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가 그랬어 42호 - 2007.4
고래가그랬어 편집부 지음 / 고래가그랬어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호 고래토론은 '핸드폰! 너 정체가 뭐냐?', 핸드폰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가지고 있지 않은 아이들에 비하면 소수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핸드폰을 가진 아이들을 부러워한다. 핸드폰이 아이들에게 친구들과 문자를 주고 받는 의사소통의 도구로, 게임이나 인터넷, 엠피쓰리 등을 이용하는 유용한 도구로 등장했다. 하지만 아이들은 핸드폰이 가지고 있는 단점으로 핸드폰에 신경쓰는 시간이 많아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것, 요금이 많이 나오면 부모님께 혼이 난다는 것, 문자를 보낼때 줄임말을 쓴다는 것, 전자파가 해롭다는 것, 새 기종이 나오면 2,3개월만에도 새 것으로 바꾼다는 것 등 아이들 스스로 좋은 점과 나쁜 점들을 이야기 한다는 건 참 좋은 일이지만 이 핸드폰이 정말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일까싶다. 물론 요즘처럼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고 아이들이 학원으로 하루 일과가 바쁘고 아이들을 맡아서 보살펴 줄 다른 어른이 없는 경우에 부모들의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겠지만 이런 물질이 평범한 아이들을 소외시킬 수 있다는 걸 생각한다면 부모들이 먼저 절제를 해야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요즘은 닌텐도라는 걸 갖고 싶어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다. 물론 우리 조카도 닌텐도를 갖고 싶다고 매일 자기 엄마를 졸라댄다. 너도 나도 자기 아이들만 챙기다보면 그런 물질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자꾸만 소외시키는게 아닐까하는 걱정이 먼저 앞선다. 우리 어린 시절처럼 밖으로 나가서 뛰어노는게 더 좋을텐데 굳이 조금만 게임기 하나로 어디에서건 게임만 하는 아이들을 보면 참 답답하단 생각이 많이 든다. 그런걸 절제시키지 못하는 부모들의 잘못도 크겠지만 워낙 보고 듣는게 많은 요즘 아이들을 어떤 부모가 이길 수 있을까 싶기도 하다. 핸드폰이든 닌텐도든 아이들에게 사주는 것까진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사용하는데 있어서 규칙과 절제를 가르쳐야 할 거라고 생각한다. 학교에는 가져가지 않는다, 시간을 정해서 정해 놓은 시간만 게임을 한다 등 아이와 부모가 머리를 맞대고 상의를 해보는게 좋을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번호에서 새로 연재되는 세 바퀴로 가는 과학 자전거는 과학의 발전이 사람들의 삶의 여유를 빼앗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했다. 역시 재미있게 읽고 있는건 피터 히스토리아,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 태일이, 옥상에서 보는 풍경, 도구의 역사, 옛 이야기로 들려주는 수학, 생각하는 자람이. 

이번 호 독서논술은 오스카 와일드이 <행복한 왕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