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라우마 - 우리 안의 트라우마 마주하기, 치유하기
김선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5년 3월
평점 :
이 모든 세상의 트라우마가 사라지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책을 덮었다. 알고보면 사라지는 것보다 더 늘어나는 게 많은 세상. 하루를 살다보면 별 일 아닌 것들도 별 일이 되고, 안전하게 살아가는 줄 알다가도 위험에 닥친다.
나에게 직접 닥치지 않은 사고도, 내가 겪은 사고만 같고,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쌓이며 또 다른 문제를 발생해 분통터지게도 한다. 엄마는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를 보고 절대 비행기는 못 탈 거 같다고 말한다. 타기만 심장이 두근두근 될 거 같다고. 그러다가 괜찮아질지도 모르지만, 어떤 사고는 당사자들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큰 일이 되어버린다.
군에 입대했던 큰 아이는 폐쇄적인 군대 안에서의 생활이 쉽지 않아 공황장애가 발생했고, 답답한 상황을 참지 못한다. 그녀석에는 무엇이 트라우마로 남게 될지 늘 걱정이다. 이태원을 갈 때마다 참사가 발생했던 골목을 마주할 때마다 그때 보았던 장면들이 떠오르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늘 마음이 아프다. 천안함 사고 발생 시 배 안에 있었던 내 동생은 동기를 모두 잃었다. 그때의 시간을 마주하면 눈물을 흘린다. 한동안은 큰 소리가 나는 것에 치를 떨도록 싫어했다. 잘 치료 받아야 했으나, 그마저도 지속적이지 못했다.
이 책에서는 수많은 트라우마를 마주할 수 있다. IMF, 세월호, 성폭력, 위안부 할머니, 아동학대, 폭력, 군부적응, 자립준비청년, 학교 폭력, 4.3, 전쟁. 다양한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모여 있다. 저마다 상처도 다르고 극복하려 하는 마음도 다르다. 트라우마는 우울증, 조울증, 조현병, 자살 등 수많은 정신질환을 발현한다. 트라우마 치료를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트라우마>를 읽으면서 트라우마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게다가 타인이 경험할 수 있는 아픔을 하나하나 짚어볼 수 있었다. 경험하지 않은 상황과 사고, 그 안에서의 몸부림은 살고자 하는 처절한 고민이며 고뇌이다. 트라우마를 이겨내고자 하는 수많은 행동들과 생각들은 생존하려고 하는, 회복하려고 하는 노력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아프다는 것은 치유하고 회복해야 하는 것인데 그 지난한 과정이 쉽지 않음을, 단번에 될 수 없음을, 우리 모두 함께 극복해야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느끼며.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누구에게나 숙제임을 또 한 번 깨달으며. 책을 읽으며 가장 공감했던 말을 적는다.
“저는 우리 모두가 상처받은 치유자라고 생각합니다. 살면서 나도 모르게 상처를 주고, 때론 상처를 받아서 아파하기도 합니다. 이런 상처를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하고 아파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주변에 트라우마나 상처가 전혀 없는 사람들처럼 보이는 이들이 있지만, 드러내지 않았을 뿐 그들 또한 아픔을 스스로 애도하고 아파하며 치유 과정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Not all wounds are visible.” 모든 상처가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