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에도 새벽 5시에 일어나 밥을 챙겨먹고 6시쯤 나와서 동네 산책을 했다.

토요일에는 햇볕이 나서 그나마 뽀송했는데 일요일은 후텁지근해서 끈적끈적하니 별로였다.

물론 막상 걷고 나니 기분은 좋았다~

점점 더워지니 아침저녁 시간에 운동을 하러 나오는건지 사람들이 많아짐을 느꼈다.

오늘 아침 출근길도 습기 가득한 바람이 불고 끈적대는 공기에 불쾌지수가 저절로 높아진다.


주말까지 연이어 3권의 책을 읽었다.

한 권은 연구서라 하루 종일 읽어야 했지만 나머지 두 권의 책은 짧아서 긴 시간 들이지 않고 읽을 수 있었다.


어쩌다보니 세 권의 책들이 모두 성격이 다르다.

한 권은 워낙 유명한 소설인 <프랑켄슈타인>

다른 한 권은 <여기, 아르테미시아>

마지막은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은 6월에 읽을 책으로는 더 없이 적절한 책이었다. 지난주에 읽은 <와다 하루끼의 북한현대사>에 연이어 읽으려고 했던 의도였다.

<프랑켄슈타인>을 쓴 메리 셸리, <여기, 아르테미시아>의 주인공인 아르테미시아 젠텔레스키 모두 선구안을 지닌 인물들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둘은 작가와 화가로 직업도 다르고 살았던 시기도 다르지만 머무르지 않았다라는 생각이 든다.

주어진 조건이 부당하다는 것을 느끼고 도전 의식을 가지는 것에는 생각보다 많은 용기를 필요로 하니까.

역사의 시간이 거꾸로 흘러가는 사건도 수없이 일어나는 마당에 한낱 개인이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가 묻히기는 얼마나 쉬운가.

하지만 틈새를 조금씩 깨나아가기를 멈추지 않아야 한다고 본다.


얼마 전부터 아버지에게서 카톡 메시지가 온다.

어른들이 보내는 메시지란 그 인터넷에 떠도는 시나 좋은 문장이 적혀 있는 이미지 그런 것이다.

어쨌든 무응답은 아닌 것 같아서 답장을 보낸다.

헌데 답장을 보내야 한다는 의무감에 기계적으로 응답하는 게 아닌지 하는 생각이 스쳐서 민망함이 일 때가 많다.

부모님께 잘해야지 하는 생각은 드는데 나는 살가운 표현이 너무 간질거려서 무뚝뚝함으로 흐르기만 하는 듯하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2-06-27 10:2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헉. 저희 엄만 자꾸 아파트 놀이터 근처에 있는 비둘기를 그렇게 찍어 보내세요 ㅠㅠ 저 비둘기 무서워하는데 ㅎㅎ 저도 애교란 사전에만 있다고 한평생 살아와서 ㅠㅠ 살갑기는커녕 밥은? 안 아프남? 병원은? 알았다. 밥 무라엄마 끝 ㅠㅠ 화가님 맘 알거 같아요 ㅠ

거리의화가 2022-06-27 10:33   좋아요 2 | URL
자식들에게 뭐라도 보내고 싶은 부모님 마음일텐데 저는 뭐라고 답변을 해야 할지 모르겠더군요. 어렸을 때도 무뚝뚝하긴 했는데 점점 가면 갈수록 더 무뚝뚝해지는 느낌이. 여동생이 있는데 저와는 반대로 아주 살가운 편이거든요~ 맨날 비교당합니다^^; 표현도 갑자기 할 수 있는 건 아닌 것 같네요ㅠㅠ

바람돌이 2022-06-27 10: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주말에 책 3권이라뇨. 심지어 저 두꺼운 연구서까지 끼워서 말입니까? 와 진짜 대단.
저는 책 보려고 앉아도 주의 산만으로 내내 이거하다 책보다 저거하다 책보다 결국 얼마 못보고마는데 말이죠. ㅎㅎ
방금 댓글 달다가도 청소기 돌리고 왔음요. ㅎㅎ

제가 아프니까 시어머님이 내내 전화하셔요. 걱정이 되시고 뭐라도 해주고 싶어서 그런건 알지만 온갖 민간처방들을 자꾸 알려주시면서 해봐라 해봐라 하시니까 대답은 네네 하면서도 스트레스 약간 올라오는 중.... 부모님들의 마음은 우리가 따라가기 어렵고, 삶의 방식도 서로 다르니 그 간극은 어쩔수가 없는거 같네요. 그저 마음상하지 않으시게 대답만 잘..... ㅎㅎ

거리의화가 2022-06-27 11:12   좋아요 3 | URL
ㅋㅋ 연구서이긴 하지만 페이지 수가 그리 많진 않습니다. 3권인데 따지고 보면 목요일부터 읽었구요. 암튼 저는 오히려 연구서 읽는게 마음이 더 편합니다. 재미는 없는데 그 재미없음 속에서 찾아오는 묘한 평화랄까.ㅋㅋ 문학 읽기가 저는 더 어려운 것 같아요~ㅋㅋㅋ

안 그래도 병원 다니신다는 거 봤는데 넘어지셨다는 글 보고 마음이 안 좋더군요ㅠㅠ 저도 안경을 쓰는지라 안타까움이 더 컸어요. 그래도 타박상 정도라고 하셔서 다행입니다.
어른들 마음은 다 그런가봐요~ 걱정되시겠죠. 잔소리로 듣지 않도록 노력은 하는데 그 마음을 따라가기는 역시 어려운 것 같습니다^^;
몸조리 잘하셔요!ㅎㅎㅎ

그레이스 2022-06-27 12:5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ㅠㅠ
방금 엄마랑 전화통화했는데,,,
찔리네요.

거리의화가 2022-06-27 13:04   좋아요 3 | URL
아이고 그레이스님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자식들이 살갑기보다는 그 반대의 경우가 많을 거란 생각이 들어요. 부모님 돌아가시면 후회할 걸 알면서도 왜 이리 살가운 표현이 어려울까요ㅠㅠ 그래도 요즘은 감사하다는 말은 꼭 전하고 있어요. 의무적이든 기계적이든 어쨌든 부모님은 그런 메시지 하나에 고맙다고 느끼시더군요~^^;

레삭매냐 2022-06-27 19:4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날이 꿉꿉하네요.
장마철이 드디어 몰려온
모양입니다.

어른들이 보내 주시는 톡
을 보고 성심성의껏 덧글
을 달아야지 하면서도 잘
되지 않더라구요 ㅠ

거리의화가 2022-06-27 21:51   좋아요 2 | URL
3~4일 정도 됐나요~? 공기가 아주 물기가 가득하네요~^^;

표현이라는 게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더 진심어린 표현이 될텐데 별다른 생각 없이 기계적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책하게 되더군요~^^ 좀 더 마음을 써야겠습니다.

희선 2022-06-28 03:4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지났지만 주말에 책 많이 보셨군요 저는 유월엔 더 못 보는데... 마음이 잡히지 않는 건지, 얼마전에는 책 잘 좀 보자고 했는데... 실천이 안 됩니다

기계처럼 응답한다 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아무 말도 안 하는 것보다 나을 듯합니다


희선

거리의화가 2022-06-28 07:43   좋아요 2 | URL
맞습니다 희선님 어쨌든 부모님은 어떤 말이든, 표현이든 해주면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
막판에 읽은 책들은 아주 두꺼운 책들은 없어서 그리 읽을 수 있었던 듯합니다. 주말에 책 읽을 시간이 나다보니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