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분이다. 낮과 밤의 길이가 정확히 절반으로 갈리는 시간. 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타이밍. 오늘이 지나면 내일부터 낮이 길어진다. 얼마 전 친구가 그런 말을 들려주었다. 5년이 흐르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신세계가 펼쳐질 거라고. 그 말을 듣고 처음 하이텔, 나우누리, 천리안을 접했던 때가 떠올랐다. 인터넷이 많은 것들을 바꾸기 시작했고 그 안에서 내 존재 역시 많은 변화를 거쳤다는 걸 실감했다. 5년 후면 2030년이다. 나는 오십대 중반이 될 무렵이고 아이는 성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준비를 하고 있을 무렵. 또 무엇이 달라져 있을까. 동갑내기 사촌은 아이들의 영주권을 포기할 수 없어 먼저 아이들과 와이프를 미국으로 다시 내보내고 2년 후 다른 미국 회사로 갈아탈 계획을 갖고 있다면서 아마도 내내 미국에서 살게 되지 않을까, 라는 말을 했다. 고모와 엄마가 돌아가신다면 그 이후로 과연 살아가는 내내 몇 번이나 보게 될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어린 시절 제일 친하게 지내던 사촌동생은 독일에 유학을 가고 그곳 남자와 결혼을 하고 자리를 잡고 직장을 갖고 그러면서 영영 멀어졌다. 얼굴을 보지 못한지 어언 18년이 흘렀다. 서울에 있는 제일 큰 교회에서 결혼식을 올린 게 마지막이었으니까. 재작년에 오랜만에 통화를 하면서 아마도 언니, 나는 이제 영영 서울에 갈 일은 없을듯, 엄마아빠 돌아가실 때 제외하고는. 그 말을 들었을 당시에도 그러한가, 했는데. 이틀 전에는 중고등학교 동창을 우연히 버스 안에서 보았다. 그 아이도 나도 이제는 중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렸을 때 모습은 그대로 남아 보는 순간 아 ***, 이름이 떠올랐다. 친하게 지낸 적은 없으나 그렇다고 해서 서로 악감정도 가진 적 없고 같은 반이 된 적 두 번, 무난하게 중고등학교 생활을 했고. 그 아이의 차림새를 보면서 어떤 생활을 하고 있을지 대략 짐작이 되었다. 겉모습만으로 모든 것들을 판단할 수는 없지만 중년이 되면 얼굴과 겉모습을 스캔하는 것만으로 대충 감이 오니까. ***는 나를 보지 못했고 나는 그녀를 스캔하는 동안 우리의 중고등학교 생활을 떠올렸다. 눈을 몇 번 깜박였는데 열일곱에서 중년으로 순간 타임머신을 타고 이동한 듯한 느낌이 들었다. 동창을 마주하면서. 어젯밤, 저녁을 먹고 오랜만에 엄마가 즐겨보는 연속극을 잠깐 같이 보면서 중년은 아니고 그렇다고 노년도 아닌, 하지만 노년으로 확실히 접어드는 배우들의 얼굴을 마주하면서 저 언니오빠들이 저렇게나 늙었네, 나도 모르게 소리가 나오니 잘 나갔던 배우들이었어? 민이가 물었고 이름들을 알려주니 휴대폰을 꺼내 바로 검색을 하고 아이는 화들짝 놀랐다. 존잘, 이라면서. 그 말을 듣고 떠오른 생각은 그러했다. 젊음 자체가 존잘인 거라고. 그걸 비교적 오랜 시간 지속하기 위해서 피부 시술도 받고 운동도 하고 그런 거겠지만 얼마 전 동네 유명한 만두집에서 나오는 브랜드 옷을 걸친 중년 부인들 다섯 명의 얼굴을 한꺼번에 스캔하면서 나는 저 언니들처럼 되지 말자 싶었다. 욕심히 과하면 그 욕망이 투명옷을 입은 나체의 여인들처럼 다 드러나는구나 알았기에. 욕망의 속성 자체가 투명옷과 같을지도 모르겠지만 말야. 중년이란 나이가 되게 애매한듯. 피부 시술을 받고 운동을 해서 몸이 탄탄해지면서 확실히 자신감이 상승한 건 맞지만 이게 정말 옳은 길일까, 라는 의문은 계속 이어진다. 의문에 계속 따옴표를 치게 된다면 아마도 옳은 길, 이라는 확신은 들지 않겠지. 운동은 좋아, 하지만 잠깐만 게을리 하면 예전으로 다시 휙 금방 돌아가게 된다. 그들은 나의 거울이 되고 나는 그 거울을 보면서 미래의 나를 떠올리는 거고. 그렇다고 맥없이 시간을 따라 나는 중늙은이요, 하는 태도도 싫기는 마찬가지인지라. 친구와 계속 그런 이야기를 주고받는 동안. 모든 걸 서서히 정리할 시기, 중년은, 심플하게 보다 더 선을 긋고. 이게 보통 중년이 맞이하는 제대로 된 삶의 방식, 이라고 미디어는 알려준다. 자기계발서를 몇 권 들춰봐도 그러하고. 근데 웃긴 건 그런 걸 마주할 적마다 누가 룰로 정해놓은 건데? 니네가 정한 거잖아, 이 시스템 마니아들아, 라고 비웃음이 허파를 들썩거리게 만드는 건 어찌할 수 없는 노릇이다. 춘분과 같다고 김영민은 표현했더라. 중년이란 시기 자체가 춘분과 같다고. 하여 빛과 어둠이 딱 절반씩 공존하는 시기, 그 타이밍. 이때 어떻게 사느냐가 노년을 결정하는 겁니다. 결과론적으로 말할 필요도 없이 룰은 없다. 그 룰대로 지속을 하며 살아갈지 아니면 그 룰을 깨뜨리고 나아갈지는 자신만이 아는 거고.
내일부터는 빛이 더 길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