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일곱 되던 해, 내 마음은 깊은 병을 얻었다. 마음의 병을 내 몸이 받아 안고 온 겨울을 혹독하게 앓았다. 세상에 대해서 눈을 뜨면 뜰수록 여자로 태어난 것이 두려웠다. 무서웠다. 억울했다. 남자 다음 여자. 주민번호 2번, 영원한 피해자, 이등 시민……. 제 아무리 잘나봤자 여자로 태어난 이상 벗어날 수 없는 감옥의 문들이 그렇게 나를 덮쳐오고 있었다.




 그 검은 기운 때문에 몸과 마음이 만신창이가 되어갈 즈음, 혼자서 무작정 여행을 떠났다. 통장에 남은 돈을 탈탈 털어서 배낭 하나 메고 길을 나섰다. 딱히 마음먹은 바가 있어서가 아니었다. 그저 하루하루가 너무도 힘들어서 어디라도 옮겨가보면 조금이라도 삶의 궤도를 비틀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바람 때문이었다.




 그 바람이 나를 배신하지 않은 덕에 여행하는 동안 나는 불평등한 세상에 대처하는 방법을 조금씩 깨달을 수 있었다. 자연 속에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부려놓고 쉬어보니, 세상을 보는 눈에 여유도 생겼다. 그렇게 차츰 차츰 병을 치유해나갔다.

  

 여행이 끝나갈 무렵, 남해 금산에 다다랐을 때다. 일찍 잠 깬 새벽, 해가 뜨기 전에 바닷가로 나섰다. 바다 앞에 서니 온 세상이 어둠에 잠겨 어디까지가 하늘인지, 어디까지 바다인지 구분할 수가 없었다. 그때 나는 보았다. 하늘의 경계까지 총총히 박혀 있는 별들을. 그랬다. 별이 떠 있는 그 곳까지가 하늘이었다. 별이 떠 있는 한, 검은 어둠 속에서도 하늘은 하늘로서 그렇게 존재했다.

 ‘내가 나일 수 있는 까닭도 내 삶에 별처럼 떠 있는 내 꿈들 때문이겠지. 꿈이 있는 한 지금의 어두운 현실이 나를 집어삼켜버리지 못하는 것이겠지.’

 남들이 들으면 참으로 궁색한 메타포라고 비웃을지도 모를 그 깨달음 덕에 나는 지금껏 참으로 무사히 살아왔다.




 그 뒤로 나는 하루라도 꿈꾸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숨 쉬는 일처럼 꿈을 꾸었다. 내가 꿈꾸는 세상 안에서 나는 무한한 자유와 평등을 누리며 살았다. 꿈꾸는 순간만은, 그 꿈을 향해 노력하는 순간만은, 나는 내가 그토록 바라마지 않던 평화를 맛보았다.




 결혼이라는 제도가 나를 억압한다고 느끼는 순간도 나는 꿈을 꾸었다. 사랑과 성이 제도에 구속당하지 않는 세상을. 비혼주의자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한 것은 그 꿈 가운데 하나였다. 그 덕분에 나는 내게 온 사랑을 기꺼이 맞아 행복하게 살았고, 나를 떠나가는 사랑을 축복하며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었다.




 또 내 행복을 좇아 그렇게 살다보니 뜻하지 않은 수확도 있다. 이혼한 뒤, 혼자 살아가는 씩씩한 친구가 “내 딸이 나중에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살겠다고 해도, 기꺼이 지지해줄 수 있을 것 같아. 널 보니.”라고 한다. 그 친구 덕에 내 꿈이 나만을 자유롭게 만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도 자유롭게 만들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심장이 멈추는 날까지 더 많은 꿈을 꾸며 살고 싶다. 그리고 내 꿈을 나 혼자만 소유하지 않고 이웃들에게 나누어주고 싶다. 하나를 행복하게 하는 꿈은 둘을 행복하게 하고, 백을 행복하게 하고, 천을 행복하게 하고, 마침내 모두를 행복하게 하니까.




 그리고 꿈을 나누는 사람이 더 많은 세상이 되길 소망한다. 가진 돈을 나누는 사람, 가진 재능을 나누는 사람이 많은 세상도 아름다운 곳이겠지만, 가진 꿈을 나누는 사람이 많은 세상이 가장 희망이 있는 세상이기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9-02-09 1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9 1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