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날 신호등 앞에서 신호가 바뀌기를 기다리고 있다가 갑자기 온 세상이 하얗게 보인다면, 나는 어떨까? 또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에서은 어떻게 될까? 솔직히 상상하기 싫은 상황이다. 아무것도 볼 수 없다는 것이 얼마나 끔찍하고 고통스러운가에 대해서 이 책을 읽으며 충분히 공감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 모두가 눈이 멀었는데 나 혼자만 볼 수 있다면, 그것도 정말 끔찍할 것만 같다. 몇해전 영화로도 상영되었다는데 그 화면은 얼마나 더럽고 끔찍할까 생각하니 솔직히 영화로는 보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첫번째로 눈이 먼 남자와 접촉한 사람들이 서서히 눈이 멀게 되고 국가에서는 눈이 먼 사람들을 정신병동에 감금한다. 눈이 멀지 않았지만 눈이 먼척 남편을 따라 병동에 들어간 아내, 그녀만이 볼 수 있다.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어느새 이성적인 판단도 흐리게 만들어 병동 곳곳은 사람들의 배설물로 더러워지고 먹을 것이 부족해지고 사람들은 늘어나면서 거의 전쟁 수준의 다툼이 일어나기도한다. 심지어 사회에서의 깡패조직은 병동안에서도 깡패짓을 일삼는다. 처음엔 사람들의 재물을 거두어들이고, 다 걷어들인 깡패들은 밤마다 여자들을 받치라고 한다.
정말 여자는 어느 곳에서나 수탈의 대상이 된다. 가슴 아프다. 힘없고 약한 여자들을 짓밟아야 성이 차는 남자들의 본능은 정말 끔찍하다.
눈이 먼 사람들은 자신들을 보호할 수 없는 위치에 있으며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늘 두려움을 갖게 한다. 담장 밖에서는 군인들이 총을 겨누고 있고, 병동 안에서는 먹을 것을 두고 다투는 것, 결국 사람의 본성은 선하지 않다는 생각을 한다.
한 사람이 눈이 먼 것을 시작으로 그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 심지어 그 나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모두 눈이 멀어버린다는 작가의 상상력은 정말 대단하다. 도시에 썩어가는 시체들, 슈퍼마켓 등 먹을 것을 찾아 부랑하는 사람들, 썩은 시체를 뜯고 먹고 사는 개들, 더이상 도시는 깨끗하게 잘 정비되어 있지 않다. 심한 악취로 가득한 썩은 도시를 눈이 먼 사람들이 걸어간다. 그들은 자신들의 집을 찾기를 포기하고 먹을 것과 잠자리를 찾기 위해 남의 집을 점거하기도 한다.
도시의 문명이 얼마나 보잘것 없는 것인가? 눈이 멀기 시작한 도시를 통치하던 사람들도 서서히 눈이 멀게 되고 결국 사람들은 원시사회의 사람들처럼 산다. 어느 곳이든 쭈그려 앉아 변을 보고 더러운 곳에서 썩어가는 음식을 먹기도 한다. 가스며 전기, 어느 것 하나 눈이 먼 사람들은 공급받을 수 없다. 우리는 그만큼 무기력한 존재들인 것이다. 다만, 살기 위해 먹을 것을 찾아 싸우고 다투는 나약한 존재들인 것이다. 병동에서 나와 먹을 것을 찾아나섰던 그녀가 지하창고에 쌓여 있는 먹을 것을 들고 나온다. 다른 사람들은 그녀가 나오며 풍기던 음식 냄새를 쫓아 지하창고에 문을 연다. 미끄러운 계단에 한꺼번에 밀려들어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된 눈먼 사람들, 우린 얼마나 나약한 사람들인가 말이다.
의사부부의 집에서 아늑하게 생활할 수 있었던 것도 결국엔 볼 수 있는 그녀가 있었기 때문이었는데 그녀만은 눈이 멀지 않았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곳곳에 숨어 있는 작가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그녀가 잃지 않은 것은 희망이었다. 남편도 다른 사람들도 모두 다시 눈을 뜰 수 있을거라는 희망말이다. 어느날 갑자기 첫번째로 눈이 멀었던 남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세상을 볼 수 있게 되었던 것도 자신들의 집을 지켜야한다는 책임과 결국엔 눈을 다시 뜨게 될거라는 희망때문이었다. 그렇게 사람들은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비가 쏟아지는 발코니로 세여자가 나와 더러워진 신발들과 옷가지를 빨고 자신들의 몸을 씻었던 장면인 것 같다. 사람이 동물과 다른 것은 아무래도 자신들을 가꾸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일테니까 말이다. 세 여자의 영상이 내 눈 앞에 그려진다. 아마도 무척 아름다웠을 것 같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참, 멋지다. 이런 글을 쓸 수 있다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