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양장) - 故 김영갑 선생 2주기 추모 특별 애장판
김영갑 지음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여러말을 쓰려고 리뷰를 써야겠다고 생각하진 않았다. 그저 <그 섬에 내가 있었네>의 작가 김영갑님에 대한 놀라움과 안타까움, 슬픔......뭐 그런 것들이 지금 내 안에서 소용돌이치고 있다.
젊은 한 남자가 제주도에서 20여년을 쓸쓸하게, 오로지 사진 작업에 매진하기 위해 일부러 사람들을 피하고 연락을 두절하며 기꺼이 외로움을 만끽하며 제주의 자연을 사진으로 담아냈다. 누군가 알아주길 바라서도 아니고 스스로가 즐거워서 스스로가 해야만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서 해왔다는 것이다. 먹는 것, 자는 것, 입는 것 그 어느 것 하나 자신을 위해서 쓰는 일 없이 주린 배를 물로 채워가면서, 전기세가 아까워 겨울에도 찬바닥에서 잠을 자며 오로지 필름과 인화지를 사려고 노력했다는게 보통의 사람인 나로서는 정말 엄두도 나지 않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글 사이사이 담겨 있는 사진들은 묘한 매력을 가지고 보는 이로하여금 다시한번 더 들여다보게 만든다. 외로이 서 있는 나무들, 짙푸른 듯 푸르지 않은 제주의 하늘, 맑은 바닷물, 해질무렵의 파노라마 등등 눈길을 사로잡는 묘한 매력이 있다.
이번 제주 여행에선 두모악 갤러리를 꼭 찾아가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지금 현재 충무아트홀에서 전시중인 <지평선 너머의 꿈>에도 가보고 싶다.

책을 읽는내내 눈시울이 뜨겁게 달구어졌던 건 한 인간에 대한 절대 고독과 절대 고통에 대한 안쓰러움과 놀라움이 함께였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에 만나는 무수한 길들에서 나는 어떤 길을 걸어가고 있는 것일까라는 생각도 함께였다. 나는 늘 등따시고 배부르고 그런 것을 따라가며 살고 있다는 게 심하게 부끄러웠다.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철저히 혼자이길 고집했다는 작가의 생을 보면 정말 나는 천상 보통사람, 평범한 사람이란 생각밖에 안든다.
세월이 흘러가면서 김영갑이라는 사진 작가에 대한 경외심과 존경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생겼다. 카메라 들 힘조차 없는 분이 마지막 생의 힘을 갤러리 만드는데 쏟아부었단다. 잊혀지지 않게 우리 모두가 찾아가고 알려가고 그렇게 작가의 혼을 사진을 통해서 보았으면 좋겠단 생각을 해본다.
그림에 혼을 불태우던 고흐가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