녀를 사랑하는 길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가 글을 쓰면서 살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도라는 인식시키고 또 인식시킨다. 인식시키는 것 뿐만이 아니라, 그의 든든한 지원자가 된다.

삶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정신적인 곤궁을 느껴야 할 때도, 그를 한없이 지지하는 도라가 있어 그는 힘을 낼 수밖에 없었던 것 같다. 도라가 병에 걸리고, 오랜시간 그를 간병하고, 죽음에 이르는 순간에도 함께했던 앙드레 고르. 그녀없는 삶은 그에겐 아무 의미도 없었던 것일까?
그녀가 죽고, 자살로 그녀를 따른다.
죽음 앞에서도 두려움없이 그녀를 따를 수 있었던 그의 용기는 사랑의 완성이 아닐까?

단지, 결혼이라는 법제화된 사회적 구속 속에서 아웅다웅하며 서로를 사랑하지도 않으면서 어떠한 이유들 때문에 억지스럽게 묶인 상태로 불행하게 살아가는 이들에게,
결혼과 사랑의 의미를 다시 한번 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