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으로 튀어! 2 오늘의 일본문학 4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매력적인 소설을 만났다. 무거운 주제를 전혀 무겁지 않게 하는 재치를 발휘하고 있으니 말이다. (한권의 소설이 아니라 만화를 읽는 듯한)

6학년 지로를 통해 본 사회는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 만큼 복잡하지 않다. 하지만 어른들은 이 사회를 복잡하게 만든다. 도쿄에서의 아빠는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오히려 문제만 만드는 아버지였다. 하지만 남쪽 섬에서의 아빠는 농사를 짓고 고기를 잡고 열심히 일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국가를 위한 세금은 낼 수 없다는 그래서 전기도 수도도 필요없단다. 처음엔 그런 아빠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남쪽 섬 사람들의 나누어 쓰는 모습을 보며 지로의 마음도 차차 달라진 것이다. 초등학교 전교생 7명. 모든 나누어 쓰는 인심좋은 사람들 속에서 욕심없이 자유롭게 살 수 있다는 걸 배운다. 하지만 이 작은 섬에도 자본주의는 침투해 오고 그것을 막기 위해 부모가 노력하는 모습을 본다. 지배자와 피지배자, 억압과 착취, 이런 어렵고 무거운 것을 크하하하 웃음 소리 한방으로 날려 보내는 작가가 대단하다는 칭찬만 입에서 맴돈다.

이제는 제대로 된 운동권을 찾아보기 힘든 세상인 건 분명한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운동을 지휘하고 선봉에 섰던 그들이 무엇을 하며 살고 있는지 더이상 적이 없는 세계를 향해 또다른 적을 찾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 본다. 

"나는 당신 같은 운동꾼들에게는 더 이상 어떤 공감도 느낄 수가 없어. 좌익운동이 슬슬 힘이 빠지니까 그 활로로서 찾아낸 게 환경이고 인권이지. 즉 운동을 위한 운동이란 거요. 포스트 냉전 이후 미국이 필사적으로 적을 찾는 것과 똑같은 방식이야."

"지로, 이 세상에는 끝까지 저항해야 비로소 서서히 변화하는 것들이 있어. 노예제도나 공민권운동 같은 게 그렇지. 평등은 어느 선량한 권력자가 어느 날 아침에 거저 내준 것이 아니야. 민중이 한 발 한 발 나아가며 어렵사리 쟁취해낸 것이지. 누군가가 나서서 싸우지 않는 한, 사회는 변하지 않아."

"......하지만 아버지도 이미 혁명 같은 건 믿지 않는다고 하고......그래, 권력을 쥔 사람이 벌레보다 싫고, 국가가 하라는 대로는 죽어도 하기 싫은 한 개인이라고나 할까?"

"지로, 전에도 말했지만 아버지를 따라하지 마라. 아버지는 약간 극단적이거든. 하지만 비겁한 어른은 되지 마. 제 이익으로만 살아가는 그런 사람은 되지 말라고."

진정한 자유를 위해 지도표기도 거부했다는 파이파티로마라는 섬으로 자유를 찾아 떠나가는 우에하라 부부의 멋진 모습에 나도 따라 나서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