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난새와 떠나는 클래식 여행
금난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어떤 분야의 전문가는 그 분야에 대해 박식한 지식을 자랑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 분야를 다른 이들보다 더 많이 사랑하기 때문에 그 사랑을 전해서 다른 이들과 함께 행복해지기를 원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지휘자 금난새는 적어도 클래식 음악의 전문가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작가가 얼마나 클래식을 사랑하는지, 글 사이사이에서 오롯이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은 청소년들을 위한 책이다. 청소년기란 만물에 대해 열려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설사 사물에 대해 편견과 오해가 있다 하더라도 쉽게 고쳐질 수 있는 시기이다. 그래서 작가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쓰지 않았을까? 이러한 독자 선택은 곧바로 우리 사회에서 '클래식'이 얼마나 많은 오해와 편견에 휘둘리고 있는 지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 오해와 편견을 그대로 안고 있는 내게 금난새는 친절하게, 솔직하게, 그리고 겸손하게 이야기를 건네었다.

나는 이야기를 시작하는 첫머리에서 클래식에 대한 몇가지 오해를 풀어주는 그 말 솜씨에 매료되었다. 뛰어난 화술로 포장되는 이야기가 아닌, 투박할 지라도 자신의 진실을 이야기하는 사람의 말. 그 덕에 나도 집에 쌓아둔 먼지묻은 클래식 음반을 다시 걸게 되었다.

당신은 클래식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인가? 그는 야구와 공놀이의 예를 든다. 그냥 공을 던지고 놀아도 즐겁겠지만, 약간의 룰만 알면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야구같은 음악이 클래식이라고. 혹 당신이 클래식은 고급스런 음악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음악 역시도 그 시대의 대중문화였을 뿐이라고 생각하라는 말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서양의 몇몇 귀족들이 즐기던 음악을 굳이 다시 들을 필요가 있나' 라는 생각이 있다면, 스핑크스나 만리장성을 찾아 보고 감동하는 자세로 인류의 문화유산에 좀더 겸손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는 그의 조언를 들어봐야 한다.

이야기를 푸는 방식도 바흐와 헨델, 모짜르트와 하이든 등으로 두 음악가를 나란히 이야기하면서 각자의 개성을 얘기해 놓아서 읽기도 편하고 이해하기도 쉽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작가가 소개하고 있는 음악을 좀 더 사랑하게 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일까? 책을 덮고 나니 클래식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고 되고, 알고 들은 클래식은 예전과 같지 않았다. 클래식으로 삶을 조금 더 풍요롭고 즐겁게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이라면 반드시 한번 읽고 넘어가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