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Classics in Love (푸른나무) 7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김영하 옮김 / 푸른나무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스무 살보다 서른 살에 가까운 나이가 되면 많은 여자들이 결혼이라는 굴레에 묶여 지대한 탄압을 받는다. 서른을 넘기면 거의 '반병신' 취급을 당한다. 남자들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그런 논리에 대해 당당하게 자기 주장을 하는 여성과 남성들이 늘어나고 있다.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으면 결혼하지 않겠다.' 정말로 좋은 사회현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사회현상을 꼼꼼히 뜯어 보면 허탈해진다. 그토록 자신있게 이십대를 넘긴 여자들이 자신의 사랑을 찾아 결혼을 하지만 그 늦은 사랑 또한 별반 달라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제는 어디에 있나? 바로 우리사회가 '사랑'이라는 담론에 대해 구체적이고도 진지한 고민을 할 시간을 주지 않는다는데 원인이 있지 않나 싶다.

사랑. 사랑. 노래를 해대지만 정작 그 사랑에 대해 고민하고 자기 중심을 세울수 있는 기회란 많지 않다. 고등학교 때까지 입시교육을 받으며 사랑이란 문제를 철학적으로 삶의 문제로 접근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없거니와 대학이란 델 가더라도 그 곳엔 미팅과 남자와 여자, 호기심, 연애 따위가 난무할 뿐 정작 사랑은 어디에도 없다. 결혼이란 문제에 대해 자기원칙을 세운 사람이라면 이젠 사랑이라는 문제도 자기원칙을 세워야 한다. 그에 도움이 되는 책으로 이 책을 권하고 싶다.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누군가에게 이 책을 권하면서 나는 아주 큰 부담을 갖는다. 왜냐하면 이 책의 제목을 모르는 사람은 하나도 없거니와, 읽은 사람치고 다시 한번 더 볼 만한 가치를 부여하는 사람 또한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런 부담을 안고서라도 한번쯤은 친한 벗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그 까닭을 이 책에 대해 사람들이 가지는 오해를 풀면서 해 볼까 한다.

먼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 책이 무슨 내용인지는 대충 알고 있다. 베르테르라는 청년이 롯테라는 여인을 너무도 사랑하여 마침내 자살로 이르게 된다는 이야기. 과히 틀리지 않은 이야기다. 그러나 베르테르의 죽음은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너무도 사랑하는 여인에게 버림받고 자살충동을 이기지 못한 죽음'이 아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느 정도 서 있는 나이에 이 책을 다시 한번 읽어본다면 그 청년이 죽은 까닭은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사회를 향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저항이었음을 알게 된다.

젊은 괴테는 권위와 관습으로 굳게 닫혀있는 사회에 대해 갑갑함과 안타까움을 넘어서는 분노를 가진다. 그 분노가 가장 잘 표현된 글이 바로 이 작품이다. 결혼이란 제도와 사랑이란 감정 본연을 파헤치기를 두려워하는, 사회적으로 훈련된 인간들. 그리고 롯테의 약혼자, 알베르트로 대변되는 그 시대 '상식적인 사람들'의 사고. 그런 것들에 적당히 타협하며 살 수 없는 순결한 영혼이 바로 괴테가 그려낸 인물, 베르테르인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롯테가 베르테르를 사랑하지 않은 것처럼 오해하고 있지만 절대로 아니다. 그녀는 자신의 약혼자보다 더 그를 사랑한다. 그녀의 감정을 군데군데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그녀는 훈련된 자신의 이성에 짓눌려 진실한 감정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었을 뿐이다. 사랑과 결혼은 곧바로 안정을 뜻하는 사회 속에서 그녀도 자유로울 수 없을 테니까. 인간은 영혼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유일한 존재다. 그 자유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것이 인간다움의 시작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 책은 사랑하는데 있어 자유롭고자 하나 그 감정의 원천을 다시 회의하고 파헤쳐 보는 것조차 용납이 되지 않던 시대, 열정적인 청춘의 고뇌가 그대로 담겨있는 괴테의 수작이다. 찬찬히 돌아보면 지금이라고 더 나아진 것이 있는가? 사랑이라는 인간에 대한 최고의 경외심이 아무런 조건 없이 가능한 사회인가? 모든 것을 거부하고 인간을 인간 그 자체로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있는 사람들이 존재하는가? 고전이 고전일 수 밖에 없는 까닭은 그것이 지금도 유효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고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