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요, 두 발로 걷는 개>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착한 아이가 되고 싶어요! ㅣ 모퉁이책방 (곰곰어린이) 5
마리안느 머스그로브 지음, 김호정 옮김, 셰릴 오르시니 그림 / 책속물고기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의 인성교육에 중요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별점이 짤 수 밖에 없는건 제목이 맘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치 않아도 도처에 "착한" 콤플렉스가 넘쳐나는 세상에 아이들마져 "착한아이"로 길들이기 위한 강요가 섞이지 않나 싶어서 솔직히 시선이 삐뚤어 질 수 밖에 없다.
물론, 착한 아이가 되는 건 중요하다. 우리 아이가 남들에게 손가락질 받고 남들이 싫어하는 일을 저질러 미움을 받는다면 무엇보다 마음 아플사람이 나이고, 아이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했다는 죄책감이 엄청나게 클 것이다. 그리고, 아이의 미래에 대해서도 불안하고 답답할 거라는 걸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젠가 티비에서 누군가 했던 말이 내 뇌리를 떠나지 않고, 그 말에 공감하기에 나는 "착한" 콤플렉스 주입이 너무도 싫다.
"남에게 해만 주지 않는다면 굳이 착할 필요는 없다." 듣다 보면 이말은 극심한 이기주의를 조장하고 아이의 잘 못을 제대로 지적하지 못하고 못된아이로 자라게 할 수 있는 의미가 다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으며 화가 났던 건 책 속의 사람들이 너무 아이에게 착함을 강요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자신만의 인격이 있고 자신의 생각이 있어 행동하지만, 보는 어른들의 눈에는 늘 못된아이 착하지 못한아이로 구분된다. 그래서, 자신은 늘 착하다고 생각하지만 스스로도 자신하지 못해서 좋은 달걀과 나쁜 달걀을 구분하는 방법처럼 자신이 물에 뜨면 나쁜아이고 가라앉으면 좋은아이일거라는 실험을 하게 된다. 어찌보면 아이의 호기심에 웃음이 나오고, 하나의 가르침에 또다른 응용을 하는 아이의 행동이 대단하다고 생각을 하지만, 책속 실제는 아이가 물에 빠져 위험에 처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순간 책을 읽으며 어찌나 아찔했던지......
책속의 어른들은 아이의 맘을 하나같이 헤아리지 못하고 아이의 성질만 돋우고 있다. 아이의 말에는 귀 기울이지 않고, 아이의 생각은 헤아리려 하지 않는다. 마치 아이는 생각이 없다는 듯이 묵살해 버리는 것이다. 어른들의 행동이 얼마나 아이에게 크나큰 상처가 되는지 간접적으로나마 느끼게 됐다. 아이와 대화를 충분히 하고 아이의 생각을 공감함으로서 인성발달이 어떻게 되느냐가 결정된다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하기만을 강요하는 제목이 내 신경을 거슬렸기에 읽는내내 눈쌀이 찌푸려졌고, 내용에 대한 숙지도 솔직히 제대로 되지 못했다. 나쁜책은 아니나 너무 규칙이나 착함을 강요하고 있다. 물론 이다음에 우리아이를 키울때 나는 규칙을 강요하고 잘 지켜야 한다고 그래야 착한아이라고 가르칠께 뻔하다. 그러면서 역시나 나의 이중적인 면으로 착함을 강요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근본적인 생각은 착함을 강요해서는 안된다는 거다. 단지 아이가 인지하고 공감하면서 하나씩 알아가고 착함의 의미보다는 스스로의 편의를 위해 알아가는 터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리뷰를 쓰면서도 스스로 참 어찌나 이중적인 성격인지 하는 한심함도 든다. 책속의 착함의 강요는 싫으면서 혼자 잘난척 착함을 강요하지는 않을거라니...... 그러나, 지금의 책 읽은 기분이 그러니, 어쩔수 없다는 생각을 해본다. 대화와 공감, 그리고 스스로의 깨달음이 아이에게 뭣보다 중요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