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20대 후반의 후배가 재미있다고 해서 들었다.

세대간 착취라...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다.

읽는 내내 내 10대의 기억과 20대의 기억들이 떠오르고, 함께 했던 친구들과 그들과 나누었던 생각들, 행동들, 그리도 변해가는 모습들이 겹쳤졌다.

그리고 내가 만난 10대들, 아직 중, 고등학생인 그들의 사고방식과 행동들도 하나하나 떠올랐다. 독도 문제와 동북공정에 흥분하고, 태왕사신기, 주몽에 열광하고, 친구를 왕따시키는 것에 아무를 죄책감을 느끼지 못하고, 생각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고, 체제순응적이고, 무기력한 10대들...

또 20대 후배들에게서 느꼈던 이질감도 떠올랐다. 철학의 부재. 그들에게서 느낀 첫인상이었다. 눈 앞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본적이고도 원칙적 사유를 하지 못하는 그들에게서 느낀 갑갑함. 

물론 그들을 그렇게 만든 것은 사회 구조적 문제라고 판단했었다, 그러나 내가 오만하게도 간과한 것이 있었으니... 그것이 구조적 문제일진 모르지만 늘 구조적 문제는 그 구조에 몸담고 살아가는 사람들에 의해서 현실화 되는 것 아닌가.

뜨끔했다. 나와 내 세대들, 그리고 내 윗 세대들이 그 구조를 만들어왔다는 사실. 그리고 그 구조의 책임을 정부와 정책입안자들 몇몇에게 물을 수만은  없다는 것. 

앞으로 이런 문제의식들이 사회에 중심에 떠오르고, 구체적으로 정책화 되고, 그래서 우리 모두의 미래가 조금이라도 나아지도록 노력하는 게 가장 중요하겠지만, 나는 먼저 내 의식에 큰 각성이 이루어지게 된 걸 기쁘게 여긴다. 적어도 이젠 10대와 20대가 내 연민의 대상이 아니라 동지임을 자각할 수 있으니,     

내가 가지고 있는 진보적 성향이란 것도 알고 보면 다 내 덕은 아니지 않나. 시대로 부터 받은 혜택은 자기의 노력 덕이라고 착각하고, 다른 세대가 가진 문제는 그들 개인이 탓으로 돌리는 짓은 얼마나 비겁한가. 그 비겁함에 익숙해지면서 나이 먹고 싶진 않다.

그동안 마음으로 지은 죄를 속죄하는 뜻으로 주위의 10대 학생들과, 20대 후배들에게 사줘야겠다. 그리고 30대인 내 친구들에게는 사주고 돈 받아야겠다. (사서 읽으라고 하면 안 읽을 게 분명하니까.)

* 글이 생생하고 살아있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근데 오자가 너무 많다. 만든 이들이 조금만 더 신경써 주시지...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