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가 그랬어 57호
고래가그랬어 편집부 지음 / 고래가그랬어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해문 칼럼 /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는 꼭지를 읽으면 우리 어릴때 동네를 뛰어다니며 놀았던 기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제대로 놀 시간도 놀줄도 모른다. 뭔가 기구를 가지고 있어야만 놀이가 된다. 놀이터의 놀이기구가 그렇고 운동기구가 그렇고 심지어 공놀이도 공이 있어야 한다. 우리 어릴땐 땅바닥에 돌멩이, 모래만 있어도 놀았는데 아니 그런게 없어도 신나게 뛰어다니며 놀았는데 우리 아이들은 그렇게 자라나지 못해 늘 안타깝고 아쉽다. 그래도 정말 다행인건 고래를 통해서 많은 아이들이 다양한 놀이를 생각하게 될 것 같고 또 부모들, 어른들도 아이들에게 제대로된 놀이를 가르쳐야한다는 걸 깨닫게 될 것 같다. 나부터가 그러하니까..... 

태일이, 신문에 평화시장의 근로환경을 기사화하지만 현실의 벽은 높기만 하다. 근로감독관은 제대로된 감독은 하지 않고 사장들은 삼동회 사람들에게 거짓 약속만 한다. 참 어처구니없고 가슴 아픈 과거의 현실을 만난다. 

전쟁과 평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게 만드는 피터 히스토리아, 알쏭달쏭 평화찾기는 아이들이 꼭 읽어봐야할 만화다. 

세 바퀴로 가는 과학 자전거, 정말 재미있게 보고 있는 만화, 과학자들이 갖고 있는 오만함, 이기심 등에 맞선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 정책에 직접 반영되지 않아도 시민의 힘이 어떤 것인지 보여준다. 

내가 가장 부러워하고 있는 야생초 교실, 황대권 삼촌과 함께 하는 무궁무진 풀놀이, 어린시절 생각도 나고, 함께 참여하고 싶은 욕구에 사로잡혔다. 풀피리 불고, 화관도 만들고, 자연과 벗삼아 놀 수 있다는 건 정말 행복한 일이다. 

선 이모의 건강한 수다, 쉬운 말로 어려운 내용을 풀어간다. 약장수 마음대로 약값이 정해지는 희소성에 대한 이야기, 이런 내용의 글을 아이들이 어디에서 만날 수 있겠는가. 

고래공작실, 천연비누 만들기 

우리꽃 이야기, <김태정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꽃 이야기>가 출처라는데 일반 식물도감 보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다. 사진도 예쁘고. 

고래토론, 종교 이야기, 아이들의 의견에 공감되는 부분이 있는건 아이들도 모든 종교를 끌어안을 수 있는 넓은 포용력을 갖고 있다는 것. 

을식이는 재수없어, 여전히 유치하지만 묘하게 끌리는 재미. 물론 내 취향은 아니다. 

코딱지만한 이야기, 이건 여러분이 찾아서 읽어보시길......흰고양이의 농간에 놀아나는 흰쥐, 그건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