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키호테 -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 주는 옛이야기 1
에리히 캐스트너 지음, 문성원 옮김, 발터 트리어 외 그림 / 시공주니어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에리히 캐스트너'라는 사람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물론 에리히 캐스트너가 쓴 책도 처음 읽어본다. 원작은 많이 알려진 것들임에도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정말 새롭고 재미있었다. 내가 어릴 때 이 책을 읽어보지 못 했음이 너무 아쉽다.

에리히 캐스트너는 모든 이야기들을 정말 있었던 일인 것 마냥 들려준다. 그래서 더더욱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아마 내가 아직 순진한 어린이였다면 그의 이야기를 진짜로 믿고, 나 역시 걸리버가 다녀온 릴리펏이나 브롭디냑에 가보고 싶어했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릴리펏이나 브롭디냑은 실제로 있을지도 모른다.

다만 이젠 아이처럼 순진하지 않은 내 자신이 '릴리펏이나 브롭디냑 따위'를 믿어서는 안 된다고 스스로에게 무의식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래, 솔직히 나는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모든 이야기들을 믿는다. 그의 이야기는 나에게 잠자고 있던 기억 어딘가의 한 편을 되살려 주었다. 즉 그는 내게 어린 시절이후로 잃어버렸던 또다른 세계를 다시 찾아주었던 것이다.

상상력이 풍부한 어린이들에게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무척 흥미로우리라고 생각한다.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옛이야기 두번째편 속에는 걸리버 여행기와 쉴다의 시민들이라는 이야기가 들어있다.

첫번째 이야기인 걸리버 여행기는 소인국과 거인국을 등장시켜 무척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우리는 어릴 때 자주 걸리버 여행기에 등장하는 소인국이나 대인국등을 떠올려 본다. 정말 그런 나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아이들에게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걸리버 여행기’는 아이들로 하여금 브롭디냑이나 릴리펏이라는 나라가 진짜 있을 것이라는 확신까지도 심어준다.

두번째 이야기인 쉴다의 시민들은 원래 무척 똑똑한 사람들이었는데 그들은 너무 똑똑했기 때문에 전국을 돌아다니며 조언을 해 주느라 자기 가정과 지역을 돌볼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그들은 일부로 어리석은 척을 하며 자기 지역에 남아 다른 지역의 사람들이 그들의 지역에 와서 돈을 쓰고 가게 한다. 그러나 어리석은 짓을 하느라 진짜 어리석어진 쉴다의 시민들에게 어리석은 것의 대가가 자기의 나라를 잃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 장면이 좀 불쌍하긴 하지만 쉴다의 시민들이 어리석은 짓을 하는 과정이 참 재미있다.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모든 이야기들은 지금까지 현실의 틀에 고정되어 있던 내 사고를 무한히 연장시켜 새로운 세계로까지 확대시켜 주었다. 늘 갇혀지내던 현실의 고민을 빠져나와 재미나고 기발한 상상의 세계 속에서 마음껏 웃고 즐기게 해주었다. 에리히캐스트너가 말하는 세계는 분명 우리 모두의 머리와 가슴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면서 우리가 찾지 않고 혹은 모르고 지내던 세계였다.

에리히 캐스트너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좋은 이유는 우리의 무의식 속에 잠자던 잠재의식들을 흔들어 깨워 무한히 사고의 지평을 넓혀가게 해주는 점인 듯 싶다. 다소 잔인하고, 과장되지만 재치있고 기발한 이 이야기들은 요새 말하는 소위 ‘엽기’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이야기들이다. 아마도 이 이야기들은 세월을 더해가도 지금까지 그래왔었던 것처럼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늘 사랑을 받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