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죽음 1 - 법의관 케이 스카페타 시리즈 15
퍼트리샤 콘웰 지음, 홍성영 옮김 / 노블하우스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에서 현대물까지, 동서양의 추리소설이나 작가에 대한 계보를 줄줄이 꿰고 계신 지인-꼭 밝히자면, 물~두님이라는 분. ^^-의 글을 통해 퍼트리샤 콘웰이라는 작가를 처음으로 알게 되었는데 기회가 닿아서 그녀의 첫번째 소설인 <법의관>을 읽을 수 있었다. 그 책에 대한 리뷰는 건너 뛰고 최근에 읽은 이 책의 리뷰부터 쓰련다. 예전에 우리나라의 범죄 수사 드라마인 수사반장이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어린 나도 열심히 보았던 기억이 나는데, 요즘은 범인을 잡는 것보다 범인을 추정하고 증명하는 과정에 더 관심이 가서 법의학과 관련된 C.S.I. 라는 시리즈물에 한참 심취해 있다. <법의관>에 이어 <소설가의 죽음>에서 사건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은 법의국장인 케이 스카페타이라는 여성이다. 그리고 상충되는 면이 많아 그다지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범죄가 발생하면 함께 일하는 마리노 형사가 사건 해결의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다.

 <소설가의 죽음>에서는 유명한 소설가인 베릴이라는 여성이 잔인하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그녀가 마지막으로 쓴 원고의 행방이 오리무중이 되면서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에 촛점이 맞추어진다. C.S.I.에서 보면 현장에서 찾아낸 섬유 가닥을 통해 범인과 관련된 증거를 찾곤 하던데 이 책에 나온 글에 의하면 섬유를 검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단다. 오늘 아침에 본 C.S.I. NY에서도 살인 현장에서 수거한 물건에 묻어있는 특정 섬유를 통해 범인의 물건임을 증명하던데, 섬유의 색이나 재질 같은 것을 통해 어떤 류의 제품인지를 추정해내는 것-관련 데이타가 있겠지만-을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여러가지 섬유를 묻히기도 하고 떨구기도 한다는데, 완전범죄를 저지르려면 털 끝 하나-이건 바로 DNA 검사 대상이 되지만..^^;;-, 섬유 한 줄기라도 남기면 안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작품 뒷편에 실린 작가의 일대기를 읽어보았는데, 이름이 알려지기 전에는 작품을 큰 돈을 받고 팔기는 어려운 법인가 보다. 그녀의 경우에는 <법의관>이 헐값(지금의 인세와 비교하자면)에 팔리긴 했어도 엄청난 성공을 거두면서 탄탄대로를 닦은 셈인데 그런 점이 해리포터 시리즈로 출판계의 신데렐라가 된 조앤 롤링을 떠오르게 한다. 자신의 실제 경험과 철저한 리서치를 통해 작품의 사실성을 높이는 작가의 노력이 있기에 많은 팬들이 그녀의 소설에 박수를 보내게 되는 모양이다. 앞으로도 이 시리즈가 계속 출간된다니 관심을 가지고 읽어볼 계획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5-05-25 1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포일러가 안되는 리뷰를 쓰려니 참 어렵다..^^;;

물만두 2005-05-25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잘 쓰시는 분 보면 기가 팍 죽잖아요 ㅠ.ㅠ;;;

아영엄마 2005-05-25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은 추리소설에 관한 지식이 많으시니 그런 부분들을 리뷰 속에 녹여서 잘 쓰시잖아요. ^^

물만두 2005-05-25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쓸게 없어 잡다하게 매꾸는 겁니다^^:;;

icaru 2005-05-25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포일러 없는 리뷰쓰느라...애쓰셨어요...진짜...
저는 이 사람 꺼...법의관 읽을라고 부려놓은 중....