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친필 사인이 담긴 책을 선물 받았다. 자목련이라는 닉네임과 내 이름, 그리고 깊고 푸른 바다를 보냅니다란 문장이 있었다. 작가와의 만남, 낭독의 시간, 강연회는 언제나 먼 곳의 일이다. 참여하지 못하는 공간, 후기로 만나는 걸로 족한다. 한데 이렇게 그곳에서 나를 떠올린 고마운 마음 덕분에 나는 바다를, 섬을, 생각한다. 그러니까 이 책 어딘가엔 거문도의 깊고 푸른 바다가 있다. 한 번도 가 보지 못한 거문도의 바다 말이다. 아는 이는 알겠지만 나는 지척에 바다를 두었다. 그러나 이 바다와 그 바다는 다르다. 분명 다른 냄새를 품고 있을 것이다.

 

 

 

 

 

 

 

 가을 바다는 어떤 빛이었던가. 기억나지 않는다. 계절마다 같은 듯 다른 옷을 입은 바다. 다시 또 바다를 그리워할 시간이 된 것이다. <내 술상 위의 자산어보>는 맥주를 곁에 두고 읽어야 할 것만 같다. 안주는 오징어로도 충분하다. 이미 바다라는 맛난 안주가 있으니까.

 

 한창훈 작가는, 바다를 부르는 이름이 되었다. 바다와 가장 멋진 하모니를 이루는 작가이기도 하다. 아니, 그는 바다를 흠모하는 하나의 배인지도 모른다. 파도와 연애하는 항구인지도 모른다. 읽은 책은 <홍합>과 <나는 여기가 좋다>가 전부다. 책장 속 <그 남자의 연애사>는 읽지 않았다.

 

 ‘배는 항구에 머물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가 아니다. 여수시에서 지금도 또 만들고 있는 모형 거북선은 바다를 모른다. 배의 목적은 항해이다. 일을 마치고 돌아온 노동자가 휴식 뒤에 다시 일을 하러 나가듯, 해나 달이 다시 떠오르듯 배는 파도치는 바다로 나가는 게 존재의 이유이다. 만들어진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아서 좋은 것은 무기분이다. 검이 가장 아름다울 때는 검집 속에 들어 있을 때니까.’ (88쪽)

 

 가을에 시를 읽는 것도 좋지만 산문을 읽어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밥을 먹을 때마다 나는 항상 같은 자리에 앉는다. 식사를 하는 사람이 늘어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늘어난 사람에 따라 각자 지정된 자리에 앉는다. 한 번도 이상하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정해진 자리는, 누가 정하는가? 아이의 경우는 어른이 정할 것이고, 손님의 경우는 주인이 정하게 된다. 어른의 경우는 먼저 자리를 차지하는 사람이 정하게 된다. 그러나 혼자 식탁을 차지할 경우에도 같은 자리에 앉게 된다. 습관 때문이다. 사물의 위치도 다르지 않다. 종종 사용하는 그릇과 컵을 바꾼다. 가구를 옮기기도 한다. 화분이나 책의 위치는 바뀔 뿐 사라지지 않는다. 꽃은 다시 피고, 땅 속의 씨앗은 다시 싹을 틔운다. 사라지는 건 오직 사람뿐이다. 당신의 공간은 남았는데 당신은 없다. 

 

 

 존 버거와 아들 이브 버거가 쓰고 그린 『아내의 빈방 : 죽은 후에』는 아내와 엄마를 그리워하는 시간의 기록이다. 사진으로,그림으로, 편지로, 일기로 이어진 아내와 남편, 엄마와 아들은 여전히 함께 한다.

 

 당신이 집 앞에 심어 놓거나 화분에 담아 발코니에 올려놓은 식물들에 물을 즐 때면, 나는 기도와 이어진 어떤 것, 그리고 기도와 사랑 사이에 어떤 연관을 보곤 했다오. 물이 온도는 날씨에 따라, 양동이가 햇빛 아래 얼마나 있었는지에 따라 달랐지. 어떤 때는 체온보다 따뜻했고, 어떤 때는 시릴 정도로 차갑더군. 하지만 그런 차이 때문에 그 행동에 담긴 사랑스러움까지 달라지는 건 아니었고, 작업모를 쓰고 물을 주는 당신을 사랑하는 나의 마음도 달라지지 않았소. (12쪽)

 

 좋은 날에는 엄마를 느낄 수 있어요. 보통은 제 머리 위에서―우리 머리 위에서요. 퍼져 가는 존재감. 마치 엄마가 미소를 띠고 계신 것 같아요. 제가 하고 있는 일에 엄마도 동의해 주시는 거라고 믿고 싶지만, 제 생각에 동의라는 것도 다른 판단과 마찬가지로, 지금 엄마가 계신 곳과는 관계가 없겠죠. 그건 여기 지상에 있는 우리의 일이에요. (34쪽)

 

 햇살이 좋은 오후, 나도 엄마를 느낄 수 있을 것만 같다. 이브 버거처럼 말이다. 엄마의 공간, 엄마의 자리, 엄마의 영역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엄마에겐 화장대라 불릴 공간이 없었다. 그러고 보니 손거울도 없었다. 엄마만을 위한 공간은 죽음 후에야 생겨났다.

 

 

 김 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에도 자리 이야기가 나온다. 그것은 영역에 대한 것이었다. 소설에서 며느리는 직장을 다녀야 하는 이유로 시어머니에게 육아를 부탁한다. 아들네 집으로 들어온 시어머니는 육아와 살림을 도맡는다. 그 후로 집은 시어머니가 가꾸는 화분과 같았다. 집 안의 모든 사물과 동선은 시어머니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원래는 저기가 아니잖아요.” 그녀는 감정을 억누르고 차분하고 단호하게 말하려 애썼다. “전화기가 놓여 있던 자리가 말이에요.”

 “아니…… 저기다…… 저기…….”

 갈라지고 흐릿했지만 여자의 목소리는 단호했다. 사실 전화기가 텔레비전 왼편에 있든, 오른편에 있든 크게 문제 될 게 없었다. 전화를 걸고 받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었던 것이다. 고작 전화기가 놓여 있어야 할 자리를, 그것도 제자리를 두고 따지려니 우습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136~137쪽)

 

 

 공간을 점유한 만큼 존재의 크기도 커진다.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가 모두 살아계셨을 때 안방은 할머니가 사용하셨다. 그러니까 가장 큰 공간을 할머니 혼자 쓰셨다. 손주가 태어남에 따라 함께 사용했지만 언제나 그 방의 주인은 할머니였다. 할머니의 권력이 가장 컸던 것이다.

 

 나만의 공간을 꿈꿨던 시절을 지났고 모두의 공간이 그립다. 명절 때마다 모여드는 식구들로 가로, 세로, 아무렇게나 잠들었던 밤은 다시 경험할 수 없다. 당신이 만든 음식들, 친척집을 돌며 성묘를 다니던 시절, 마을 어구에 길게 늘어선 자동차들이 신기했던 시절을 떠올린다. 아, 마음이 심란한 걸 보니 정말 추석이구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코머핀 2014-09-05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서도 항상 많은 활동 하고 계시네요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자목련 2014-09-06 08:18   좋아요 0 | URL
앗, 초코머핀 님. 덧글 고맙습니다. 명절 평온하게 보내세요^^
 

 

 밤이 기분 좋은 날들이다. 잠들지 못해 뒤척이는 시간은 줄고 깨어 있게 된다. 선명하게 맑은 정신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 말이다. 아파트 곳곳에서 들려오던 사람들의 웅성거림도 사라지고 별빛처럼 물드는 가로등이 예쁜 날들이다. 이른 추석으로 마음은 괜히 심란하고 또 하나의 계절이 간다는 게 서럽기까지 하다. 계절의 흐름에 서럽다니, 주책이라 해도 할 수 없다.

 

 드라마를 보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종종 재방송을 보고 있지만 그래도 밤에는 덜하다. 어제는 읽고 싶은 책과 읽어야 할 책 사이를 오가다 김 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을 선택했다. 여자(시어머니)의 침이 마르는 이야기로 시작하는 소설인데 이전의 김 숨과는 좀 다른 느낌이다. 아직 읽는 중이니 다 읽어봐야 알겠다.

 

 아무래도 올해 나의 관심사는 상실과 부재인가 보다. 존 버거의 『아내의 빈방 : 죽음 후에』, 이 책을 어찌 지나칠 수 있단 말인가. 기존의 존 버거의 책과 달리 양장본에 40쪽의 아주 얇은 책이지만 내게는 커다란 울림을 줄 것 만 같다. 에쿠니 가오리를 매우 좋아하는 건 아니지만 『등 뒤의 기억』은 읽고 싶다. 짐작했지만 제목 때문이다. 로랑 고데의 『세상의 마지막 밤』도 마찬가지. 책장에서 잠자는 김유진의 『숨은 밤』도 이 계절에 읽으면 좋겠다.

 

 

 

 

 

 

 

 

 

 

 

 

 

 

 

 

 

 

 

 깨어 있기 좋은 밤을 위한 리스트는 길어진다. 에쿠니 가오리보다 애정의 크기가 큰 필립 로스의 단편집 『굿바이, 콜럼버스』,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의 작가 매튜 퀵의 장편소설 『용서해줘, 레너드 피콕』도 기대가 된다. 시집도 고른다. 임선기, 김행숙, 김경미의 시집과 사랑하기 좋은 날들을 위한 다소 과한 마케팅이라 여겨지는 에로틱한 표지 김종관의 『그러나 불은 끄지 말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이 책들을 다 곁에 둘 수 있다면 좋겠지만 언제나 현실과 이상은 다르다.

 

 몇 권의 책을 다시 추리고, 추린다. 존 버거의 책과 함께 몇 권만 사야 한다. 정말, 몇 권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4-08-29 2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나 침 바르고싶은 책이 많아요. 무얼까 궁금하시죠 ^^

자목련 2014-09-01 10:22   좋아요 0 | URL
필립 로스와 존 버거가 아닐까 싶어요.
수줍은 붉은 사과가 식탁에 놓이는 9월이에요!

라로 2014-08-30 0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딱 하나만 고를게요~~~~. 근데 자목련님도 당근 아실 듯,,,네, [아내의 빈방]입니다.
요즘 날씨가 좋은가 봐요? 하긴 여기도 밤 날씨는 선선하니 좋네요.
벌써 추석이 다가오는 군요.
여기는 담주 월요일이 공휴일이에요.
노동절이죠. 애들데리고 놀러가고 싶은데 다들 시큰둥해 하네요,,,ㅠㅠ
잘 지내세요, 아니 우리 잘 지내요.^^

자목련 2014-09-01 10:24   좋아요 0 | URL
아이들은 금세 자라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요.
가끔 꼭 닫은 문을 바라보며 나도 저랬나 싶어요. ㅎ
 

 

 아침부터 몇 권의 책을 주문했다. 책을 주문하는 일은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사고 싶은 책과 살 수 있는 책, 사는 책은 다르기 때문이다. 문학동네에서 청소년 테마 소설이 나왔다. 세 권 가운데 관계의 온도를 선택했다. 관계는 어른이든, 아이든, 청소년이든 모두에게 중요하다. 그리고 어렵다. 그런 관계를 어떻게 다뤘을지 궁금하다. 주문한 책을 보니 신간보다 구간이 더 많다. 3900원(5만원 이상 구매시)이란 매우 파격적인 가격으로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정약용의 산문집다산의 마음, 문화재 지킴이 전형필을 다룬 간송 전형필, 소재 때문에 선뜻 읽기가 겁나면서 관심이 가는 『고백, 모두 구간이다. 그러니까 남들 다 읽은 책을 나는 이제야 읽으려 한다.

 

 

 

 

 

 

 

 

 

 

 

 

 

 

 

 

 

 

 

 

 

 

 

 신간의 유혹은 여전히 강렬하다. 책을 좋아하는 이, 책을 소장한 이, 책을 읽는 이, 책을 모으는 이, 여하튼 책과 관련된 이들에게 장서의 괴로움은 지나칠 수 없는 책이다. 생각하는 여자는 위험하다, 『읽고 싶은 이어령, 버리는 글쓰기가 내게 강렬한 눈빛을 보낸다.

 

 어제는 동네 어른의 부고를 들었다. 남편, 아버지, 할아버지를 잃은 이들의 얼굴이 차례로 떠올랐다. 내일이 발인이라는데, 기상 캐스터는 폭우를 예보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reeze 2014-08-20 1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밥 대신 책입니다. ㅋㅋㅋ

자목련 2014-08-20 20:54   좋아요 0 | URL
아침엔, 책 주문하느라 밥 때를 놓쳤습니다, ㅋㅋ

프레이야 2014-08-20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밥도 포기할 수 없어요 ㅎㅎ. 쌓여가는데도 책은 좋아요. 빗소리 시원한 저녁입니다^^ 동기들의 부고도 들려오곤 합니다. ㅜㅜ 그런 나이가 되었네요. 죽음이 나이순은 아니지만 ‥

자목련 2014-08-21 18:48   좋아요 0 | URL
분명 구매한 책인데 찾지 못하는 일이 늘어도, 장바구니를 계속 채우고 있어요. ㅎ
여긴 비가 그쳤어요. 흐린 듯하면서도 맑은 그런 하늘입니다.
 

 

 세월호 참사 100일 추모행사, 애도에 대한 기사를 읽는다. 죽음이 산재한 세상, 지구촌 곳곳에서 죽음이 발생한다. 어제 도착한 롤랑 바르트의 책을 읽는다. 일기라는 표현이 맞겠다. 매일매일, 짧은 글로 자신의 감정을 기록한 책이다. 어머니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 어찌할 수 없는 슬픔을 읽으면서 죽음과 삶을 생각한다. 텅빈 어떤 공간을 생각한다.

 

 절망, 갈 곳 없는 마음, 무기력:그래도 여전히 맥박을 멈추지 않는 건 단 하나 글쓰기에 대한 생각. 그 어떤 즐거운 것피난처,  축복미래의 계획으로서의 글쓰기, 한 마디로 말해서 사랑으로서, 기쁨으로서의 글쓰기. 을 향하는 경건함으로 가득한 어느 여인의 가슴 벅찬 감동들 또한 다른 것이 아니리라. (1978년 11월 21일)

 

 내가 늘 두르고 다니는 검은색 혹은 회색의 목도리처럼 내가 입고 다니는 외투도 침울하다. 이런 내 모습을 마망은 분명 그냥 뇌두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그러자 내게 말하는 그녀의 목소리가 들린다. 좀 색깔이 있는 옷을 입고 다니렴. 처음으로 색깔이 있는 목도리를 두른다(체크무늬가 그려진). (1978년 3월 6일)

 

 모든 일들은 아주 빨리 다시 시작되었다:원고들, 이런저런 문의들, 또 이런저런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들, 그리고 사람들은 저마다 자기가 원하는 것을(사랑을 또 인정받기를) 가차 없이 얻어내려고 한다:그녀가 죽자마자 세상은 나를 마비시킨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하는 거야, 라는 원칙으로. (1978년 6월 15일)

 어머니의 자족적이고 검소했던 삶, 물론 그녀가 당신만의 물건을 소유하지 않았던 건 아니다(금욕주의자가 아니었으니까). 하지만 그 물건들은 아주 적다. 마치 그녀가 죽은 뒤에도 자신과 그 물건들이 분리당하지 않고 함께 하기를 원했던 것처럼. (1978년 10월 3일)

 장맛비로 습해진 공간을 제습기가 차지한다. 장맛비를 기다리던 날도 있었다고 말할 수 없는 순간이다. 활자화된 죽음과 애도를 마주하면서 점심엔 비빔면을 먹어야겠다고 생각하는 아침이다. 여지없이 계속되는 삶이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