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이야기 비룡소 걸작선 29
미하엘 엔데 지음, 로즈비타 콰드플리크 그림, 허수경 옮김 / 비룡소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종일 밥 먹는 시간을 빼고 꼬박 책에 매달려 있었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책이 나를 붙들고 있었다. 끝없는 이야기는 끝이 없고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이다. 그 감동 또한... 미하엘 엔데의 작품은 내 중학 시절 '모모'를 통해 처음 만나게 되었다. 모든 이에게 마음을 열어주던 여자 아이 모모는 내 이상형이었다. 어른이 되어서 다시 읽은 모모는 그 당시의 기억과는 전혀 다른 감동을 내게 선물했고 엔데의 작가적 상상력과 어린이에 대한 깊은 신뢰에 다시금 감동했다.

'끝없는 이야기'를 사기 위해 몇군데 서점을 들렀으나 모두 절판되었단 이야기만 들었다. 그 실망감이라니... 그래도 꿋꿋하게 구하고 다니던 중 드디어 묵직한 이 책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나는 이 작품을 단연 판타지의 으뜸으로 꼽고 싶다. 판타지를 단순한 허구의 이야기쯤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에게 이 작품을 권하고 싶다. 판타지는 그냥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는 것이고, 그 세상은 이 현실 세계의 또다른 해석이고, 대안제시이다. 그 세상의 모든 질서와 법칙들이 그 세상을 지배하고 철학과 윤리는 이 세상 사람들에게 또다른 삶의 대안인 것이다.

그런 뜻에서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는 그 어떤 판타지도 넘보기 힘든 판타지 세계 그 자체를 소재로 삼은 뛰어난 도전이다. 판타지의 세계와 현실 세계가 얼마나 섬세하게 엮여 있는지, 그리고 판타지의 어두운 면인 거짓과 망상들이 어떻게 인간에게 오게 되었는지, 그 또한 인간의 책임인 것을... 그리고, 이 책이 전반부엔 환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바스티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후반부엔 그 환상의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것에서 나는 작가의 놀라운 혜안을 감지했다.

내가 인간임을 자각하는 것이 가장 아름답고 가장 건강한 환상을 창조해 낼 수 있다는 것, 이 진리를 망각한 사람들의 결말이 어떠한 지도 엔데는 잘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그 어떤 합리적인 해석보다 이 책에 어울리는 느낌은 책이라는 창조물이 인간에게 부여한 가장 뛰어난 선물, 바로 '자아의 발견'이다.

삭막한 세상에 하루하루를 성실한 현대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아등바등 용을 쓰고 있는 나에게 환상세계 주민들은 '삶이 무엇인지, 나란 누구인지'를 돌아보게 했다. 그들은 그들의 현실과 나의환상을 연결하였고, 나의 진실은 그들의 환상을 일깨워주었다. 책을 덮은 저녁, 세상에서 내가 경험한 가장 긴 하루가 지나갔다. 그러나 나는 오늘을 잊지 않는다. 끝없는 이야기는 결코 끝나지 않을 것임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