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번째 달에게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22
박미연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1월
평점 :
이 세계에 살고 있는 ‘나’와 같이 다른 세계의 ‘나’가 있다면 어떨까? 어딘가에서 나와 다른 나가 살고 있다면? 그런 상상력이 만든 이야기 같았지만, 읽고 보니 ’나‘를 빼앗기고 잃어버린 ’나’가 진짜 ’나‘를 찾아가는 여행 같았다.
늘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원하고 있나? ’나‘는 ‘나‘로 살고 있나? 생각한다. ’나‘라는 문제에 봉착하면, 늘 어렵다. 이 세계를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제일 많이 고민하고 있는 것은 ‘나’가 아닐까?
아빠의 요구와 기준에 늘 맞춰야 하는 시은이. 시은이는 청소년기에 부모의 요구에 따라 부단히 노력하는 작고 여린 아이다. 아빠가 힘을 써서 들여보낸 최고 엘리트 학교, 미술로 정해 놓은 진로. 그게 꼭 진리이고 답인 것처럼 아빠의 기준에 맞추다 지쳐 버리는 아이. 그리고 서서히 ‘나’를 잃는 아이.
답답한 청소년기 시절의 아빠와의 투닥거림이라면 평범했을지 모르나, 이 이야기에는 SF적인 요소들이 가미되어 있어, 상상력을 자극한다. 게다가 진짜 시은이는 죽고, 평행세계에서 온 시은이가 기억을 거세당한채 이 세계에서 살고 있다는 비밀마저 신비롭다. 나는 ’시은‘이 맞지만, 이 세계에서 살고 있는 ’시은‘은 아니라는 비밀. 그 비밀을 깨닫게 해주려는 오빠, 비밀을 알게된 시은이를 어쩌다보니 돕게 된 해준. 비밀을 알게된 후 이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애쓰는 시은이의 행동들을 따라가다 보면 숨막히는 강요가 존재하는 지금 우리의 세계와 맞닿는다.
성적도, 재능도 최고인 오빠와 자신을 비교하며 자책하는 현실에 익숙해져버린 시은이. 아빠가 원하는 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어떠한 부정도 저지를 각오가 되어 있는 시은이. 아빠를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가장 친한 친구 해준이를 외면하는 시은이. 아빠를 속이기 위해 어떠한 거짓말도 할 준비가 있는 시은이. 시은이의 절박함은 버림 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에 기인한다.
진실을 알았으나, 이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또 다시 버림 받지 않기 위해 발버둥치며 노력하지만, 단번에 해낼 수 없다. 두 번째 시은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서서히 떠오르는 기억들은 다른 세계에서 살았던 진짜 ‘나‘다.
기억을 찾은 게 더 지옥같았을지 모르는 시은이의 마지막 선택은 ’나’를 찾겠다는 선택이었다. 내 삶을 누군가에게 맡길 수 없다는, 거짓된 나로 살아갈 수 없다는 깨달음을 얻은 시은이의 선택은 예상 밖이어서 놀랐고, 나라면 그런 선택을 할 것인가라는 생각을 깊이 하게 되었다.
‘나’답게 사는 일이 어려운 시대다. 진짜 ’나’는 누구일까, ‘나‘라는 존재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걸까를 생각하게 되는 하루하루. ”지옥에서 벗어나려면 세계를 바꿀 게 아니라 날 바꿔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는 시은이의 말에 깊은 사유가 담겨 있다. 늘 내가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는 생각을 해왔는데, 시은이의 마지막 메시지와 선택이 인상 깊었다.
<두 번째 달에게>는 시은이가 ’나‘를 찾아가는 여정이다. 거짓으로 둘러쌓인, 내가 선택하지 않은 수많은 것들을 강요받으며 살던 ’나’가 어떤 ’나‘로 살기 원하는지 알아가는 과정. 또 다른 세계에서 시은이가 ’나‘를 잃지 않고 맞서 싸워 행복하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