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어 사전
남경태 지음 / 들녘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를 따지며 읽을 필요가 없다. 별개의 개념어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해 놓았을 뿐 어떤 유기적 연계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를 지키며 읽어 나갔다. 좀 미련스러운 행동이었을지 모르지만 나름대로 읽어 나가는 재미가 있었다.

이 책은 사전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객관적인 글이라고 할 수 없다.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서로 연계성을 갖고 있다면 '고삐 풀린 망아지가 좋횡무진 초원을 누비듯이 한 개인이 지적 세계 속에서 좌충우돌하면서 겪고 부딪힌 개념들을 자신의 목소리로 들려'주고 있다. 그래서 어떤 부분에서 그래 그렇지 하다가도 어떤 부분에서는 왜 이렇게 생각할까 하기도 했다.

그래도 이 책을 읽는내내 저자의 지적 수준이 상당하다는 것에 감탄했고 마지막 참고문헌을 펼쳐본 순간 이 많은 책을 다 읽고 소화시켜 다른 사람들에게 인문학적 개념어를 어렵지 않게 말랑말랑하게 들이 밀었다는 것에 박수를 보내고 싶었다.

철학과 역사를 비롯한 인문학 공부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으로 한참 공부하는 학생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대학 1학년때 이진경 <철학과 굴뚝 청소부>를 읽으며 데카르트에서 포스트 모더니즘, 구조주의까지 철학의 전반을 쉽게 이해했었는데 <개념어 사전> 이 책도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주의할 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에서 쓰여진 글들을 조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만 유독 장학금은 주로 가난한 집안의 학생들에게 배당된다. 특히 학교 외에서 제공되는 장학금, 이를테면 이따금 신문에 미담으로 보도되는 ......10억원을 대학교에 기탁했을 때......가난한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라고 부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초등학교라면 이상할 게 없다. 그러나 대학교 같은 고등교육기관이라면 집안 형편을 기준삼기 보다는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을 지원하는 게 정상이다.......형편이 어려운 학생에게 주는 장학금은 학문의 발전에 기여하기보다는 조금이라도 더 배워 출세하라는 격려금이나 마찬가지다. 권력이나 재력을 물려받지 못한 사람에게 신분 상승의 가능성은 학력을 높이는 길 외에는 없다......아비튀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육이다. 아비튀스는 복잡한 교육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무의식적 사회화의 산물이다. 김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영향으로 서양 고전 음악에 묻혀 살았을 테고, 무의식적으로 그 취향에 대한 아비튀스를 키워왔을 터다. 반면 박 씨는 가난한 농촌에서 태어나 자칭 '공돌이', 타칭 산업역군으로 젊은 시절 공장에서 일하던 짬짬이 라디오에서 나오는 '흘러간 가요'를 들으며 무의식적으로 나름의 아비튀스를 키워왔을 것이다. 이처럼 아비튀스는 교육을 통해 '상속'된다.

너무도 주관적인 저자의 글에 마음이 아팠다. 가난한 집안의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건 학문 발전에 기여하는 게 아니라는 것, 왜 그들에게 기회를 주면 안되는가? 반문하고 싶다. 그리고 아비튀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육이라며 김교수와 박씨를 비교하는데 결국 박씨도 자신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삶을 산 건 가난했고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 아닌가.

그래도 이 책의 저자를 무시할 수 없는 건 방대한 지식을 자유자재로 사람들이 먹기 좋게 말랑말랑하게 만들어 놓았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