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어린이표 - 웅진 푸른교실 1, 100쇄 기념 양장본 웅진 푸른교실 1
황선미 글, 권사우 그림 / 웅진주니어 / 1999년 12월
평점 :
절판


착하다 나쁘다라는 말은 지극히 주관적인 말이다. 어떤 행동은 착하지만 때론 나쁘게도 평가된다. 이는 사람들의 잣대로 이렇다 저렇다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한다.

건우는 자신이 한번도 나쁜 아이라고 생각해본적이 없다. 건우의 엄마도 자기 아들이 나쁜 아이라고 생각해본적이 없다. 하지만 선생님으로부터 나쁜 어린이표를 여러장 받게 된다. 처음 나쁜 어린이표를 받게 되었을땐 착한 어린이표를 받아 나쁜 어린이표를 없애려고 노력도 하지만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착하다 나쁘다의 기준은 사람들마다 생각하는 그 기준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선생님의 입장에서 아이들을 잘 지도하기 위해 착한 어린이표와 나쁜 어린이표를 나누어 주었지만 오히려 나쁜 어린이표를 받아든 아이들에겐 하나의 상처가 되기도 하고 자신감을 잃어버리게 만든다. 게다가 건우는 선생님의 행동에 대해 자신의 잣대로 평가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을 들키게 될까 걱정을 한다. 또 선생님의 의도와는 다르게 아이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고자질도 하고 또 정직하게 이야기하지 않고 침묵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아이들 스스로에게도 학교 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책이라고 할 것이다.

선생님의 나쁜 어린이표를 찢어 화장실에 버리고 겁이나서 숨어버린 건우는 혼이 날거라고 생각했지만 건우의 수첩에서 자신을 평가한 것을 본 선생님은 건우에게 아무말도 하지 않고 그 수첩의 내용을 가져가시며 둘만의 비밀로 하자고 한다. 선생님도 자기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제 막 학교 생활을 시작하는 아이들과 엄마, 그리고 선생님이 꼭 읽어 보았으면 좋겠다. 아이들의 학교생활모습을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기에 참 좋았다. 아이들은 아이들대로 선생님은 선생님대로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엄마들에게도 학교에서 있을법한 이야기를 보여주기에 아이들의 교육에 좀 더 신경쓸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책이기에 가능했을지 모르는 선생님의 인간적인 모습-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는-이 보기에 참 좋았다. 선생님의 권위에 학생들이 도전해올때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자신의 권위를 먼저 생각하기 마련인데 건우의 수첩을 보고 많은 생각을 했을 선생님과 건우의 화해가 좀 더 나은 학교 생활로 이어져갈 수 있는 기틀이 되어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할수있다"는 희망으로 자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