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이유 없이 불안할까 교양 100그램 5
하지현 지음 / 창비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지내다가도 불현 듯, 어떤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아 조마조마해질 때가 있다. 행복과 평온 뒤에 꼭 찾아오는 근심스러운 일과 좋지 않은 일들. 항상 평온한 날이 계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기에 문득문득 쓸데 없는 불안에 휩싸인다. 늘 걱정과 문제는 해결되면 괜찮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면서도 부지불식간에 닥치는 난데 없는 일들 때문에 생각과 마음이 달리 달릴 때가 있다.

많은 게 마음가짐과 맞닿아 있을 텐데, 왜 잘 되지 않을 때가 있을까? 심장이 두근두근 거리면서 진정되지 않는 일들이 발생할 때는 침착하게 그 순간을 건너는 마음을 어떻게 가질 수 있을까? 적당한 정도의 불안은 나를 지키는 것이라고 책에서 말하고 있지만, 적당한 정도를 넘어서는 불안이 닥쳐와 공황장애를 일으키는 아이를 볼 때면 그 근원은 어디일까 내심 궁금하고 답답했다.

불안이라는 감정이 가득 차오른 상태에서 펑하고 터져버리는 것인지, 어떤 상황에 맞딱드리면 반응하는 것인지, 예민함이 극에 달했을 때 나타나는 것인지. 안개 같은 마음을 물을 수 없어서 괴로운데 약과 마음가짐으로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지 의문이 풀리지 않았다.

불안에 취약한 사람의 머릿속을 이해하고, 불안 뒤에 닥치는 행동의 이유를 이해하고 싶어서 이 책을 들었다. 불안은 상황이 바뀌었을 때, 불확실함, 어려움, 외로움, 괴로움 등 많은 상황에서 발생하게 된다. 불안하지 않았을 때의 나의 모습과 현실 사이에서의 간격을 더 메울 수 없다고 느끼거나, 상황이 크게 느껴지면 불안도 증폭된다는 것, 생애주기에서 언제든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를 하고 보니 하지현 선생님의 말처럼 정말 ’올 게 왔구나’라는 태도로,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는 게 최선이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흘러가게 두는 것. 그런 마음을 갖기 위해 현 상태를 이해해 보려고 노력하는 것의 중요함. 통제할 수 없고, 변해가는 시간을 받아들이려 하는 것이 불안을 다스릴 수 있는 최선의 힘이 아닐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 불확실성이라는 것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입니다. 더 정확하게 계산해서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게 아니라요. 열린 미래 속을 기꺼이 헤매고자 하는 자세를 갖는다면 불확실성이라는 녀석이 그렇게 두려운 것만은 아니게 다가올지도 모릅니다.“

내가 생각하는 정상의 범위를 넓히고, 지금 느끼는 불안을 내 존재론적 문제로 일반화 하지 않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 어떤 점에서는 타인과의 비교를 끊임 없이 해오며 좀 더 나은 삶, 우위의 삶을 살아가고 싶어하는 욕망이 불안을 낳고 낳고 또 낳는 것 같다. 시시때때로 삶은 변해가지만, 나의 중심을 스스로 만들고 그 안에서 나의 것들을 만들어 가겠다는 태도만이 불안에서 멀어지는 길일지도 모른다.

<나는 왜 이유 없이 불안할까>를 읽으면서, 근원적인 것부터 차근차근 기본과 이유를 설명받는 느낌이 들었다. 상담실에 앉아 하나씩 질문하고, 왜 인지 답을 듣는 편안한 설명을 듣는 기분. 내 옆의 누군가 자꾸 불안을 느끼고 있다면, 잠깐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위로도 응원도 막힌다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고 건네주고 몇시간쯤 혼자 생각해보면 어떻겠냐고 해보는 것도 좋겠다. 불안하지 않을 도리는 없다. 하지만, 불안의 이유들을 알고 나면 조금 더 나를 위로하고, 챙겨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