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아이들과 동화수업을 하다가 ‘학교 생활을 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것과 내가 싫어하는 것’을 나누어 보게 되었다. 짐작대로 ‘내가 좋아하는 것’보다는 ‘내가 싫어하는 것’이 다섯 배는 더 많았다. 급식할 때 자기가 좋아하는 아이에게 맛있는 것을 더 많이 주는 아이, 선도랍시고 마구 이름 적는 형아, 시험 성적이 떨어졌다고 때리는 선생님 …….

 

얘기를 마친 다음에 아이들에게 자기가 쓴 것들 가운데 ‘옳은 것과 그른 것’을 나누어 보라고 했다. 아이들이 자신이 싫어하는 행동들 가운데 옳지 않은 것을 찾아서 바람직한 가치관을 세우길 바라는 마음에서. 그런데, 아이들은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없어요!’라고 한다.

 

“선생님이 시험 못 쳤다고 때리는 게 싫다며? 선생님이 성적이 나쁜 아이들을 때리는 게 옳을까? 옳지 않을까? 성적이 나쁘다고 해서 맞을 까닭이 있나?”

“그래도 공부 못 하는 애들은 때려야죠. 안 때리면 더 안 하잖아요.”

“그래도 니가 맞는 건 싫다며?”

“그럼요, 내가 맞는 건 싫죠.”

“…….”

 

싫은 것은 있으나 옳지 않다는 가치 판단은 없는 아이들……. 결국은 어른들의 책임이겠지. 사회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불의도 나한테 피해만 없으면 별 상관 없다는, 그러나 내가 피해를 입으면 싫다는 식의 모습들을 아이들은 그대로 배우고 크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내일이 오늘보다 조금이라도 더 아름다울려면 세상의 모든 일을 ‘옳은 것과 그른 것’으로 나눌 줄 아는 사람들이 더 많아야 하지 않을까? 내가 좋고, 싫고를 넘어서서 정의와 불의가 존재하고, 정의롭게 살기 위해서 노력하는 삶이 더 아름답다는 진리.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도 빈정댄다.

“그런 원칙대로 살면야 좋지만 그게 어디 마음대로 되나? 현실과 이상은 다른 거라구.”

 현실과 이상이라는 이분법을 누가 가르쳤을까? 누가 현실은 이상과는 다른 거라고 얘기했을까? 이상이 없는 현실이 얼마나 위험스러운 것인지, 현실이 없는 이상이 얼마나 무의미한지 안다면 현실과 이상을 나누는 일은 더 이상 필요 없을 것 같은데.... 세상이 아무리 어수선해도 옳은 것은 옳은 것으로, 그른 것은 그른 것으로 존재하는 사회였으면 좋겠다.

 

옳은 것을 택했을 때 당당하고, 그른 것을 택했을 때 부끄러워할 줄 아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어색하지 않는 사회를 꿈꾸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