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소설로 그린 자화상 2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 말은 작가가 서울 현저동으로 이사와서 매동학교까지 가는 길에 산을 넘는 동안 낯설고 정도 가지 않던 아카시아의 '비릿하고 들척지근'하여 '헛구역질'이 나는 맛을 보고 고향인 박적골 뒷동산의 '새콤달콤'하며 '입 안에 군침이 돌게 신 맛'인 싱아의 맛을 그리워하며 하는 말이다.

어린 시절 박적골에서의 기억은 그야말로 유년시절의 철모르던 행복함 그 자체로 그려진다. '한시도 정지해 있지 않고 살아 움직이고 변화'하는 자연 속에서 '심심할 겨를'도 없었고, 무엇보다도 '할아버지'라는 든든한 백이 있었으니까.

하지만 엄마를 따라 서울로 오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그녀의 성장통이 시작된다. 풍요롭고, 자유롭던 박적골에서와는 달리 그녀는 서울에서야 비로소 궁상맞은 생활을 경험했으며 엄마의 이중성으로 인해 엄청난 혼란스러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어쩌면 궁상스러움이나 인간의 이중성이란 철저히 세상에 물들어 가는 과정을 상징하는 것이니만큼 어린 그녀에게는 처음 겪는 낯설음과 혼란을 안겨주었으리라.

그녀가 기억으로 묘사하고 있는 그녀의 성장의 과정이 단지 한 개인의 지나온 과거로 읽히지 않았던 까닭은 당시의 혼란스러운 사회상에 우리의 지난 역사가 그려져 있었기때문이다.

오빠의 사상과 전향. 한민족끼리의 사상 싸움이 이렇게도 혹독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게 되고는 무척 가슴이 아팠다. '승리의 시간은 있어도 관용의 시간은 있어선 안 되는게 이데올로기의 싸움의 특성인 것 같다'는 작가의 말. 어쩌면 시대가 죄인을 만든다는 말이 맞는 말인 것 같다고 생각했다.

누구에게나 유년의 기억은 <다시 되돌아갈 수 없는 평화로움과 아늑함의 시간>과 급격한 신체적, 감정 변화와 예민하다 못해 날카롭기까지 한 감수성으로 인한 <혼란스러움의 시간>으로 나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자가 '싱아'로 후자가 '아카시아'로 짧게 대별되었다고 한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아련한 그리움과 따뜻한 기억의 상징인 싱아는 정말 누가 다 먹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