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색소 결핍증을 앓고 있는 노이는 늘 눈이 내리는 피요르드로 둘러싸인 작은 마을에 산다.철없는 아버지와 떨어져서 할머니와 함께 사는 노이는 비범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지만 현실에 자신을 끼워맞추며 사는 것은 답답하고 괴롭기만 하다. 그런 그에게 주유소에서 일하는 아이리스는 친구가 되어주고 모처럼 노이는 활기를 띠지만, 잦은 결석과 기이한 행동으로 학교에서는 퇴학당한다. 마을의 묘지지기로 일하게 된 노이는 어느날, 마을의 점쟁이로부터 죽을 거라는 점괘를 듣는데...
영화의 배경은 아이슬란드의 시골마을이다. 주인공 노이를 보고 있노라면 그가 현실에서 느끼는 답답함과 지루함이 가슴으로 와닿는다. 하얀 까마귀란 별명으로 불리게 만든 육체의 질병과 도무지 빠져나갈 방법이 없어 보이는 거대한 피요르드와 눈들로 가득한 자그마한 마을은 노이를 옴짝달싹도 못하게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노이는 생일날 할머니가 준 사진 속의 열대 해안과 검은 피부의 원주민을 동경하며 살아간다.
자신만의 세계 속에 갇혀서 현실과 쉽게 융합되지 못하는 노이의 모습은 어찌보면 부적응자나 몽상가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처럼 산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정상적인, 또는 평범한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 때론 평범함을 살아낸다는 것이 극심한 고통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이 있음을 영화는 노이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준다.
도대체 자신이 무엇을 해야할지, 또 할 수 있을지 몰라 괴로워하던 노이는 점쟁이의 불길한 점괘를 듣고 불안해져서 어떻게든 그곳을 떠나야겠다고 결심하고 직접 행동을 취한다. 그러나 자금 마련을 위해 마을의 작은 은행을 털려고 하다가 실패하고, 차를 타고 도망치다 결국 유치장에서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집으로 돌아온다. 유치장에 갇힌 노이가 문을 두드리며 발버둥을 치다가 얼마안가 낙심하고는 차가운 침대에 웅크린 장면은 마치 그가 처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듯 하다. 마음 속으로 꿈꾸는 것들을 해보고, 또 떠나고는 싶은데 도저히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상황, 그래서 그냥 체념하고 자신의 유폐된 상태를 받아들여야만 하는 노이. 그가 빠져나갈 수 있는 작은 구멍조차 보이지 않는다.
그러던 얼마 후, 눈사태라는 자연재해가 노이를 둘러싼 모든 것을 바꾸어놓는다. 가족과 마을의 사람들이 죽는 와중에 목숨을 건진 노이는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될까? 그는 남국의 부서지는 눈부신 파도와 원주민을 볼 수 있을까? 천재지변만이 한 사람의 일생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준다는 설정은 억지스럽다기 보다는 비극적으로 다가온다. 우리 가운데 과연 얼마나 되는 사람이 자신이 꿈꾸고 있는 것들을 만날 수 있을까? 끊임없이 내리는 눈과 거대한 피요르드 같은 감옥과도 같은 현실 속에서 그 벽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기껏해야 열대의 아름다운 사진을 반복해서 들춰보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임을 떠올려 보면 노이의 슬픈 표정이 비단 그의 것만이 아닌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