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정원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의 책장이 쉼없이 빠르게 넘어갈 수 있었던 이유는 멋진 사랑이야기가 이어졌기 때문이고, 감옥에서 수인의 생활 묘사가 몹시 흥미로웠던 때문이다. 역시 그 때문에 이 소설의 알맹이는 다 기억 속에서 빼먹기도 했지만 ……. 오현우와 한윤희가 살아온 삶 속에 우리의 지난 시대가 들어있고, 그들이 그 시대와 화해하려고 하고 있다는 것을 통해 작가 황석영이 어떻게 살아왔고, 어떻게 살아가려 하는 지를 짐작할 듯하다.

소설 속에서의 광주 항쟁이며 10월 유신반대, 반독재・민주화 운동 등은 나에겐 ‘모를 일’, ‘모르는 일’이었다. 하지만 ‘몰라도 될 일’은 아니다. 이 소설은 내게 그것들에 대해 알려주고 있었다. 아주 자상하고 아름답게.

윤희의 아버지는 빨치산 출신으로 가장 노릇을 거의 해내지 못한다. 그녀의 딸 은결이의 아버지인 오현우 역시 앞으로는 어떠할지 모르겠으나 책 속의 과거에서는 아버지의 존재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 윤희는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알 수 없는 원망을 언젠가부터 미안하게 느낀다. 그리고 아버지의 삶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된다.

윤희는 은결이가 자신과 같이 아버지의 삶을 원망 섞인 눈초리로 바라볼까봐 길고긴, 자세하면서도 따스한 편지를 남긴다. 그녀 자신의 아버지와 은결이 아버지인 현우에 대하여……. 그들의 삶에 대하여……. 나는 윤희가 어째서 저렇게 자기 아버지의 젊은 날에 대하여 자세히 적어두고 기억을 되새겼는지 이제 알 것 같았다. 윤희는 은결이와 내가 이승에서 지어갈 부녀지간의 애증을 걱정했는지도 모른다.(160쪽)

윤희는 자신이 사랑한 건 ‘아버지의 빛나는 젊음에 대한 막연한 상상’이었을 것이라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그녀가 사랑한 건 시대를 온 몸으로 살다간, 시대의 아픔을 그려낸 듯한 ‘그들’이 아니었을까? 미대 조소과 선배에서 오현우, 송영태, 이희수까지……. 그녀는 시대를 껴안은 그들과 자신의 짧은 생을 함께 했다. 그녀 역시 시대를 함께 했지만 좀더 배후에서 바라보는 입장이다. 그렇게 살다간 그녀가 사랑했던 현우의 남은 생은 어떻게 될까?

사람에게나 아니면 무슨……풀꽃도 제철이 있는 거 아닌가요? 아버님의 이십대가 그 분의 생애에서 가장 빛나던 시절이었고, 살아남는 다면 그 뒤에는 그냥 사는 거요. 현우 역시 빛나는 시절을 뒤로하고 이젠 그냥 살아가게 될까? 그의 몫은 이제 다음 세대인 은결에게로 넘어갈까?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을 줄 알았던 이 세상에’ 윤희가 ‘남겨놓은 갈뫼의 아이’에게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