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근하면서 민족문제연구소 역발상(역사를 발견하고 상상하라 미래를) 팟캐스트를 들었다.
대중음악 작곡가 박시춘에 대한 이야기다.
대중음악 쪽에서는 군국가요를 가장 많이 만들어서 친일인명사전에도 올라가 있다.
대중음악을 한 사람은 돈을 받고 일하는 월급쟁이이고 대중의 구미에 맞는 노래를 부르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중음악도 창작물이라는 것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작곡도 멜로디를 만들어내는 일 아닌가.
시인이나 소설가처럼 문학가들도 흥행성을 생각하지 않고 썼을까.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박시춘이 1996년 사망했다고 하는데 그 긴 세월동안 친일 행위에 대해서 일언반구가 없었다고 하는 것은 실망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가 작곡한 노래가 많은 성공을 했던 만큼 변명이든 반성이든 뭐라도 말이 있었어야하는 게 아닌지.
박시춘은 시류에 철저히 맞는 음악을 했던 사람이었다. ‘그래도...‘ 하는 문장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2
이란에 대한 친절한 가이드 같은 책이다.
대여기간 때문에 부랴부랴 읽었는데 에세이 형식이어서 쉽게 읽혀서 가볍게 읽을 수 있었다.
저자는 한국외대 페르시아어이란학과 교수로 재직중이고 2019년부터 2년간 이란 알라메 타바타바이 대학에서 정치학과 교환교수로 일했다.
이 책은 2년간 교환교수로 일할 당시 실제 겪은 경험들이 녹아들어가 있다.
이란에 대한 오해와 부정적 이미지를 풍문이 아니라 그가 이란에서 직접 보고 겪은 일화를 배경으로 설명해준다.
이란과 페르시아는 어떻게 다른지 이란인들은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이란에서 생활한다면 어떤 일을 겪을지 어떤 태도와 행동을 하면 좋을지 이야기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