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산 시렁 - 등산이 싫은 사람들의 마운틴 클럽
윤성중 지음 / 안온북스 / 2024년 12월
평점 :
나는 등산을 싫어하는 사람인가? 좋아하는 사람인가? 생각을 해보니 막 좋아하는 사람 같지는 않다. 정상에서 맛보는 쾌감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오르는 내내 숨이 차는 건 좀 싫은 것 같다. 내가 등산을 갈 때는 날씨가 좋은 날, 막걸리가 좀 땡기는 주말. 숨이 차게 오르곤 마시는 막걸리는 꿀맛. 물론 딱 한 잔이어야 한다. 산에는 화장실이 없어서 생각 없이 마셨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 이제 막 12살이 된 막내는 등산을 갈 때마다 후회하면서도 꼬시면 넘어오는데, 아차산에는 산을 오르는 길목마다 아이스크림 파는 분들이 계신다. 헥헥대고 올라가서 먹는 포기하고 싶을 때 먹는 아이스크림이 꿀맛이라나.
숲은 또 좋다. 제주도에서 걷는 숲길, 북한산 둘레길도 제법 좋다. 나무가 가득한 곳을 걷다 보면 분노가 사라지는 것 같다. 갑자기 세계 평화가 온 것 같은 기분. 숲은 특히 비가 내릴 때, 혹은 빛이 좋을 때가 좋다. 그렇다고 지리산 종주를 한다거나 겨울 한라산에 오를만한 용기는 나지 않는다. 적당히 동네에서 가까운 아차산 정도가 쉽고 빠르고, 부담 없이 갈 수 있는 정도다.
<등산 시렁>은 등산이 싫은 사람들을 꼬셔서 산에 데려가는 이야기가 있다. 그런 이야기를 써야 하는 코너이기 때문에 작가는 이 사람 저 사람 꼬셔서 산에 데려간다. 이것도 재주다. 싫은데 같이 가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그가 좋거나 궁금하기 때문에 못 이기는척 가주는 게 아닐까? 월간 <산>에서 함께 일하는 디자이너랑도 가고, 시인이랑도 가고, 경쟁사 직원이랑도 가고, 사진기자랑도 간다. 패션잡지 기자랑 산에 올라가 낭독회도 하고, 산에서 낚시대를 드리우기도 하고, 소규모 사생대회를 열기도 한다. 산에서 이것저것 다 해보면서 함께 간 사람들과 수다를 떤다. 산에 오르고 내려오는 시간 동안 이야기는 계속되고, 속마음도 알게 되고, 서로 몰랐던 것들도 알아간다.
이것은 산이 주는 신비로움인지, 윤성중 작가의 독특한 코드 때문인지 모르겠다. 사실 그의 실험정신이 가득한 성향도 한몫하는 것 같다. 별 것 아니라고 함께 해보자는 등산 제안은 평소에 관심 없었지만 해볼 수도 있는 일, 해봐도 좋은 일이 되는 것 같다. 산은 무해하다. 물론 위험한 산도 있지만, 산 속에는 생명들이 모여 산다. 서로 다투지 않고. 산을 유해하게 하는 것은 사람일 뿐. 무해한 산은 언제든 오라고 우뚝 서있다. 올테면 와. 언제든지 만나줄 테니. 뭐 그런?
작가는 누군가의 고민을 듣기도 하고, 성취를 맛보게 하며, 의미를 찾아 주기도 한다. 산을 함께 올랐을 뿐인데. 신기한 일이다. <등산 시렁>은 등산을 한 에피소드들도 있지만, 작가의 엉뚱하고 유쾌 발랄한 이야기들도 담겨 있다. 등산복 브랜드에 전화하고 부탁새 매장에서 판매 체험을 해보고, 산악회를 뽑는 대학에 만학도인척하며 면접을 본 후 사실을 밝히고 인터뷰를 해보고, 꼬뮨 드 서울 멤버들과 남산 달리기를 해보고, 아내의 브라톱을 입고 뒷산을 달려가는, 골 때리는 이야기들이 방긋방긋 나타난다. 낄낄대고 웃다가 그의 도전과 실험 정신에 박수를 보냈다.
이 책이 시종일관 산에 오르고, 산의 풍경을 묘사하고, 국내에 있는 산들을 찬양하며 소개했다면 읽지 않았을 것 같다. 그래서 어쩌라고. 안 궁금해.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갑자기 ‘풉!’하고 웃다가 ‘나도 이번주는 등산 가볼까?‘ 어느새 동화되어 함께 등산을 갈 사람을 머릿속으로 물색하게 되는 신비로움이 있다. 등산을 싫어하는 사람이, 나도 좀 가봐? 들썩거리다 다짐이라도 해볼 수 있을 것 같은 이야기들이 있다.
또 하나의 재미는 삽화다. 작가가 이야기마다 그려 넣은 그림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투박한 선과 화려한 색 조화에 놀라기도 하다가, 이건 그림인가 낙서인가 싶기도 하지만 묘하게 이야기의 장면들과 어울려 만화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그림도 글도 사람의 성향이나 성격이 담겨 있는데 꿍꿍이 없는 솔직함으로 달리고, 등산하고, 사람을 만나는 사람일 것 같았다. 좋아서 하는 사람 같다. 쓰고, 달리고, 등산하고 모두.
등산을 싫어하는 사람도 그와 간다면 산이 괜찮아 거 같다. 산을 오른다는 행위에 집중하지 않고, 친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러 간다는 마음으로 천천히 슬렁슬렁 따라가다보면 정상에 오르게 되는 그런 일이 벌어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