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달
손택수
스무살 무렵 나 안마시술소에서 일할 때, 현관 보이로
어서 옵쇼, 손님들 구두닦이로 밥 먹고 살 때
맹인 안마사들도 아가씨들도 다 비번을 내서 고향에
가고, 그날은 나와 새로 온 김양 누나만 가게를 지키고
있었는데
이런 날도 손님이 있겠어 누나 간판불 끄고 탕수육이
나 시켜먹자, 그렇게 재차 졸라대고만 있었는데
그 말이 무슨 화근이라도 되었던가 그날따라 웬 손님
이 그렇게나 많았는지, 상한 구두코에 광을 내는 동안
퉤, 퉤 신세 한탄을 하며 구두를닦는 동안
누나는 술 취한 사내들을 혼자서 다 받아내었습니다
전표에 찍힌 스물셋 어디로도 귀향하지 못한 철새들을
하룻밤에 혼자서 다 받아주었습니다
날이 샜을 무렵엔 비틀비틀 분화장 범벅이 된 얼굴로
내 어깨에 기대어 흐느껴 울던 추석달
시집 [목련전차]중에서



추석이면 어김없이 추석달의 시구들이 떠오르고 나는 이보다 더 서글퍼지는 명절의 시를 알지 못한다.
이천십구년 구월 십삼일 모처럼 맑은 날의 추석에 일몰과 월출을 동시에 만났다.
아니, 만나기를 기다렸다. 광교산 형제봉에서.
가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