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Orange Juice, No Pulp
2편 Scion
3편 Gold Digger



*이 글은 다큐 시리즈 'The Rehearsal'의 세부 항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네이선 필더의 리허설 세계 입문: 1편 Orange Juice, No Pulp
 
  한 남자가 있다. 그는 동료들에게 자신이 박사 학위를 가진 사람이라고 말해왔다. 하지만 그의 최종 학위는 학사이다. 무려 12년 동안 동료들에게 거짓말을 해온 이 남자 스키트는 어느날 문득 거짓말의 무게를 느낀다. 그래, 진실을 이야기하자. 그렇게 결심을 했지만 말을 꺼내는 일은 쉽지 않다. 특히 자신과 가장 가까운 동료 트리샤가 보여줄 반응이 가장 걱정된다. 이때 그의 어려움을 조금 덜어주겠다는 사람이 등장한다. Nathan Fielder는 스키트가 트리샤와 대면할 순간을 위해 완벽한 리허설을 준비하겠다고 약속한다. 네이선은 스키트가 진실을 말할 장소인 동네 주점을 똑같이 세트로 만든다. 트리샤 역을 맡은 대역 배우도 뽑았다. 배우는 트리샤뿐만이 아니다. 주점의 바텐더를 비롯해 직원, 손님들도 모두 배우이다. 진짜 스키트는 가짜 건물, 가짜 손님들 사이에서 자신의 진실 고백 리허설을 시작한다.

  올해 7월에 HBO 채널을 통해 방영된 다큐 시리즈 'The Rehearsal'이 미국에서 화제다. 이 시리즈는 제목 그대로 의뢰자들에게 고민 해결을 위한 리허설 기회를 제공한다. 단지 상황극이라고만 생각하면 오산이다. 리허설 과정을 총괄하는 네이선 필더는 발생 가능한 모든 변수를 고려하고 그것을 통제하기 위해 애쓴다. 1편 'Orange Juice, No Pulp'에서 뜻밖의 변수는 스키트가 선택한 주점에서의 퀴즈 타임이었다. 스키트는 자신이 늘상 푸는 퀴즈의 정답을 맞추지 못하면 신경이 곤두설 것 같다고 네이선에게 말한다. 그것이 스키트의 진실 고백에 영향을 줄까 우려한 네이선은 미리 진짜 주점 관계자를 만나 퀴즈 문제를 건넨다. 그리고 스키트와 자신이 산책할 때 스키트가 그 퀴즈 정답을 알아낼 수 있는 상황극을 보도록 만들었다. 물론 스키트는 네이선의 이러한 물밑 작업을 모른다.

  사실 퀴즈 정답 맞추기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따로 있다. 대역 배우 트리샤의 리액션이 스키트의 현실 동료 트리샤와 비슷할 거라는 보장은 그 어디에도 없다. 그래서 네이선은 그 부분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려고 일종의 속임수를 기획한다. 가짜 트리샤를 진짜 트리샤와 만나도록 설정해서 거짓말에 대한 진짜 트리샤의 반응을 떠보는 것이다. 이 만남을 통해 대역 배우는 트리샤의 말투, 몸짓, 감정 표현 방식까지 알아내고 그것을 리허설에 써먹는다. 완벽한 리허설을 위한 네이선의 디테일에 대한 집착은 그야말로 상상을 초월한다.

  스키트는 세트장에서 총 13번의 리허설을 거쳤다. 리허설에서 가짜 트리샤는 스키트에게 화를 내며 자리를 떴다. 마침내 다가온 스키트의 운명의 날. 실제 주점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는 스키트의 진실 고백 타임을 생생하게 포착한다. 과연 진짜 트리샤는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가? 그런데 이런, 시작부터 쉽지가 않다. 리허설에서 스키트가 앉았던 자리에는 이미 다른 손님이 앉아있다. 스키트는 거짓말로 양해를 구하고 자리를 확보한다. 트리샤가 주점 안으로 들어온다. 둘은 가벼운 대화를 나눈다. 스키트는 퀴즈 타임의 정답도 기분좋게 다 맞췄다(주도면밀한 네이선 덕분에). 리허설에서 미리 연습한 진실 고백 타이밍은 바로 그 즈음이었다. 하지만 스키트는 긴장과 압박으로 입을 떼지 못한다

  다행히 스키트는 용기를 쥐어짜낸다. 그리고 트리샤에게 자신에 대한 진실을 털어놓는다. 네이선은 홀가분한 심정으로 귀가하는 스키트와 대면한다. 이 리허설은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할 수 있을까? 네이선은 스키트에게 자신이 퀴즈 문제를 미리 조작했다는 사실을 털어놓지는 못했다. 네이선은 대역 배우 스키트와 그 부분을 리허설하면서 무척 안좋은 리액션을 받았다. 그래서 두려웠다. 그렇게 1편 'Orange Juice, No Pulp'가 끝난다. 그 제목은 의뢰자 스키트가 오렌지 주스를 주문할 때 하는 말에서 따왔다.

  이 흥미롭고 놀라운 다큐는 여러 생각을 하게 만든다. 과연 우리는 우리 자신을 잘 알고 있는가? 그렇다면 아주 오랫동안 알고 지낸 타인은 어떠한가? 거짓말은 반드시 배척해야만 하는 것인가? 만약 용인될 수 있다면 어떠한 목적에서, 어느 정도의 선이 적당한가? 네이선이 설계한 리허설의 세계는 의뢰자만 빼놓고 모든 것이 '가짜'이다. 리허설이 아무 문제없이 굴러가더라도 그것이 진짜 현실의 세계로 들어오면 달라진다. 그러므로 네이선은 발생 가능한 상황의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애를 쓴다. 1편에서 네이선의 시도는 성공적이었을까? 그는 진실을 말하게 될 스키트의 내적 감정과 압박감을 고려하지 않은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이제 이 완벽주의자 리허설 설계자는 2편의 의뢰자와 새로운 작업을 시작한다.   
 

2. 네이선, 리허설의 주인공이 되다: 2편 Scion, 3편 Gold Digger

  2편의 의뢰자는 44살의 안젤라이다. 안젤라는 더 나이가 들기 전에 아이를 낳을 생각이다. 하지만 양육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 때문에 주저하고 있다. 안젤라의 바람은 이러하다. 아기때부터 십 대 청소년에 이르기까지의 자녀 양육 과정을 단기간 내에 체험해 보는 것. 거기에는 안젤라가 원하는 양육 환경에 대한 세세한 요구 사항도 들어간다. 도시 근교에 텃밭을 일구면서 자연과 가까이 지내는 삶. 네이선은 안젤라의 리허설을 위해 오리건 근교의 주택을 빌린다. 실제 텃밭도 만들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 역할을 맡을 대역 배우들의 채용이었다. 오리건의 주법은 아동이 4시간 이상 상업적 작업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므로 네이선은 4시간마다 아기 배우들을 교체해야 했다. 밤에는 로봇 아기 인형으로 대체하고 그 인형에서 우는 소리가 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안젤라와 공동으로 양육을 하게 될 남자도 있어야 했다. 안젤라가 데이트 앱으로 만난 젊은 남자 로빈이 그렇게 리허설에 들어온다.

  그런데 로빈은 리허설을 시작한지 몇 시간만에 그만 두고 가버린다. 그는 야간에 울도록 설정된 로봇 아기의 울음소리를 견디지 못했다. 양육자 없이 리허설을 계속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어쩔 수 없이 네이선은 안젤라와 합의하에 자신이 아빠 역할을 맡기로 한다. 리허설 설계자는 그렇게 자신도 리허설의 세계 안으로 밀어넣는다. 그 역할은 네이선에게도 낯설다. 독신인 그는 아빠가 되어본 적이 한번도 없다. 자신과 다른 종교적 배경을 지닌 양육자 안젤라와도 협력해야 한다. 할로윈을 사탄을 찬미하는 행사로 여기는 안젤라를 인정하는 일은 그에게도 버겁다. 아이와 함께 모처럼 기획한 할로윈 행사는 안젤라의 반대로 썰렁하게 끝난다.

  그 와중에 아들 Adam역의 아역 배우들도 계속 바뀐다. 안젤라는 아기에서 훌쩍 자라버린 아담을 네이선에게 인사시키는데, 아담은 누군지 모르겠다며 어깨를 으쓱한다. 이 웃지못할 리허설은 네이선의 실제 현실과 겹쳐지며 이어진다. 그 집에서 네이선은 출퇴근을 하며 지낸다. 그리고 의뢰인 패트릭을 위한 새로운 리허설을 구상하고 진행시킨다. 3편 Gold Digger(남자의 돈을 보고 접근하는 여자를 의미함)편의 패트릭의 고민은 이렇다. 세상을 뜬 조부는 유산 집행인으로 패트릭의 형을 지정했다. 조부는 패트릭이 gold digger와 같은 여성과 결혼하면 유산을 줄 수 없다는 조건을 걸었다. 그런데 패트릭의 형은 패트릭이 사귀고 있는 여자 친구가 돈만 밝힌다며 유산을 주길 거부하고 있다. 패트릭은 형을 설득하고 싶어한다.

  네이선은 2편과 3편에서 자신이 리허설에서 간과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있음을 자각한다. 아무리 현실을 완벽하게 복제하려고 애를 써도 리허설이 쉽게 살려내지 못하는 것이 '감정(feeling)'이다. 과연 패트릭은 형 역할을 연기할 대역 배우 아이작을 진짜 형으로 느끼고 생각할 수 있을까? 그것은 네이선 자신에게도 해당된다. 안젤라와의 리허설에서 네이선은 아기 돌보기는 그럭저럭 해내지만 진짜 '아기 아빠'라는 느낌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네이선은 패트릭을 위한 또 다른 상황극을 구상해낸다. 아이작의 가짜 할아버지를 설정하고 패트릭이 그 가짜 할아버지 배우와 인간적 유대감을 쌓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패트릭은 아이작과 그 조부의 관계가 가짜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패트릭은 아이작의 할아버지가 숨겨놓은 작은 금상자를 찾는 과정을 돕는다. 그리고 철저한 리허설 설계자 네이선은 가짜 조부의 죽음을 패트릭에게 통보한다.

  그런 와중에 실행된 패트릭의 리허설은 어떻게 끝났을까? 그는 한 번의 리허설을 끝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리허설 준비 초반에 네이선은 패트릭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형에게서 단지 할아버지의 유산을 받아내려는 것인지, 자신의 여자 친구를 형이 인정해주길 바라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가짜 형 아이작과의 단 한 번의 리허설을 통해 패트릭은 진심을 내보이며 형제간의 유대를 새롭게 한다. 어떤 이에게는 '리허설'과 같은 조작된 가공의 현실 체험이 매우 강력한 자기 성찰의 도구가 된다. 패트릭의 경우는 그 점을 입증한다. 네이선은 그런 패트릭의 모습을 놀라움과 부러움으로 바라본다.

  패트릭과는 달리 네이선은 안젤라와의 양육 리허설에서 도무지 느껴지지 않는 '아기 아빠'의 감정 딜레마에 빠져있다. 식탁에 앉아있던 네이선은 채소 손질을 하고 있는 안젤라를 바라본다. 안젤라가 텃밭에서 수확한 파프리카에는 가격표가 붙어있다. 그것은 촬영 스태프들이 마트에서 사온 채소들을 밤중에 미리 텃밭에다 묻어둔 것이다. 네이선은 얼른 일어나 파프리카의 가격표가 보이지 않도록 돌려놓는다. 네이선은 리허설 속 진짜와 가짜 사이의 힘겨운 줄타기에서 무엇을 발견할까? 남아있는 3편의 에피소드는 그에 대한 답을 줄지도 모른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사진 출처: vulture.com   리허설 3편의 네이선 필더(사진 가운데). 그는 노트북을 저렇게 엿장수처럼 들러메고 리허설 준비 과정의 모든 것을 기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의 조란학(O, Collecting Eggs Despite the Times, 2021)
핌 즈비어르(Pim Zwier), 84분

다크 레드 포레스트(Dark Red Forest, 2021)
진화칭(Jin Huaqing), 85분



1. 새알 연구자의 복원된 삶: 시간의 조란학(2021)

  조란학(oology)는 조류학에서 뻗어나온 학문이다. 새의 알과 둥지, 번식의 생태적 환경이 연구 주제가 된다. 지금은 새알 채취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학문의 존재 근거는 다소 희미해졌다. Max Schönwetter(1874–1961)는 그 조란학의 개요서를 쓴 독일 학자이다. 다큐 '시간의 조란학'은 쉔베터가 쓴 편지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를 찬찬히 들여다본다. 거기에는 쉔베터가 지나온 나치 독일 시기와 전쟁의 기억도 포함된다. 당시 독일의 상황을 보여주는 다양한 아카이브 필름들이 함께 어우러지며 한 연구자의 지난했던 삶에 대한 이해를 더한다.

  나는 처음엔 이 다큐를 볼 생각이 별로 없었다. 시놉시스만 보았을 때에는 새알 연구자의 생애가 무어 그리 볼 게 있겠는가, 싶었다. 그런데 이 다큐는 놀라운 흡인력을 지니고 있다. 내레이션으로 나오는 쉔베터와 지인들의 편지글에는 학문 연구에 대한 열정이 넘쳐난다. 당시 새알을 연구하는 이들은 학자라기 보다는 수집가의 영역에 머물렀다. 쉔베터는 새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새알'이라는 분야로 확장시켰다. 비교적 부유했던 그는 자주 여행을 다니면서 새알을 수집했고 그것을 꼼꼼히 기록해서 관리했다. 그의 새알 컬렉션이 쌓이는 동안 바깥 세상은 점차 소란스러워지고 있었다. 히틀러가 집권했고 독일은 전쟁의 광풍에 휩싸였다.

  이 순수하고 열정적인 새알 연구자는 전장터에 가서도 새알을 모으러 다녔다. 독일이 핀란드를 침공했을 때, 쉔베터도 그곳에 있었다. 그가 쓴 편지글에서는 핀란드의 숲속에서 진귀한 새알을 구하게 된 기쁨이 드러난다. 아니, 세상이 미쳐돌아가는 판국에도 새알을 수집하는 일 따위에 그토록 마음을 쓰는 것은 온당한가? 그런 의문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전쟁의 여파는 쉔베터에게도 미쳤다. 자식이 죽었고, 폭격으로 집이 불탔다. 공습으로 죽을뻔한 위기도 겪었다. 그가 모아온 새알들은 모두 파괴되었다. 하지만 그는 새알 연구를 결코 포기하지 않았다.

  편지글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쉔베터의 새알에 대한 관심은 경외심마저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돈과 명예를 바라고 하는 일이 아니었다. 그는 그저 좋아서 할 뿐인 새알 연구를 하나의 의미있는 체계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래서 그는 조란학 개요서를 쓰기로 결심한다. 끊임없이 동료 연구자들과 교류하고 자문을 구하면서 쉔베터는 책을 써내려갔다. 그러는 사이 나치 독일은 패망했고, 그가 사는 곳은 동독이 되었다. 새알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했던 쉔베터는 노년의 곤궁함과 마주한다. 지인에게 돈을 부탁하는 글에서 쉔베터는 자신을 이렇게 표현한다. '저는 이제는 가난하고 늙은 노인일 뿐입니다.'

  격동의 독일 현대사 속에 펼쳐지는 어느 조란학자의 삶에는 기쁨과 눈물, 비탄이 들어있다. 아마도 누군가는 65년 동안 새알 연구에 매진한 그의 삶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를 물을지도 모른다. 쉔베터는 필생의 역작인 조란학 개요서를 펴냈다. 그가 남긴 2만 개의 새알 컬렉션은 Halle-Wittenberg 대학 박물관에 남았다. 나에게 인상적인 장면이 하나 있다. 그의 컬렉션에는 부서진 새알도 들어있었다. 전쟁의 와중에 수집품을 온전히 보존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부서지고 조각난 새알의 파편들을 차마 버리지 못했던 그의 심정을 조금은 알 것도 같다. 거기에는 새알에 매혹된 한 사람의 오래고 고단한 삶이 담겨있다. '시간의 조란학'은 잊혀진 새알 연구자의 삶을 역사의 색을 입혀 옴스라니 복원해낸다.          


2. 수행자로 살아간다는 것: 다크 레드 포레스트(Dark Red Forest, 2021)

  야칭스(Yarchen Gar)는 티베트 자치주의 해발 4000m 계곡에 자리한 수행자 공동체 마을이다. 티베트 불교의 전통에 따라 수행하는 비구니들이 한때는 1만명에 이르기도 했다. 다큐 '다크 레드 포레스트'는 그 야칭스 비구니들의 삶을 담아냈다. 내레이션이 배제된 이 다큐는 비구니들의 삶을 온전히 보여준다. 혹독한 겨울, 겨우 몸 하나 들어갈 비좁은 개인 움막을 짓고 비구니들은 치열하게 정진한다. 그들이 의지하는 것은 오직 불법(佛法)과 스승의 가르침 뿐이다. 내면의 부름을 따라서 야칭스에 온 이들은 수행자로 살다가 그곳에서 삶을 마감한다. 그렇게 죽은 수행자의 시신은 독수리들에게 내어주도록 되어 있다.

  먹고 자는 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을 수행에 힘쓰는 비구니들. 스승은 수행자들의 정진을 끊임없이 격려한다. 다큐 속에서 목소리로만 들리는 지도자 스님은 엄격하면서도 자애로움을 잃지 않는다. 수행자도 인간이라 몸이 아픈 것은 당연하다. 전통 의술로 치료하는 의사에게 자신의 몸아픈 이야기를 하는 비구니들. 그들을 괴롭히는 온갖 질병은 수행이 육신의 편안함을 거스르는 것임을 보여준다. 복통을 호소하는 젊은 비구니는 무엇을 먹었느냐는 의사의 말에 명절 분위기에 휩쓸려 고기를 먹었다고 고백한다. 계율에 어긋나는 일이지만 그 모습은 인간적이다. 때로 속세의 가족은 떨칠 수 없는 걱정거리이기도 하다. 수행자들은 점을 칠 줄 아는 비구니를 찾아가 가족과 지인의 어려움을 해결할 방도를 찾기도 한다.

  '다크 레드 포레스트'를 보는 일은 관객에게도 일종의 명상적 체험처럼 느껴진다. 붉은 모자를 쓰고 두터운 붉은색 가사를 두른 수행자들은 세속의 우리와는 전혀 다른 것을 찾고 있다. 인간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 자아는 무엇이며 깨닫는 주체는 누구인가? 비구니들은 그런 존재론적인 물음의 답을 탐구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그 여정에서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공부한 것을 명징한 목소리로 발표하는 어린 비구니도 공동체의 일원으로 존중받는다. 노년의 비구니는 스승 앞에서 수행의 부족함을 고백하며 더욱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언제까지고 그렇게 평화롭게 이어질 것만 같았던 야칭스의 삶은 중국 당국의 정책에 의해 무너져 내린다. 2019년, 중국 정부는 야칭스의 비구니들에게 집으로 돌아갈 것을 명령했다. 야칭스가 티베트 독립 운동의 정신적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 2017년부터 점진적으로 가해진 정부의 압력은 2019년에 이르러 야칭스 수행 공동체의 해체로 이어졌다. 다큐에는 그러한 상황에서 혼란과 어려움을 겪는 비구니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그들은 과연 세속의 삶을 살아낼 수 있을까? 수행만이 전부였던 비구니들은 그렇게 야칭스를 떠나야만 했다. 

  다큐의 마지막, 야칭스의 겨울 고원에서 보았던 수행자의 움막집이 어느 계곡에 점점이 박혀있다. 자세한 사정은 알 수 없지만, 야칭스를 떠난 수행자들이 더 험한 오지에 자신들의 공동체를 꾸린듯 하다. 깨달음을 향한 비구니들의 열망은 그 무엇으로도 막을 수 없다. 혹독한 겨울에 계곡의 동물들이 굶어죽을까봐 먹을 것을 챙기는 수행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세상을 위해 기도하는 수행자가 되고 싶어요." 아마도 우리가 사는 세상이 조금 더 나은 곳이 되어가고 있다면,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 그런 수행자들의 기도 덕분일 것이다.

 
*사진 출처: eidf.co.kr




**사진 출처: en.wikipedia.org  2019년 중국 정부에 의해 해체되기 이전의 야칭스의 모습. 중국 당국은 그곳에 대규모 호텔과 숙박 업소를 지어 관광지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Juan Antonio Bardem의 두 편의 영화:

자전거 주자의 죽음(1955)

메인 스트리트(1956)



*이 글에는 두 영화의 결말 부분이 들어있습니다.


1. 좌절된 로맨스에 투영된 독재 정권의 현실: 자전거 주자의 죽음(Muerte de un ciclista, 1955)

  영화를 목숨 걸고 찍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스페인의 영화 감독 Juan Antonio Bardem(1922-2002)의 삶이 그러했다. 투쟁적 성향의 그는 독재자 프랑코가 지배하던 엄혹한 시절과 불화했다. 그 때문에 자신의 영화가 혹독한 검열로 잘려나가서 누더기가 되는 꼴을 봐야했다. 심지어 감옥에 갇히기까지 했다. 감독은 어떻게든 영화를 만들려고 애를 썼다. 스페인에서 영화 만드는 일이 어렵게 되자 해외 합작 영화로 창작의 활로를 열었다. 검열의 마수를 벗어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그의 필모그래피가 불균일한 작품성의 영화들로 채워진 데에는 그런 이유가 있다. 그 가운데에서 초기작에 해당하는 '자전거 주자의 죽음(Death of a Cyclist, 1955)''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 1956)'는 유독 반짝거린다.

  '자전거 주자의 죽음'은 자동차 사고 장면에서부터 시작된다. 여자는 연인과 짧은 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자동차 사고를 낸다. 자전거 탄 사람을 친 것이다. 동승한 남자가 확인해 보니, 차에 치인 사람은 살아있는 상태였다. 여자는 남자에게 아무도 본 사람이 없으니 그냥 가자고 재촉한다. 그렇게 그들은 뺑소니를 친다. 여자가 그렇게 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부유한 사업가의 아내인 마리아는 예전 연인 후안과 바람을 피우고 있다. 만약 사건이 알려지면 자신이 누리고 있는 모든 것을 잃어버리게 된다. 다음날 신문 기사에는 자전거 탄 남자의 사망 소식이 실린다. 누군가 그 사고를 목격하지는 않았을까? 마리아와 후안의 마음 속에는 불안이 스멀스멀 스며든다.

  영화는 예기치 않은 사고가 촉발한 긴장과 갈등을 그물처럼 촘촘히 짜내려간다. 마리아는 상류층 파티의 단골 손님인 라파로부터 협박을 받는다. 라파는 미술 비평가라는 허울좋은 직함을 달고 있기는 하지만 실상은 부르주아에게 빌붙어 기생하는 식객이나 다름없다. 그는 마리아에게 자신의 지독한 계층적 증오심을 드러낸다. "너희들 따까리 노릇하는 거 신물이 난다구. 이참에 나도 한몫 차지해야지." 마리아가 협잡꾼 라파에게 시달리는 동안 후안도 곤경에 처한다. 대학 교수인 그는 사건에 정신이 팔린 나머지, 여학생을 시험에서 부당하게 탈락시켜버린다. 학생들은 후안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인다.

  바르뎀은 계층 문제와 스페인의 정치적 현실을 로맨스에 투사한다. 마리아가 사고로 죽게 만든 사람은 매우 가난한 남자이다. 그 사실을 알게 된 후안의 죄책감은 커져만 간다. 그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젊은 날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한때는 사회 개혁의 열정으로 불탔던 남자는 타락한 중년의 부르주아가 되어 있었다. 후안은 자신의 삶을 정화시키기로 결심한다. 그는 마리아에게 함께 자수하자고 말한다. 과연 마리아는 후안의 제안에 동의할까?

  후안과 마리아의 비극적 최후는 좌절된 로맨스인 동시에 스페인의 현실에 대한 은유적 비판이다. 순수한 사랑과 도덕적 삶을 복원하려는 후안의 시도는 무위로 돌아간다. 프랑코가 지배하는 현실에서 지배 계급의 진정한 내적 각성과 변화는 불가능하다. 독재 권력과 결탁한 그들은 자신들이 가진 것을 지키기에만 급급할 뿐이다. 공산주의자로서 바르뎀은 마리아의 죽음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내비친다. 한밤중에 과속으로 운전하던 여자는 자전거를 피하려다 강물에 추락한다. 부르주아의 윤리적 과오는 그렇게 처벌받는다.     


2. 세련된 정치적 수사학: 메인 스트리트(Calle Mayor, 1956)

  로맨스를 현실 정치와 엮는 바르뎀의 솜씨는 '메인 스트리트(Main street, 1956)'에서도 빛난다. 스페인의 어느 소도시, 35살 모태 솔로 노처녀 이사벨은 운명적 사랑을 기다린다. 그런 이사벨에게 어느 날, 잘생긴 연하의 신문 기자 후안이 사랑을 고백한다. 그는 이사벨에게 결혼도 약속한다. 하지만 사랑의 기쁨은 얼마가지 못한다. 후안의 착한 친구 페데리코는 이사벨에게 진실을 알려준다. 마을의 건달들이 후안을 이용해 이사벨을 놀림거리로 만들기로 했다는 것. 이사벨은 절망에 빠진다.

  '자전거 주자의 죽음'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빋은 바르뎀은 자신에 대한 정부의 검열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영화는 표면적으로는 그다지 정치색이 느껴지지 않는다. 바르뎀은 지방 소도시의 억압적 분위기를 통해 프랑코 독재를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영화 속 가상의 소도시는 개인의 온전한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 아니다. 계층적 차별과 분리가 견고하게 작동하는 그곳에서 주민들은 서로를 속속들이 알고 있다. 후안에게 버림받은 이사벨이 마주하게될 오욕의 미래는 어떤 면에서는 사회적 죽음과도 같다. 그러므로 페데리코는 이사벨에게 고향을 떠나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사벨은 마드리드행 기차에 오르지 않는다. 페데리코는 이사벨에게 간절히 당부한다. "어떻게든 꼭 살아야 해요!" 역에서 돌아오는 길, 비를 맞으며 이사벨은 도시의 메인 스트리트를 걷는다. 마을 건달들은 그런 이사벨을 비웃는다. 바르뎀은 창문 앞에 서있는 이사벨을 클로즈업하며 영화를 끝낸다. 이사벨은 분명히 울고 있지 않다. 하지만 창문에 흘러내리는 빗물은 마치 이사벨의 눈물처럼 보인다. 그러한 이사벨의 모습은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 국민들이 감내해야하는 수치심과 고통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들은 견디고 살아내야 한다. 역설적이게도 독재 정권은 영화의 정치적 수사학을 강화시킨다. 후안 안토니오 바르뎀의 이 두 영화에는 독재자 프랑코가 스페인 영화사에 드리운 음울한 유산이 들어있다. 


*사진 출처: themoviedb.org



**사진 출처: picuki.com


'Main Street(1956)'의 주연을 맡은 이는 미국 여배우 베시 블레어(Betsy Blair)이다. 블레어는 매카시즘 광풍 속에 헐리우드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라 한동안 활동을 쉬었다. 이 영화는 블레어가 다시 연기를 재개할 무렵에 찍었다. 블레어의 원숙하고 절제된 연기는 이 영화를 더욱 돋보이게 만든다.


***사진 출처: encadenados.org

 


****스페인 영화의 과거와 현재

빅토르 에리세의 El Sur(1983)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9/el-sur-1983.html

훌리오 메뎀의 Vacas(Cows, 1991)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8/vacascows-1991.html

아말리아 울만의 El Planeta(2021)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5/amalia-ulman-el-planeta2021.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자는 자신의 인생에서 어쩌면 가장 행복한 순간에 서있다. 정부 관료인 남편은 미국으로 발령을 받았다. 함께 떠날 예정인 부부에게는 반가운 아기 소식도 있다. 그런데 그 여자 유미코의 행복은 한순간에 무너져 내린다. 남편은 불운한 자동차 사고로 숨을 거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여자는 아기도 잃는다. 남편을 죽게 만든 사고의 가해자는 평범한 회사원 미시마. 자동차의 타이어가 터지면서 순간적으로 일어난 사고였다. 남자는 무죄를 선고받는다. 비록 법적인 책임은 면했지만, 남자는 속죄의 의미로 매달 일정한 금액을 미망인에게 송금한다. 어떻게 보면 철천지원수 사이의 남녀. 그들은 예기치 못한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영화 '흐트러진 구름(乱れ雲, Scattered Clouds, 1967)'은 나루세 미키오의 유작이다. 이 영화를 만들기 전 해에 그가 만든 2편의 영화는 특이하게도 스릴러 영화였다. 감독은 자신의 영화 경력을 마무리하면서, 그가 가장 잘 하는 멜로 영화로 다시 돌아왔다. 영화에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비감한 기운이 깃들어 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내가 떠올린 영화는 그의 대표작 '부운(浮雲, Floating Clouds, 1955)'이었다. 한 남자를 열렬히 사랑하고 원했지만 여자는 결국 영락한 신세로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다. 뜬구름같은 사랑의 부질없음과 아픔을 그려낸 '부운'의 흔적은 '흐트러진 구름'에서도 감지된다.

  '부운'의 남녀 주인공 토미오카와 유키코가 사랑에 빠지게 되는 장소는 당시 일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의 밀림이다. 나루세 미키오는 이국의 숲을 몽롱한 꿈속의 공간으로 만들어버린다. 그곳에서 유부남인 남자는 자신의 처지를 잊어버리고, 여자는 불확실한 사랑의 미래에 자신을 던진다. '흐트러진 구름'에서도 그와 비슷한 장소가 나온다. 사별 후, 이런 저런 직업을 전전하며 경제적 어려움과 남자들의 추근거림에 시달린 유미코는 고향으로 내려온다. 사고 때문에 좌천을 당한 미시마가 머물게 된 곳도 그 근처이다. 둘은 우연한 만남을 거듭하며 서로에게 끌린다. 그들이 비로소 사랑의 감정을 확인하게 된 곳은 유미코가 허브를 채취하는 숲속이다. '부운'의 인도네시아 밀림이 망각과 사랑의 장소였던 것처럼, 유미코와 미시마가 있게 된 숲속도 그들을 고통스러운 과거로부터 분리시킨다.

  나루세 미키오는 그 사랑의 행로에 드리운 어두운 그림자를 서서히 펼쳐서 보여준다. 유미코는 미시마를 향한 자신의 감정을 억누를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미시마와 함께 하기 위해 떠나는 길, 그들은 자동차 사고를 목격하게 된다. 구급차가 사고를 당한 남자를 싣고 나오고, 여자는 절규한다. 유미코와 미시마 사이에 존재하는 거대한 강과 같은 상흔의 기억은 그렇게 재현된다. 고통스러운 과거는 결코 망각될 수 없으며, 그들이 함께하는 한 언제고 그것을 떠올리게 될 터였다. 이 비극적 로맨스는 일견 개인적 차원의 파국처럼 보이지만, 어떤 면에서는 정치적인 함의를 지닌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부운'의 유키코와 토미오카의 사랑에는 꿈처럼 사라져버린 일본 제국주의의 전성기가 겹쳐있다. '흐트러진 구름'은 그 연장선상에서 전후 일본 사회에 내재된 상실과 트라우마에 대한 비관주의적 통찰을 보여준다. 일본의 침략 전쟁은 동아시아 식민지 국가뿐만 아니라 일본인들의 내면에도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일본 국민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군국주의에 협력한 동조자였다. 동시에 그들 자신은 전쟁의 희생자이기도 했다. 그들이 감내해야하는 죄책감과 상실감은 여전히 집단 무의식의 차원에 자리한다. 전후의 고도 경제 발전이 가져다준 물질적 풍요는 단지 그 상흔을 가려버렸을 뿐이다. 

  '흐트러진 구름'의 유미코와 미시마의 불가능한 사랑의 행로는 전후 일본 사회의 내재화된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만든다. 영화 속 남녀 주인공은 고통스런 과거를 끌어안고 함께 살아가기 보다는 그것으로부터 자신을 분리시키고 멀리 떨어지는 것을 택한다. 그것은 일본이 보여준 전후 역사적 책임에 대한 회피적 행태와도 맞닿아 있다. 나루세 미키오는 유작에서 자신이 동시대 일본 사회에 대한 통찰을 놓치지 않았음을 증명해낸다. 그는 여성의 삶에 대한 세밀한 관찰자로서 여성들을 둘러싼 시대의 저류를 영화 속에 흐르도록 만들었다. 오늘날 그의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그렇게 감독이 살아온 시대와 만난다. 거기에는 전쟁과 여성, 가족의 삶에 대한 사실주의적 초상이 담겨 있다. '흐트러진 구름'은 나루세 미키오가 걸어온 그 영화적 여정에 어울리는 마침표인 셈이다.


*사진 출처: photogenie.be



**나루세 미키오 영화 리뷰

이시나카 선생 행장기(Conduct Report on Professor Ishinaka, 1950)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6/conduct-report-on-professor-ishinaka.html

긴자 화장(Ginza Cosmetics, 1951)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6/ginza-cosmetics-1951.html

엄마(Mother, 1952)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mother-1952.html

오누이(Older Brother, Younger Sister, 1953)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older-brother-younger-sister-1953.html

아내(Wife, 1953)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wife-1953.html

만국(晩菊, Late Chrysanthemums, 1954)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8/late-chrysanthemums-1954.html

산의 소리(The Thunder of the Mountain, 1954)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1954.html

흐르다(Flowing, 195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flowing-1956.html

아내의 마음(A Wife's Heart, 195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8/wifes-heart-1956.html

야성의 여인(Untamed Woman, 1957)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untamed-1957.html

안즈코(Anzukko, 1958)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little-peach-1958.html

권적운(Summer Clouds, Iwashigumo, 1958)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7/summer-clouds-1958.html

내 마음의 휘파람(Whistling in Kotan, 1959)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1959.html

가을이 올 때(Autumn Has Already Started, 1960)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3/approach-of-autumn-1960.html

딸, 아내, 어머니(Daughters, Wives and a Mother, 1960)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6/daughters-wives-and-mother-1960.html

여자의 자리(A Woman's Place, 1962)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womans-place-1962.html

여자의 역사(A Woman's Life, 1963)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1/07/womans-life-1963.html

뺑소니(Hit and Run, 196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8/hit-and-run-1966.html 

여자 안의 타인(The Stranger Within a Woman, 1966)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8/stranger-within-woman-1966-juste-avant.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자 안의 타인(女の中にいる他人, The Stranger Within a Woman, 1966), 나루세 미키오
어두워지기 전에(Juste avant la nuit, Just Before Nightfall, 1971), 클로드 샤브롤


원작 소설: Edward Atiyah, The Thin Line(1951) 



  1966년은 나루세 미키오에게 '스릴러의 해'였다. '여자 안의 타인(The Stranger Within a Woman, 1966)' '뺑소니(Hit and Run, 1966)'는 이전까지의 나루세 미키오와는 전혀 다른 영화적 궤적을 보여준다. '뺑소니'는 스릴러의 틀 안에서 여성의 삶에 대한 성찰을 담아낸다. 이와는 달리 '여자 안의 타인'에서는 주인공이 남성이다. 치정 살인 사건에 연루된 남자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음울한 결말까지 더해져 영화는 무겁기 짝이 없다. 이 영화는 원작이 되는 소설이 있다. 레바논 출신의 작가 Edward Atiyah'The Thin Line(1951)'을 각색한 것으로, 이 소설을 가지고 Claude Chabrol도 영화를 만들었다. '어두워지기 전에(Juste avant la nuit, 1971)'가 그것이다. 전자책으로는 원작 소설이 나온 것이 없어서, 대신 클로드 샤브롤의 영화를 보고 원작의 세부적 내용을 추측해 볼 수 밖에 없었다. 두 영화에는 서로 다른 감독의 스타일이 만들어내는 흥미로운 간극이 존재한다.

  클로드 샤브롤은 남자 주인공 샤를이 불륜 관계에 있는 여자를 죽이게 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한다. 변태적 욕망에 휩싸인 남자는 실수로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데, 그가 죽인 여자는 친구 프랑수아의 아내이다. 클로드 샤브롤과는 달리 나루세 미키오는 살인 장면을 나중에 플래시백으로 제시한다. '여자 안의 타인'의 도입부 쇼트에는 길에서 불안한 표정으로 자꾸만 뒤를 쳐다보는 한 남자가 등장한다. 나루세 미키오는 도로를 걷는 남자를 사선 구도에 두고 따라간다. 몇 걸음 걷던 남자는 떨리는 손으로 담배를 꺼내어 피운다. 이 남자 이사오에게 무언가 안좋은 일이 생긴 것은 분명하다. 이 짧은 쇼트가 내뿜는 불길함을 우리는 잘 알려진 미술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다. 노르웨이 화가 에드바르 뭉크(Edvard Munch)'절규(The Scream)'이다.

  나루세 미키오는 이러한 사선 구도를 이 영화에서 또 다시 보여준다. 죽은 여자 사유리의 친구는 장례식장에서 이사오를 발견하고 의심을 품는다. 자신이 얼핏 봤던 사유리의 애인이 이사오와 비슷했던 것. 그래서 여자는 사유리의 남편 스기모토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찾아간다. 그런데 스기모토는 이사오가 20년 넘게 알고 지내온 절친인데 그럴 리가 없다며 일축한다. 스기모토가 아내의 친구를 배웅하는 장면에서도 사선 구도에 두 인물이 서있다. 여자는 모자를 쓴 어떤 남자가 옆을 지나가자 흠칫 놀란다. 남자의 외모가 이사오를 떠올리게 했던 것이다. 탁 트인 대로변에서도 사선 구도 속의 인물들은 불안과 공포에 사로잡힌 느낌을 준다.

  이 영화에서 나루세 미키오는 인물들의 흔들리는 내면을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회화적 이미지를 차용한다. 경찰의 수사는 난항에 부딪혀 범인에 대한 단서를 찾지 못한다. 그러는 동안 주인공 이사오는 점차 자신을 짓누르는 죄책감과 마주하게 된다. 남자는 아내에게 불륜을 고백하기에 이른다. 천둥 번개가 치는 밤, 갑자기 집안의 전등이 나가고 아내는 촛불을 켠다. 그 순간, 이사오는 이야기를 시작한다. 촛불을 든 아내가 놀라움으로 서성일 때, 남자는 어둠 속에 잠겨있다. 이 장면은 촛불의 화가로 불리는 조르주 드 라 투르(Georges de La Tour, 1593-1652)의 그림을 떠올리게 만든다. 

  아직까지 남편은 아내에게 자신이 살인을 저질렀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신경쇠약에 걸린 이사오는 온천장에서 잠시 머무르고, 마사코는 남편을 보러 간다. 부부가 온천 근처를 산책할 때 이사오는 계곡에 떨어져 죽은 남자의 시신을 발견한다. 그 죽음의 선명한 이미지가 이사오의 마음을 뒤흔든다. 그곳을 지나쳐온 부부가 터널 안으로 들어섰을 때, 마침내 이사오는 숨겨왔던 자신의 일탈적 욕망과 범죄에 대해 아내에게 털어놓는다. 역시 사선 구도로 찍힌 터널 시퀀스에서 부부를 감싸는 어둠은 그들이 마주하게된 진실의 무서운 심연처럼 보인다. 평범한 주부로 살아온 마사코의 삶은 이제 그 심연 속으로 사라질 터였다.

  이 낯선 스릴러 영화는 나루세 미키오에게 무언가 잘 맞지 않는 옷처럼 보인다. 살인을 저지른 이사오의 내적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 또한 썩 그리 매끄럽지 않다. 클로드 샤브롤의 영화는 나루세 미키오가 주춤거린 그 지점을 집요하게 파고든다. 샤브롤은 인물들을 부유한 중산층으로 설정하고, 촬영 세트 또한 화려한 고급 주택을 배경으로 찍었다. '어두워지기 전에'는 부르주아의 도덕적인 타락과 그것을 철저히 은폐하려는 계층적 욕망을 묘사한다. 주인공 샤를은 친구 프랑수아에게 자신의 범죄를 고백한다. 하지만 프랑수아는 자신의 아내를 죽인 샤를에게 놀라운 평정심과 관대함을 보인다. '여자 안의 타인'에서 스기모토가 이사오의 고백을 듣고 뺨을 후려치는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물론 스기모토도 나중에는 이사오를 용서하기는 한다.

  클로드 샤브롤은 죄책감을 계급 의식과 긴밀히 결합시킨다. 샤를이 운영하는 광고 회사에서 일어난 범죄는 그것을 좀 더 명확히 드러낸다. 10년 넘게 일해온 늙은 회계 담당자는 거액의 회사 돈을 챙겨 달아난다. 그 남자가 횡령을 저지른 이유는 젊은 여자 때문이었다. 샤를은 결국 경찰에 잡힌 직원에게 왜 그런 일을 저질렀냐고 묻는다. 그러자 남자는 샤를을 향해 욕설을 퍼붓는다. 늙은 직원의 추악한 모습은 샤를에게는 자신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다. 그 남자가 욕망과 범죄를 솔직하게 드러낸 것과는 달리 샤를을 둘러싼 견고한 계급적 세계는 그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친구 프랑수아와 샤를의 아내는 샤를에게 모든 것을 잊으라며 안온한 부르주아의 세계에 머물 것을 요청한다.

  원작 소설의 제목 'The Thin Line'은 영화의 주인공 이사오에게는 넘지 말아야 될 선(線), 즉 범죄에의 유혹을 의미한다. 그 선을 넘은 남자는 결국 아내의 손에 의해 영원한 잠에 빠진다. 어떤 면에서 나루세 미키오에게 '여자 안의 타인'은 자신의 영화적 경계를 넘어서는 작업이었다. 그것을 넘어선 노감독은 특이하게 구부러진 길을 만들어 낸다. 이 영화를 짓누르는 죽음과 불안의 기운은 감독 자신의 내면과 맞닿아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듬해 '흐트러진 구름(Scattered Clouds, 1967)'은 그의 유작이 되었다. 그로부터 2년 뒤에 나루세 미키오는 암으로 세상을 떴다. 63세의 나이였다.


*사진 출처: eiga-pop.com



**그림 출처: wikipedia.org

Georges de La Tour의 그림
Magdalene with the Smoking Flame


The Newborn Christ



Edvard Munch의 그림
The Scream



***나루세 미키오 영화 '뺑소니(Hit and Run, 1966)' 리뷰
https://sirius1001.blogspot.com/2022/08/hit-and-run-1966.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