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바닥 위의 숲

                             김태정

   꽃이삭을 늘어뜨린 상수리

   열푸름한 꽃을 피운 회잎나무

   흰꽃 잔조롬한 덜꿩나무

   연보랏빛 물이 빠진 현호색

   그 옆의 작은 개별꽃 노란 금붓꽃

   부질없는 세간의 말로나마

   이 숲의 삶들을 손바닥에 받아적고 나니

   손바닥은 또 하나의 숲을 이루었습니다

   뒷모습을 불러 세우는 듯한 휘이, 휘요호

   새초롬하니 토라진 삐친삐친삐친

   어눌한 날 놀리는 쥬비디쥬비디쥬비디

   오래된 흉터를 쪼아대는 쑤잇쑤잇쑤잇

   넋과 바람을 부르는 휘휘휘요 휘용휘용휘용

   그리고, 산밑 길을 돌아 내게로 오는

   물소리 바람소리

   이 숲이 부르는 진혼가를

   손바닥에 받아적고 나니

   당신께 보낼 말이 달리 없습니다

   쉰 목청으로 우는 산꿩의 간절함과

   불러도 불러도 허공으로나 되돌아오는

   수취인불명의 메아리와

   바위에 돋을새김으로 남긴 물의 발자국과······

   그 모든 간절함과 추억을 받아적고 나니

   당신께 보낼 전언이 달리 없어

   흐르는 물에 가만히 저들을 띄워보냅니다

   흙으로 누워 상수리가 되고

   현호색 금붓꽃 박새 후투티가 되고

   물소리 바람소리가 되어

   내 손바닥 위 숲으로 돌아오는 당신

   빗돌 아래 제비꽃은 세상에서 가장 낮은 향기로

   당신께 타전하는데

   오늘밤 달은 없고

   이름만 덩두렷한 망월에서

   솟 솟쩍, 쓴 울음 삼키는 소리까지 적고나니

   당신께 보낼 것은 단지 슬픔밖에 없어

   차라리 입을 다물고 맙니다.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 중에서

 

   시는 문사철과 마찬가지로 언어를 사용하지만 시어는 그 언어의 개념적 의미를 뛰어넘는다. 달을 가르키는 손가락처럼 일종의 메타언어(meta language)다. 예를 들어 안도현의 시 「너에게 묻는다」에서 말하는 '연탄재'는 자기를 아낌없이 불태운 사람의 초상이다.[담론,26]  김영하의 장편소설 『살인자의 기억법』(2013)을 보면 시인에 관한 설명이 있다. "시인은 숙련된 킬러처럼 언어를 포착하고 그것을 끝내 살해하는 존재입니다."(8쪽) 시인은 언어를 통해 언어를 넘어서야 한다. 언어의 지시적 의미, 일반적 의미를 '살해'하지 못한다면 시인이라 할 수 없다. 【신영복 평전, p268】

   쇠귀는 "사실성과 사회미에 충실하되 사실 자체에 갇히지 않는 것"[담론,32]을 시적 관점이라고 본다. 그래서 시는 언어의 한계, 문학 서사의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다. 현실에서 우리가 보고 느끼고 글로 쓰는 것은 시공과 감각의 한계 속에서 건져 낸 사실의 조각들(facts)에 불과하다. '진실'은 건져 낸 사실이나 언어 너머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사실을 진실로 포장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 너머를 볼 수 있는 고리를 만드는 일이다.

   그런 면에서 시는 문학 서사 양식을 뛰어넘는 인식틀이다. 복잡한 것을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을 때, 다시 말하면 시적인 틀에 담을 수 있을 때 비로소 안다고 할 수 있다. 맹자는 그것을 설약(說約)이라고 했다. 시는 설약의 전형이다.[담론,57~58] 사물과 세상에 대한 유연한 시적 사유는 우리의 인식 세계를 다른 차원으로 확장할 뿐만 아니라 삶 자체를 더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쇠귀의 생각이다. 물론 전제가 있다. 시는 시를 만드는 사람 스스로도 감동할 수 있는 진정성의 공감이 있어야 한다. [담론,32]    【신영복 평전, p2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 창비시선 237
김태정 지음 / 창비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마이카상

                     김태정

이젠 너를 갈아치울 때가 되었나보다

네가 낡아서가 아니야

싫증 나서는 더더욱 아니야

이십년 가까운 세월을 함께해온

네가 이젠 무서워졌다

무서워졌다 나의 무표정까지도 거뜬히

읽어낼 줄 아는 네가,

반질반질 닮아버린 귀퉁이만큼 노련해진 네가.

너를 펼쳐놓는 순간부터

시를 쓸지 책을 읽을지

아니면 밥을 차려 먹을지

내 행동을 점칠 줄 아는 네가 무서워졌다

네 앞에서 시를 쓴다는 것이,

네 앞에선 거짓말을 못한다는 것이 무서워졌다

이십년 전이나 이십년 후나

변함없이 궁핍한 끼니를 네게 보여야 한다는 것이

불편해졌다

책상도 되고 밥상도 되는 네 앞에서

시도 되지 못하고 밥도 되지 못하는

나의 현재가 문득 초라해졌다

시가 밥을 속이는지

밥이 시를 속이는지

죽도 밥도 아닌 세월이 문득 쓸쓸해졌다

이 초라함이,

이 쓸쓸함이 무서워졌다

네 앞에서 발바닥이 되어버린 자존심

아무래도 이 시시한 자존심 때문에

너를 버려야 할까보다

그래 이젠 너를 갈아치울 때가 되었나보다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 중에서

  다시 그녀를 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흰 밤에 꿈꾸다 창비시선 431
정희성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두

                      정희성

봄도 봄이지만

영산홍은 말고

진달래 꽃빛까지만

진달래꽃 진 자리

어린잎 돋듯

거기까지만

아쉽기는 해도

더 짙어지기 전에

사랑도

거기까지만

섭섭하기는 해도 나의 봄은

거기까지만

 

                                  시집 [흰 밤에 꿈꾸다]중에서

 

 

진달래꽃빛,

해 질 녘에 짙어진다는 걸

어둠이 내리는 산길에서

처음 알았다.

꽃이 지는 자리에 잎이 돋는 것도 보았다.

그렇게 진달래꽃 지나는 자리에

진달래인 줄 알던 여린 나무들

연두 잎이 돋고

철쭉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어릴 때 구분하던, 참꽃 개꽃의 자리 변화

눈 크게 뜨지 않았으면 놓칠 뻔,

이 아이들은 누가 보든 말든 개의치 않는다.

그렇게 자리를 이어받고 세월을 이어받고

봄 계주는 진행형,

참꽃 지는 산야에 개꽃이 피어나는 시절이 온 것이다.

나의 봄은

거기까지만

섭섭하기는 해도

거기까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이 진다고,

꽃이 핀다고,

그렇게 세월이 지나간다고,

그날 아침의

참담함을

세월이라는 이름을

그냥

바라보기만했던

간절함을

잊지않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 여기가 맨 앞 문학동네 시인선 52
이문재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 편지

                         이문재

사월의 귀밑머리가 젖어 있다.

밤새 봄비가 다녀가신 모양이다.

연한 초록

잠깐 당신을 생각했다.

떨어지는 꽃잎과

새로 나오는 이파리가

비교적 잘 헤어지고 있다.

접이우산 접고

정오를 건너가는데

봄비 그친 세상 속으로

라일락 향기가 한 칸 더 밝아진다.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찍으려다 말았다.

미간이 순해진다.

멀리 있던 것들이

어느새 가까이 와 있다.

저녁까지 혼자 걸어도

유월의 맨 앞까지 혼자 걸어도

오른켠이 허전하지 않을 것 같다.

당신의 오른켠도 연일 안녕하실 것이다.

                                            시집 [지금 여기가 맨 앞]중에서

 

가문 땅에 봄비 내리신다.                           

자분자분,

촉촉하게 스며들때까지

내리면 좋겠다.

고, 거기까지 썼는데

날이 개는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