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차 대여행 1 - 독일 아름드리 어린이 문학 8
미카엘 엔데 지음, 선우미정 옮김 / 길벗어린이 / 1996년 9월
평점 :
절판


최근에 독일의 판타지 작가, 미하엘 엔데의 <기관차 대여행>을 읽었다. 이 동화에서 보면 나라 이름들이 참 재미있다. 기쁨의 나라, 행복의 나라, 색동나라. 그런데 어느날 고통의 나라에 사는 무시무시한 용이 전 세계 아이들을 납치해 가는 사건이 벌어졌다. 용감한 주인공들은 고통의 나라에 갇힌 아이들을 구하러 떠났다. 드디어 도착한 그곳에서 아이들은 세상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일을 당하고 있었다. 아이들은 무얼 하고 있었을까?
놀랍게도 그들은 딱딱한 돌 책상에 앉아서 어금니 부인이라는 용으로부터 공부를 강요당하고 있었다. 구구단을 못 외는 아이에게는 사정없이 회초리가 가해졌고, 말대답을 하는 아이도 건방지다고 매로 다스렸다. 그것이 바로 '고통의 나라'였다.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에 절로 웃음이 나왔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장면이었다. 동화 속에 나오는 장면이 내가 겪고 보아왔던 우리 현실이기 때문이다. 문득 나라들의 이름이 다시금 새삼스러워진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어디에서 살고 있을까? 우리 아이들은 행복의 나라, 기쁨의 나라에 살고 있을까? 우리 어른들 가운데 '어린이, 청소년의 권리에 관한 국제조약'에 '놀 권리'가 있다는 것을 아는 어른이 몇이나 있을까? 아이들에게 놀이를 빼앗는 것은 엄연한 인권 침해다. 권리는 시혜와는 다르다. 베푸는 것이 아니고, 그들이 당연히 가져야 하는 것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이라면 누구나가 놀 권리가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놀 시간이 필요하다. 학교로 학원으로 과외공부로 쫒겨 다니는 아이들을 보면서 그들이 빼앗기는 것이 단순한 놀이가 아님을 느낀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세상과 친구를 사랑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가슴아파하는 모든 경험의 시간을 빼앗고 있다. 아이들다운 그 모든 과정을 잃어버린 그들이 어떤 어른이 될지, 생각조차 두렵다. 세상이 각박해진다고 탓하기 전에 우리 아이들을 돌아보자.

'아무도 이등은 기억하지 않는 사회'를 강요하면서 이등부터 꼴등까지 모든 아이들을 소외시키는 이 고통의 나라는 이제 끝나야 한다.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아이들의 외침이 죽음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그들을 구할 수 있는 용감한 주인공은 이 현실세계에는 없는 것일까? 동화 속에서 용감한 주인공이 아이들을 구출해서 나오는, 가장 즐거워야 할 그 장면에서 가슴이 답답해져왔다. '경쟁시대'라는 용, '성적제일주의'라는 용들을 무찌르고 우리아이들을 행복의 나라, 기쁨의 나라로 데려오고 싶다. 동화가 끝나기 전에, 더 늦기 전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