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이라는 말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까? 사랑이라는 말은 언제들어도 가슴설레고 따뜻한 말이다. 내가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 누군가가 나를 사랑하고 있다는 것만큼 행복한 일도 없을 것이다. 사랑은 누군가가 가르쳐주어서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살다보니 사랑이라는 것도 하나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가 많았었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뭐라고 딱 꼬집어서 얘기할 수 없는 얘기를 드 보통은 자질구레한 연애사를 늘어놓으며 철학적 사유와 함께 제시한다. 이를 역자는 무엇인가 입 안에서 계속 씹히고 터지는 느낌이 드는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처럼, 때로는 온탕과 냉탕을 왕복하는 것처럼 어떤 청량감을 맛본다는데 나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참, 시시콜콜한 얘기를 온갖 현란한 언어로 치장하고 있는게 아닐까 생각했다. 이런 반응을 보이는 독자에 대해 역자는 상당한 지적 노력이 따라주지 않으면 힘들다고 말한다. 결국 나의 지적 능력이 상당하지 못하다는 말이 되었다.

상대방에게 무엇 때문에 나를 사랑하게 되었느냐고 묻지 않는 것은 예의에 속한다. 개인적인 바람을 이야기하자면, 어떤 면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나라는 사실 때문에 사랑받는 것이다. 속성이나 특질을 넘어선 존재론적 지위 때문에 사랑을 받는 것이다. 사랑 안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은 부유함 속에서 사는 사람들처럼 애정/ 소유를 얻고 유지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는다는 금기를 지켜야 한다. 사랑에서건 돈에서건 오직 빈곤만이 체제에 의문을 품게 한다. 그래서 아마 연인들은 위대한 혁명가가 되지 못하는 것 같다.

뭐라고 말해야 할까, 겉 멋이 잔뜩 든 한 남자가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랑에 대해 지껄이고 있다는 느낌이다. 사랑이라는 건 우리가 정확히 무엇이라고 정의 내릴 수 없는 것이고, 그것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는 그런 것이란 생각이 든다. 그런데 드 보통은 너무도 자신만만하게 말한다. 그래서 나는 이것을 재치나 유머로 생각할 수가 없었다.

10대의 풋사랑을 거쳐서 20대의 열정적인 사랑을 지나 30대이후의 안정적인 사랑을 생각한다면 우리의 사랑을 단순하게 정의 내릴 순 없을 것 같다. 거기에 온갖 철학적 사유로 겉치장을 요란하게 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단순하고 명료하게 사랑을 정의 내릴 수 없을 것 같다.

그래도 이 책을 끝까지 읽었던 건 지나온 사랑에 대한 미안함이 남아 있어서였을 것이다. 하지만 주인공이 클로이와의 사랑은 얼음같은 것이었다고 얘기했듯이 지나온 사랑은 그렇게 서서히 녹아 사라져 버린다는 것, 하지만 우리 안에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놓치고 싶지 않아서였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