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메이의 일기
에스메이 코델 지음, 공경희 옮김 / 세종(세종서적)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속에서 금방이라도 툭 튀어나올 것 같은 에스메이 선생님의 일기를 읽으며 나는 두가지 생각을 했다. '교육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것과 '교사는 관객(학생)들의 요구를 알고, 자신만의 철학(교육철학, 인생관, 가치관 등... 물론 그것을 강요해서는 안 되겠지만!)을 가진 '진정한' 배우여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교감 선생님께서는 늘 교사는 '수업의 전문가'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신다. 물론 맞는 말이다. 생각해보면 대학 공부도 교육이론을 많이 배우긴 했지만 '가르치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교사란 가르치는 일을 하는 사람이기때문이겠지. 하지만 열정과 아이에 대한 사랑이 없다면 가르치면서 느끼는 보람이나 감동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 같다.(나는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갖게 되는 그런 보람이 없다면 절대로 선생님을 안 할 것이다.)

지난 교대 생활 중에서 내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꼽으라면 교대 울타리 내에서 배우지 못했던 실질적인것들을 많이 배울 수 있었던 수업실습을 꼽을 것이다. 이론과 실제의 괴리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던 여러가지 감정적 경험을 몸소 실천하고, 부대끼며 느낄 수 있었던! 역시나 아이들과의 문제는 즉 사람과 사람 사이의 문제에는 이론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많은 것들이 도사리고 있었다.

교생이었던 나를 지지리도 괴롭히는 것을 재미로 삼던 한 남자아이를 대했을 때 나는 모든 아이들이 나를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슴 아픈 사실을 깨달아야했고, 내 사회 수업을 애들이 재미없다고 했을 때 내 교육방식을 모든 아이들이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했다. 교사가 된다는 것에 대한 환상에만 빠져있던 내게는 그 실제적인 경험이 상당히 충격적인 일이라 실습 중에 참 많이도 울었는데 에스메이도 역시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한 것을 보며 묘한 위로감을 갖게 되었다. 게다가 에스메이의 일기 구석구석에서 느낄 수 있는 이 동질감!(아이들과 사이에서 발생하는 고민이나 교육 외적인 것으로부터 받는 여러 고민들뿐 아니라 가르치는 일에서 얻는 즐거움까지를 포함한 그녀의 일상 몽땅다!) 그래서인지 에스메이가 자꾸자꾸 더 좋아진다.

나는 지금도 수업을 하면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깨닫고 얻는 것도 많지만 아이들과 실제로 부닥치면서 느끼고 얻는 것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아무래도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야 그들에게 더 적절한 '교육'을 할 수 있을 테니까!

아이들에 대한 열정으로 노력하는 '준비된 교사'인 마담 에스메이.. 그녀가 정말로 존경스럽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05-10-01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학에서 배운 것이 학교에서 얼마나 쓰이던가요? 대학 교육이 정말 엉터리임을 알 수 있다지요. 저는 교대 출신이 아닌 사대 출신이지만, 엉터리인 건 같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